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쿠마린과 인도메타신의 억제작용 쿠마린과 인도메타신의 억제작용
Suppression of Induced Mucin Production from Human Airway Epithelial Cells by Coumarin and Indomethacin 원문보기

약학회지 = Yakhak hoeji, v.54 no.5, 2010년, pp.416 - 421  

이재우 (엘지 생명과학) ,  김길동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  전병규 (대구보건대학 방사선과) ,  이충재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examined whether indomethacin, noscapine, coumarin, uridine and betaine affect airway mucin production induced by EGF or TNF-${\alpha}$ from NCI-H292 cells. Cells were pretreated with each agent for 30 min and then stimulated with EGF or TNF-${\alpha}$ for 24 h. Of the fiv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9,10) 그러나, 이러한 약물들이 인간 기도 상피세포에서의 뮤신의 생성(production)에 대해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는 지금까지 검증된 바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noscapine, indomethacin 등 호흡기 뮤신의 생성에 대한 작용은 아직 알려져 있지 않으나, 이미 임상에서 호흡기 질환을 포함한 타 질환의 치료를 위해 사용되고 있으며 동시에 호흡기 뮤신의 생체 내 거동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는 화합물들과, 전통 동양의학에서 경험적으로 호흡기 염증성 질환의 조절을 위해 사용되어온 강활, 독활, 당귀, 대조 등에서 유래하는 coumarin, uridine, betaine 등의 화합물을 대상으로, 인간 기도 상피세포에서 상피세포 성장인자에 의해 증가된 뮤신의 생성에 대해 이 화합물들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검증함으로써 효과적인 기도점액 과다생성(분비) 조절 신약의 개발을 위한 기초과학적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점액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인체 기도에 존재하는 점액(mucus)은 섬모세포와의 협동작용을 통해, 호흡기로 유입되는 유해한 물질의 제거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기도 점액의 생체방어 작용은 점액의 생화학적 주 구성요소인 뮤신의 물리화학적 성질, 즉 점탄성(viscoelasticity)에 기인한다.
점액을 기도로부터 제거하는 두가지 방법은 무엇인가? 1-4) 점액을 기도로부터 제거하는 데는 두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첫째, 물리적 방법에 의한 점액의 제거, 즉 점액의 점도를 낮춘 뒤 흡인해내는 방법이고, 둘째는, 점액 생성 자체를 억제할 수 있는 약물의 투여이다. 물리적 방법은 기도 내부의 자극을 유발하고, 반사기전에 의해 점액 분비를 오히려 자극하게 된다.
기도 점액의 생체방어 작용은 무엇에 기인하는가? 인체 기도에 존재하는 점액(mucus)은 섬모세포와의 협동작용을 통해, 호흡기로 유입되는 유해한 물질의 제거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기도 점액의 생체방어 작용은 점액의 생화학적 주 구성요소인 뮤신의 물리화학적 성질, 즉 점탄성(viscoelasticity)에 기인한다. 그러나, 뮤신의 양과 질의 이상은 기도 생리의 이상 뿐 아니라 인체의 방어작용에 영향을 주어 병리 현상을 유발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Ellis, E. F. : Asthma in childhood. J. Allergy. Clin. Immunol. 72(Suppl), 526 (1985). 

  2. Kim, K. C., Rearick, J. I., Nettesheim, P. and Jetten, A. M. :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mucous glycoproteins synthesized and secreted by hamster tracheal epithelial cells in primary culture. J. Biol. Chem. 260, 4021 (1985). 

  3. Ko, K. H., Lee, C. J., Shin, C. Y., Jo, M.-J. and Kim, K. C. : Inhibition of mucin release from airway goblet cells by polycationic peptides. Am. J. Physiol. 277(21), L811 (1999). 

  4. Kim, K. C., Opaskar-Hincman, H. and Bhaskar, K. R. : Secretions from primary hamster tracheal surface epithelial cells in culture: Mucin-like glycoproteins, proteoglycans, and lipids. Exp. Lung Res. 15, 299 (1989). 

