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우리나라 제비 생태계의 변화에 대한 동태성 분석 : 왜 제비는 20년 사이 100분의 1로 줄어들었는가?
Analysis of the Ecology Dynamics of the House Swallow 원문보기

한국 시스템 다이내믹스 연구 = Korean system dynamics review, v.11 no.3, 2010년, pp.105 - 126  

고장규 (충주대학교 행정정보학과) ,  한준수 (충주대학교 행정정보학과) ,  박영선 (충주대학교 행정정보학과) ,  최남희 (충주대학교 행정정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cology of house swallow is closely related to the humans life because their life depend on the human settlements conditions and environments. 30 years ago house swallows are very common at the country side, but recently they are very rare. Almost the number of house swallows decrease as 1 of h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이 연구에서는 제비의 개체수 감소를 초래하는 악순환 고리를 끊을 수 있는 정책으로서 어떠한 정책이 귀소율을 높여 줄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제비의 개체수와 귀소율을 높이기 위해 사용한 다양한 정책들이 비록 그 효과가 미약하게는 나타나고 있으나 이는 시간의 문제라고 판단된다.
  • 생태계란 특정 지역의 생물과 그것을 둘러싼 물리적 환경을 종합하여 통일체로서 파악한 개념이라 정의 된다. 이 논문에서는 제비의 개체수가 1/100로 줄어든 원인을 생태계를 둘러싼 많은 변수 가운데에서 사회 발전에 따른 도시화와 농경지환경 변화를 주된 변수로 보고 그것을 중점으로 살펴보았다.
  • 이 논문은 제비의 개체 수 감소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을 시스템 사고를 바탕으로 한 시스템다이내믹스 모델링을 통해 농촌지역의 개발이 제비 서식지의 생태환경 환경에 얼마만큼의 영향을 주었으며, 그 결과 어떻게 제비의 수가 20여 년 동안 100분의 1로 줄어들게 되었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 또한. 정책모의 실험으로써 제비의 생태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정책 변수를 추가하였을 때 발생하는 제비 개체 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그림 7]을 기초로 한 시뮬레이션모델은 [그림 12]에서 보는 봐와 같다. 여기에서 농경지 면적은 농경지 평균감소비율로 매년 감소를 하며, 농경지 평균증가비율은 없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이 결과로 매년 도출된 농지 면적에서 면적당 평균 벌레의 수(8마리)와 농약살포가 미치는 영향(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비는 주로 어디에서 사냥을 하는가? 대부분 파리·딱정벌레·매미·날도래·하루살이·벌·잠자리 같은 파리목과 벌목의 곤충을 잡아먹고 모자라는 양은 거미류 등으로 충당한다. 제비는 이러한 곤충을 주로 농경지나 습지 근처에서 사냥을 한다. 아래 그림은 농지면적 추이를 보여주는 그래프로 연평균 13천ha가 감소하고 있으며6), 그에 비해 수리답율은 올라가는 추이를 보이고 있다.
제비 서식지 환경 변화는 단순히 제비의 수가 감소하고 있다는 사실보다 어떤 문제를 시사하고 있는 것인가? 제비 서식지 환경 변화는 단순히 제비의 수가 감소하고 있다는 사실 보다 더 큰 문제를 시사하고 있다. 제비에게 적합하지 않은 환경이 과연 인간에게는 적합한 환경일 것이냐 하는 것이다.
제비의 생물학적 특성은 무엇인가? 제비의 몸길이는 약 18cm이다. 몸의 윗면은 푸른빛이 도는 검정색이고 이마와 목의 앞쪽은 어두운 붉은 갈색, 나머지 아랫면은 크림색을 띤 흰색이다. 꼬리 깃에는 흰색 얼룩무늬가 있다. 어린 새는 긴 꼬리 깃이 다 자란 새보다 짧으며 전체적으로 색이 희미하다. 한국에서는 흔한 여름새였지만 한국의 서식지 환경변화에 따라서 그 개체 수는 점점 줄어들고 있다. 이동할 때나 번식기에는 단독 또는 암수가 함께 살다가 번식이 끝나면 가족과 함께 무리를 짓는다. 번식이 끝난 6월부터 10월 상순까지 평지 갈대밭에 잠자리를 마련하고 해가 질 무렵 수천 마리에서 수만 마리씩 떼를 지어 모여든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경향잡지. (1992). 사라지는 제비, 인간의 어리석은 욕망 4월호. 

  2. 국립생물자원관. (2008). 야생동물 개체군의 생태학적 특성연구. 

  3. 김도훈?문태훈?김동환. (1999). 시스템 다이나믹스. 대영문화사. 

  4. 김인규. (2001). 제비의 번식행태 및 귀소성에 관한 연구. 공주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인규?함규황. (2001). "제비의 번식 생태에 관한 연구". 한국조류학회지 제8권 1호, 1-9, 

  6. 두산백과사전 http://www.encyber.com 

  7. 문화일보. (2004). "제비가 사리진 수도권 생태환경 대책 서둘러야". 9월 20일자. 

  8. 원병오 외. (1969). "표지방조에 의한 한국산 철새집단의 계절적 분포와 그의 생태". 경희대학교 논문집, 6: 305-346. 

  9. 정다미 외. (2008). "강남 갔던 제비는 다시 돌아올까?-제비의 귀소성과 번식생태에 관한 3년간의 실험". 제54회 전국과학전람회 수상작. 

  10. 정대영. (2008). "그 많던 지렁이와 제비는 어디로 갔을까?". ie매거진 제15권 제1호, 39-40. 

  11. 조선일보. (2005). "20년 사이 100분의 1이 된 제비". 9월 6일자. 

  12. 조선일보. (2009). "돌아오지 않는 제비". 5월 9일자. 

  13. 한현진. (2009). "제비의 영소지 선택과 번식 생태". 경희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4. e-나라지표, http://www.index.go.kr 

  15. EBS. (2009). "하나뿐인 지구, 제비 돌아오다". 5월 14일자. 논문접수일: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