$\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난분해성 케라틴 단백질을 함유하는 닭 우모 분해세균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Keratinolytic Protein Chicken Feather-Degrading Bacteria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미생물학회지, v.46 no.1, 2010년, pp.86 - 92  

김세종 (목원대학교 미생물나노소재학과) ,  조천휘 ((주)카프코 생물화학연구소) ,  황경숙 (목원대학교 미생물나노소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양계장 부산물 시료로부터 우모 분해세균 31균주를 분리하였다. 수집된 우모 분해세균에 대해 16S rRNA 염기서열을 해석하여 계통학적 특성을 검토한 결과, Firmicutes (21균주), ${\gamma}$-proteobacteria (4균주), Actinobacteria (4균주) 그리고 Bacteroidetes (2균주) 계통군에 속하는 다양한 세균이 확보되었다. 우모 분해세균 중 우모 분해율이 75-90% 이상인 우수균주 Chryseobacterium sp. FBF-7, Stenotrophomonas maltophilia FBS-4 그리고 Lysinibacillus sp. FBW-3를 최종 선발하였다. 이들 균주를 이용한 생물학적 분해법과 Ca(OH)2를 이용한 화학적 분해법에 의해 추출된 아미노산의 특성을 비교한 결과, Chryseobacterium sp. FBF-7에 의해 추출된 총 아미노산 함량이 1661.6 ${\mu}mol$/ml로 선발 균주 중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화학적 분해법에 의해 추출된 총 아미노산 함량과 유사하였다. Chryseobacterium sp. FBF-7에 의해 생성된 필수 아미노산 함유량은 619.3 ${\mu}mol$/ml로 총 아미노산의 37%를 함유하였으며, 화학적 분해법에 의한 경우, 596.9 ${\mu}mol$/ml의 필수 아미노산을 생산하여 총 아미노산 함유량의 32%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hryseobacterium sp. FBF-7에 의해 추출된 아미노산의 조성을 검토한 결과, valine, glutamic acid, aspartic acid, glycine 그리고 proline이 주요 아미노산이었으며, 특히 aspartic acid, threonine, serine, cysteine 그리고 tyrosine이 화학적 추출법보다 더 높게 추출되는 특징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rty-one chicken feather-degrading bacteria were isolated from wasted feather, compost and wastewater in a chicken farm. These isolates were categorized as Firmicutes (21 strains), ${\gamma}$-proteobacteria (4 strains), Actinobacteria (4 strains), and Bacteroidetes (2 strains) by 16S r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국내 다양한 지역의 양계장으로부터 폐기물로 버려지는 폐깃털을 효율적으로 분해할 수 있는 케라틴 단백질 분해세균을 다수 확보하고, 우수 미생물을 선발하여 이들 균주를 이용하여 아미노산을 추출한 다음 화학적 분해법에 의해 추출된 아미노산과 특성을 비교함으로써 생물학적 분해법에 의해 추출된 아미노산의 친환경 비료로써의 사용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모 폐기물에서 물리⋅화학적 처리에 의한 아미노산 추출 시, 어떤 문제점이 있나? 또한, 조단백질 함량이 약 85%인 우모를 가압, 가열 등 물리적 처리법과 산⋅알칼리 처리에 의한 화학적 분해법을 이용하여 아미노산을 추출하여 활용하고 있다(12). 물리⋅화학적 처리에 의한 아미노산 추출은 공정과정 중 폐수 및 악취가 대량 발생하여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어 왔으며, 처리 비용이 높아 경제성이 낮을 뿐 아니라 단위동물에 대한 소화율도 50% 이하로 매우 저조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2, 21). 이와 같은 물리⋅화학적 처리공정의 비효율성을 고려하여 생물학적 분해기술을 이용한 친환경적 가공 처리법에 관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케라틴은 무엇인가? 국내에서 사육되고 있는 대표적 가금류인 닭은 연평균 약 58,000만 마리 정도가 도계되어 가공 처리되고 있으며, 도계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닭 우모(chicken feather)는 닭 생체중의 5-7%를 차지하여 연간 5만 톤 이상이 부산물로서 생산되고 있다(11, 26). 우모를 비롯하여 생물체의 보호기능을 하는 피부 각질이나, 손톱, 머리카락, 양모, 말발굽, 뿔, 깃털 등과 같은 케라틴(keratin)은 섬유상 구조 단백질(5, 9)로 β-helix를 형성하는 펩타이드 결합과 사슬 내 수많은 수소결합 및 이황화결합 등 다양한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기에 pepsin, trypsin, papain 등과 같은 일반적인 protease로는 거의 분해되지 않고 물리화학적으로도 매우 안정한 난분해성 단백질로 알려져 있다(6, 30). 이러한 난분해성 케라틴 단백질이 주성분인 우모는 극히 일부만이 보온재 및 쿠션 등 충전재로 사용되고 대부분 소각이나 매립 처리되어 왔으나, 소각 시 많은 매연이 발생하고 매립으로 인한 토양 환경오염의 주요 요인 중 하나로 알려져 왔다(18).
케라틴 단백질을 분해하는 keratinase 및 keratinolytic protease를 생성하는 미생물군은 무엇인가? 케라틴 단백질 분해미생물이 생산하는 특이적인 효소를 keratinase 또는 keratinolytic protease라고 하는데, 이 효소들은 케라틴 외에도 매우 안정된 구조의 다양한 난분해성 기질을 분해한다는 측면에서 일반적인 단백질 분해효소와 구별되어진다(8). 지금까지 분리 보고된 keratinase 및 keratinolytic protease를 생성하는 미생물군은 세균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일부 방선균과 곰팡이도 보고되어 왔다(3, 8, 13, 16, 16, 20, 25, 27). 이들 우모 분해균에 관한 연구는 keratinolytic protease 생성균의 분리와 동정 그리고 케라틴 단백질 분해효소의 특성에 관한 연구(21)가 주로 이루어진 반면, 이들 효소를 이용하여 우모로부터 추출된 아미노산의 특성과 산업적 가치 평가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hmed, I., A. Yokota, A. Yamazoe, and T. Fujiwara. 2007. Proposal of Lysinibacillus boronitolerans gen. nov. sp. nov., and transfer of Bacillus fusiformis to Lysinibacillus fusiformis comb. nov. and Bacillus sphaericus to Lysinibacillus sphaericus comb. nov. Int. J. Syst. Bacteriol. 57, 1117-1125. 

