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미 한국인과 한국인의 건강수준 및 건강행태에 관한 비교
A Comparison of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s between Korean Americans and Koreans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27 no.4, 2010년, pp.29 - 38  

이윤현 (남서울대학교 보건행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purports to comparatively study health condition, health behaviors, and health care utilization of Koreans living in Korea and in the US, and then,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them. Method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the 2005 Korea National Heal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본 연구에서는 인구사회학적 특성, 사회경제적인 특성, 건강상태 특성 등의 독립변수와 응답자 자신이 평가한 전반적인 건강상태인식과 BMI를 종속변수로 회귀분석을 시행하여 한국 거주민과 재미 한국인과의 연령, 성별, 교육정도, 직업, 소득 흡연, 음주, 건강보험 등의 각 변수간의 차이와 영향요인을 도출하고자 했다. 분석모형식은 log(p/1-p)y=β0+βx1+βx2 +ㆍㆍㆍ 이다.
  • 본 연구는 재미 한국인과 한국인의 건강수준 및 건강행태에 대한 비교연구이다. 재미 한국인은 미국 캘리포니아 지역에 거주하는 한국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한국인은 한국에 거주하는 한국인을 비교대상으로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민자들의 건강에 대한 연구가 충분히 이루지지 못한 시점에서 점증하고 있는 해외 건강수요와 국내 이주 외국인의 의료수요에 부응하는 국가보건정책의 수립에 기여하고자 한국인과 재미 한국인들을 대상으로 건강수준 및 건강행태에 대한 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 비록 두 자료가 설문문항 등 조사단계에서 부분적으로 차이가 존재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설문지 문항조사와 자료 구조를 심도 있게 분석하여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보정함으로써 연구의 결과의 신뢰도를 높이도록 하였다. 또한 두개의 상이한 기관에서 시행한 설문조사의 내용을 비교분석하는데 발생될 수 있는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통계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양 기관에서 조사한 설문의 내용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 이상과 같은 기존연구를 참고로 한국에서 조사한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와 미국 캘리포니아 지역의 건강조사 자료를 기초 한국인과 재미 한국인의 건강 및 의료이용, 과체중, 흡연, 음주 등의 건강위협요인 및 사회경제적인 요인과의 관련성 밝히고자 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결과해석에 제한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구학적인 요인의 비교에서 재미 한국인의 평균연령은? 인구학적인 요인의 비교에서 재미 한국인의 평균연령은 42.4세로 한국인의 43.3세로 큰 차이가 없다.
외교부가 최근 펴낸 2004년도 세계각국편람 자료에 따르면 7월 기준 해외거주 재외동포수는 모두 몇 명인가? 우리나라는 짧은 이민의 역사에도 불구하고 급속한 경제성장과 더불어 세계시장의 확대를 위한 정부의 노력과 기업들의 글로벌화가 적극 추진되는 과정에서 외국에서 거주하는 한국인의 수가 급증하게 되었다. 외교부가 최근 펴낸 2004년도 세계각국편람 자료에 따르면 7월 기준 해외거주 재외동포수는 모두 607만6천783명으로 이는 2001년 동월에 비해 총 7.5% 증가한 수치인 것으로 밝혀졌다.
재미 한인교포의 수가 많은 이유는 무엇인가? 1) 국가별로 보면 미국이 가장 많은 215만 4천 498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미국 인구센서스국이 실시한 ‘2005년 미국 커뮤니티 조사’에서도 집계된 재미 한인교포 124만 6,240명이다. 1903년 사탕수수밭 노동자로 이민 온 한인들이 하와이 땅을 처음 밟은 지 100년을 넘기면서 미국 땅에서 사는 한인수는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아메리칸 드림을 꿈꾸며 ‘미국 시민’이 되려는 한국인의 행렬이 꾸준히 이어졌기 때문이다. 실제 미국에 거주하는 한인들은 공식 통계보다 훨씬 많다는 게 대체적인 분석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공은숙, 박상호, 신동진, 허영란, 한오순, 허남연. 아포지단백 E유전자형 검사를 통한 치매고위험군 유형별 분포: 건강한 농촌주민을 대상으로. 한국노년학화연구 2004;13:5-22. 

  2. 김기랑, 홍서아, 김미경. 한국인의 생애 주기별 교육 수준에 따른 영양 상태와 식품 불충분성-2005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영양학회지 2008;41(7):667-681. 

  3. 김민희. 다문화 가정의 문제점과 대안. 한민족-다문화서포트. 2009. 

  4. 김옥수, 전해옥, 김동희, 김보혜, 김희정. 한국 성인의 고혈압전기 발생 위험요인 분석: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성인간호학회지 2009;21(3):281-292. 

  5. 김정희. 예방적 건강행위와 건강통제위 성격 성향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1985;15(2):49-61. 

  6. 김현실. 문화정체성, 문화변용과 청소년의 정신건강-캐나다 소수 민족 이민 청소년을 중심으로-. 한국간호과학회 정신간호학회 2006;15(4):384-391. 

  7. 박윤영. 정우진 역. 보건의료경제학.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 2005. 

  8. 박재순. 중년후기 여성의 건강증진행위 모형구축[박사학위논문]. 서울:서울대학교대학원, 1995. 