  5. Mutschler, E. and Derendorf, H. : Drug actions. CRC press, Inc., Boca Raton, Florida, 410 (1995). 

  6. Jeffery, P. K. : Anti-inflammatory drugs and experimental bronchitis. Eur. J. Respir. Dis. 146, 245 (1986). 

  7. Heo, H. J., Lee, H. J., Yoon, C. S., Lim, S. P., Seok, J. H., Seo, U. K. and Lee, C. J. : Effects of ambroxol, Scarboxymethylcysteine, dextromethorphan and noscapine on mucin release from airway goblet cells. Korean J. Physiol. Pharmacol. 9(6), 323 (2005). 

  8. Jang, I. M. : Treatise on asian herbal medicines. Haksul-pyunsukwan in Research institute of natural product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003). 

  9. Lee, C. J., Lee, J. H., Seok, J. H., Hur, G. M., Park, J. S., Bae, S., Lim, J. H. and Park, Y. C. : Effects of betaine, coumarin and flavonoids on mucin release from cultured hamster tracheal surface epithelial cells. Phytother. Res. 18, 301 (2004). 

  10. Heo, H. J., Lee, H. J., Kim, C. S., Bae, K. H., Kim, Y. S., Kang, S. S., Seo, U. K., Kim, Y. H., Park, Y. C., Seok, J. H. and Lee, C. J. : Effects of three compounds from schizandrae fructus and uridine on airway mucin secretion. J. Appl. Pharmacol. 14, 166 (2006). 

  11. Song, K. S., Lee, W. J., Chung, K. C., Koo, J. S., Yang, E. J., Choi, J. Y. and Yoon, J. H. : IL-1beta and TNF-alpha induced MUC5AC overexpression through a mechanism involving ERK/p38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MSK1-CREB activation in human airway epithelial cells. J. Biol. Chem. 278(26), 23243 (2003). 

  12. Shao, M. X., Ueki, I. F. and Nadel, J. A. : TNF-alpha converting enzyme mediated MUC5AC mucin expression in cultured human airway epithelial cells. Proc. Natl. Acad. Sci. USA 100(20), 11618 (2003). 

  13. Hewson, C. A., Edbrooke, M. R. and Johnston, S. L. : PMA induces the MUC5AC respiratory mucin in human bronchial epithelial cells, via PKC, EGF/TGF-alpha, Ras/Raf, MEK, ERK and Sp1-dependent mechanisms. J. Mol. Biol. 344(3), 683 (2004). 

  14. Rogers, D. F. and Barnes, P. J. : Treatment of airway mucus hypersecretion. Ann. Med. 38(2), 116 (2006). 

  15. Takeyama, K., Dabbagh, K., Jeong, Shim, J., Dao-Pick, T., Ueki, I. F. and Nadel, J. A. : Oxidative stress causes mucin synthesis via transactivation of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role of neutrophils. J. Immunol. 164(3), 1546 (2000). 

  16. Takeyama, K., Dabbagh, K., Lee, H., Agusti, C., Lausier, J. A., Ueki, I. F., Grattan, K. M. and Nadel, J. A. : Epidermal growth factor system regulates mucin production in airways. Proc. Natl. Acad. Sci. USA 6, 3081 (1999). 

  17. Li, J. D., Dohrman, A. F., Gallup, M., Miyata, S., Gum, J. R., Kim, Y. S., Nadel, J. A., Prince, A. and Basbaum, C. B. : Transcriptional activation of mucin by Pseudomonas aeruginosa lipopolysaccharide in the pathogenesis of cystic fibrosis lung disease. Proc. Natl. Acad. Sci. USA 94(3), 967 (1997). 

  18. Tamaoki, J., Chiyotani, A., Kobayashi, K., Sakai, N., Kanemura, T. and Takizawa, T. : Effect of indomethacin on bronchorrhea in patients with chronic bronchitis, diffuse panbronchiolitis, or bronchiectasis. Am. Rev. Respir. Dis. 145(3), 548 (1992). 

  19. Kim, J.-O., Kim, H. S., Kim, S.-Y., Jeong, S.-S., Heo, H. J., Seok, J. H. and Lee, C. J. : Effects of sphingosine-1-phosphate, furosemide and indomethacin on mucin release from airway goblet cells. Korean J. Physiol. Pharmacol. 9(3), 155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