  2. Baker, D.H., R.C. Blitenthal, K.P. Boebel, G.L. Czarnecki, L.L. Southern, and G.M. Willis. 1981. Protein-amino acid evalluation of steam-processed feather meal. Poult. Sci. 60, 1865-1872. 

  3. Bockle, B., B. Galunski, and R. Muller. 1995. Characterization of a keratinolytic serine protease from Streptomyces pactum DSM40530. Appl. Environ. Microbiol. 61, 3705-3710. 

  4. Chon, D.H., S.M. Kang, and T.J. Kwon. 2003. Purification and some properties of keratinolytic protease produced by Pseudomonas sp. KP-364. Kor. J. Microbiol. Biotechnol. 31, 224-229. 

  5. Colette, M.H. and G.H. Michael. 1994. Bioconversion of waste keratins: wool and feathers. Conserv. Recyc. 11, 179-188. 

  6. Gupta, R. and P. Ramnani. 2006. Microbial keratinase and their prospective application: an overview. Appl. Microbiol. Biotechnol. 70, 21-33. 

  7. Herzog. P., I. Winkler, D. Wolking, P. Kampfer, and A. Lipski. 2008. Chryseobacterium ureilyticum sp. nov., Chryseobacterium gambrini sp. nov., Chryseobacterium pallidum sp. nov. and Chryseobacterium molle sp. nov., isolated from beer-bottling plants. Int. J. Syst. Evol. Microbiol. 58, 26-33. 

  8. Kim, J.M., W.J. Lim, and H.J. Suh. 2001. Feather-degrading Bacillus species from poultry waste. Process Biochem. 37, 287- 291. 

  9. Kim, W.K. and P.H. Patterson. 2000. Nutritional value of enzymeor sodium hydroxide treated feathers from dead hens. Poult. Sci. 79, 528-534. 

  10. Kim, Y.B., J.B. Lee, K.S. Sung, and N.H. Lee. 1998. Effects of physical processing on protein content and pepsin digestibility of feather meals. Kor. J. Anim. Sci. 40, 103-110. 

  11. Korea Chicken Council. 2002. www.chicken.or.kr/chicken/data/ state.htm. 

  12. Lee, N.H., Y.B. Kim, H.J. Kim, K.S. Seong, J.H. Rho, and C.K. Han. 1999. Effects of physiochemical treatment on the isolation of keratinaceous protein and amino acids of feather meal. Kor. J. Anim. Nutr. Feed. 23, 15-20. 