  9. 보건복지가족부. 국민건강영양조사 제3기 총괄보고서. 보건복지가족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6. 

  10. 성한나. 한국인의 폭음 관련 요인 및 폭음으로 인한 건강문제: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분석[석사학위논문]. 울산:울산대학교 대학원, 2009. 

  11. 윤진. 산업장 근로자의 건강증진행위와 그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0. 

  12. 의료정책연구소. 보건의료통계분석-OECD 보건통계 자료를 기초로.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 2007. 

  13. 이기헌, 이철민, 권혁태, 오승원. 한국 남성 비만과 흡연의 관련성: 제 3차 및 4차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분석. 대한금연학회지 2010;1(2):115-123. 

  14. 이명숙. Apo E. 유전자의 다형성과 질병. 한국지질학회지 1995;5(1). 

  15. 이윤현. A Comparison of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sbetween Korean Americans and Koreans.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자료집, 2009. 

  16. 이영휘. 충남 일부주민의 건강통제위 성격과 건강행위와의 관계연구. 대한간호학회지 1998;18(2):118-127. 

  17. 손 신, 이정미, 류철원. 뉴욕시 거주 한인 노년층 이민자들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문화적응과정상의 요인들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2007;38:79-107. 

  18. 신형두.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분석을 통한 질병의 유전학적 연구. 대한당뇨병학회 제14차춘계학술대회, 2001. 

  19. 정애리. 다문화 가정 유아의 차별 경험을 통한 인간이해 가치 교육적 함의. 윤리교육연구 2010;21:249-268. 

  20. 정영미, 이희영, 신동수. 한국 성인의 흡연율 및 만성폐쇄성 폐질환과의 관계. 성인간호학회 춘계학술대회, 2010. 

  21. 질병관리본부. 국민건강영양조사 제3기 조사결과 심층분석연구: 건강면접 및 보건의식 부문. 질병관리본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7. 

  22. www.chis.ucla.edu. California Health Interview Survey, 2005. 

  23. Anderson R, Lee B. Factors Affec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Income and Medical Care Consumption. in Empirical Studies in Health Economics, edited by Herbert Klarman. Baltimore: Johns Hopkins 1970. 

  24. Blazer DG, Wu LT. The epidemiology of at-risk and binge drinking among middle-aged and elderly community adults: National survey on drug use and health.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2009;166(10):1162-1169. 

  25. Cho J, Juon HS. Assessing overweight and obesity risk among Korea Americans in California using World Health Organization body mass index criteria for Asians. Preventive Chronic Diseases 2006;3(3):A79. 

  26. Cho YT, Ahn HS, Jung SW. Migration and Health: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Americans and Koreans' Mortality Profiles.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2001;24(2). 

  27. Cho YT, Song SE, Frisbie WP. Adverse birth outcomes among Korean Americans: The impact of nativity and social proximity to other Koreans. Population Research and Policy Review. 2005;24:263-282. 

  28. Chun KM, Marin G. Readings in ethnic psychology. New York: Routledge 1998;73-99. 

  29. Duffy ME. Determinants of health promotion in mid-life women. Nursing Research 1988;37(6):358-362. 

  30. Johnson JL, Ratner PA, Bottorff JL, Hayduk LA. An exploration of Pender's health promotion model using LISREL. Nursing Research 1993;42(3):132-138. 

  31. Lee SH, Nguyen HA, Aydin MJ, Kurata J. Linguistic Minorities in a Health Survey. California Health Interview Survey. UCLA, 2008. 

  32. Lee SH, Brown ER, Grant D, Belin T, Brick JM. Exploring Nonresponse Bias in a Health Survey Using Neighborhood Characteristic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2009. 

  33. Lee SH, Lee KS, Lee YH. Health Risk Behaviors, Diet and Exercise, and Chronic Conditions of Koreans: Transnational Perspectives. American Public Heath Association. 2009 

  34. McGinnis JM et al. The case for more active policy attention to health promotion. Health Affairs 2002;21:78-93. 

  35. Min PG. Korea Americans in Pyong Gap Min (ed.) Asian Americans: Contemporary Trends and Issues. California: Sage Publications. 1995;169-198. 

  36. Newhouse JP, Phelps CE. New Estimates of Price and Income Elasticities of Medical Care Services. The Role of Health Insurance in the Health Services, edited by Richard Rosett. New York: Neal Watson, 1976. 

  37. Phinney JS, Rosenthal D. Ethnic identity formation in adolescence: Process, context, and outcome. In G. Adams, 1992. 

  38. Sohn L, Harada ND. Knowledge and use of prevention health practices among Korean women in Los Angeles county. Preventive Medicine 2005;41(1):167-178. 

  39. Sohn L. The health and health status of older Korean Americans at the 100-year anniversary of Korean immigration. Journal of Cross-cultural Gerontology 2004;19(3):203-219. 

  40. Sue D, Mak WS, Sue DW. Ethnic identity. In L.E. Lee & N. Zane (Eds.), Handbook of Asian American psychology. Thousand Oaks: Sage Publications 1998;289-323. 

  41. Walker SN, Volkan K, Sechrist KR, Pender NJ. The healthpromoting lifestyles of older adults; Comparisons with young and middle-aged adults, correlates and patterns. Advances in Nursing Science 1988;76-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