  13. Lin, X., C.C. Lee, E.S. Casale, and J.C.H. Shih. 1992.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keratinase from a feather-degrading Bacillus licheniformis strain. Appl. Environ. Microbiol. 58, 3271- 3275. 

  14. Marchisio, V.F., A. Fusconi, and S. Rigo. 1994. Keratinolysis and its morphological expression in hair digestion by airborne fungi. Mycopathologia 127, 103-115. 

  15. Moore, E.R.B., A.S. Kruger, L. Hauben, S.E. Seal, R. De Baere, R. De Wachter, K.N. Timmis, and J. Swings. 1997. 16S rRNA gene sequence analysis and inter- and intrageneric relationships of Xanthomonas species and Stenotrophomonas maltophilia. FEMS Microbiol. Lett. 151, 145-153. 

  16. Mukhopadyay, R.P. and A.L. Chandra. 1990. Keratinase of Streptomycete. Indian J. Exp. Bio. 28, 575-577. 

  17. Oyeka, C.A. and H.C. Gugnani. 1997. Keratin degradation by Scytalidium species and Fusarium solani. Mycoses 41, 73-76. 

  18. Papadopoulose, M.C. 1985. Processed chicken feathers as feedstuff for poultry and swine. A review. Agric. Wastes 14, 275-290. 

  19. Papadopoulose, M.C., A.R. El Boushy, and A.E. Roodbeen. 1985. The effect of varying autoclaving conditions and added sodium hydroxide on amino acid content and nitrogen characteristics of feather meal. J. Sci. Food Agric. Abstr. 36, 1219-1226. 

  20. Qin, L.M., S. Dekio, and J. Jidoi. 1992. Some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a partially purified extacellular keratinase from Trichophyton schoenleinii. Zentralbl. Bakteriol. 277, 236-244. 

  21. Onifade, A.A., N.A. Al-Sane, A.A. Al-Musallam, and A. Al- Zarban. 1998. A review: Potentials for biotechnological applications of keratin-de-grading microorganisms and their enzymes for nutritional improvement of feathers and other keratins as livestock feed resources. Biores. Technol. 66, 1-11. 

  22. Riffel, A. and A. Brandelli. 2000.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feather-degrading bacterium from the poultry processing industry. J. Ind. Microbiol. Biotechnol. 29, 255-258. 

  23. Riffel, A., A. Brandelli, C.M. Bellato, G.H.M.F. Souza, M.N. Eberlin, and F.C.A. Tavares. 2007.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keratinolytic metalloprotease from Chryseobacterium sp. kr6. J. Biotechnol. 128, 693-703. 

  24. Saitou, N. and M. Nei. 1987. The neighbor-joinning method: a new method for reconstruction phylogenetic trees. Mol. Biol. Evol. 4, 406-426. 

  25. Sangali, S. and A. Brandelli. 2000. Feather keratin hydrolysis by a Vibrio sp. strain kr2. J. Appl. Microbiol. 89, 735-743. 

  26. Santos, R.M.D.B., A.A.P. Firmino, C.M de Sa, and C.R Felix. 1996. Keratinolytic activity of Aspergillus fumigatus. Curr. Microbiol. 33, 364-370. 

  27. Son, H.J., G.T. Park, and Y.G. Kim. 2004. Production of a keratinolytic protease by a feather-degrading bacterium, Bacillus megaterium F7-1. Kor. J. Microbiol. 40, 43-48. 

  28. Taha, I.Z. 1998. Cloned Bacillus subtilis alkaline protease(apr A) gene showing high level of keratinolytic activity. Appl. Biochem. Biotechnol. 70/72, 199-205 

  29. Thomson, J.D., D.G. Higgins, and T.J. Gibson. 1994. CLUSTAL W: improving the sensitivity of progressive multiple sequence alignment through sequence weighting, positions specific gap penalties and weight matrix choice. Nucleic Acids Res. 22, 4673- 4680. 

  30. Wang, J.J. and J.C.H. Shih. 1999. Fermentation production of keratinase from Bacillus licheniformis PWD-1 and a recombinant B. subtilis FDB-29. J. Ind. Microbiol. Biotechnol. 22, 608-616. 

  31. Woo. E.O., M.J. Kim, H.S. Son, E.Y. Ryu, S.Y. Jeong, H.J. Son, S.J. Lee, and G.T. Park. 2007. Production of keratinolytic protease by Bacillus pumilus RS7 and feather hydrolysate as a source of amino acids. J. Environ. Sci. 16, 1203-120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