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의보감(東醫寶鑑)" "탕액편(湯液篇)"의 본초(本草) 분류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materia medica in medicinal part of Treasured Mirror of Eastern Medicine("東醫寶鑑" "湯液篇") 원문보기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v.23 no.5, 2010년, pp.55 - 66  

오재근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의사학교실) ,  김용진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의사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edicinal part of Treasured Mirror of Eastern Medicine("東醫寶鑑" "湯液編") is based on Classified Emergency Materia Medica("證類本草"), Compendium of Prescriptions from the Countryside("鄕藥集成方"). But it distinguished materia medica of countryside(鄕藥) from materia medica of China(唐藥) and properly selected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東醫寶鑑』 「湯液篇」 「湯液序例」 중에서 ‘三品藥性’의 조목을 찾아볼 수 있고, 本草의 배열이 『證類本草』, 『鄕藥集成方』 등과 동일하게 三品分類에 의거한 순서로 이루어져 있어 내용적으로는 三品分類를 따르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하에서는 『東醫寶鑑』 「湯液篇」과 『鄕藥集成方』, 『證類本草』의 草部를 중심으로 개별 本草 배열과 배열 위치 변경 등을 통해 『東醫寶鑑』 「湯液篇」의 三品 分類 채택 여부를 살펴보고자 한다.
  • 이하에서는 『東醫寶鑑』「湯液篇」에 대한 본격 연구를 위한 기초 작업으로 本草 분류와 관련된 내용을 중심으로 그 특징 및 독창성을 밝히고자 한다. 특히 『東醫寶鑑』 「湯液篇」에 깊은 영향을 주었다고 여겨지고 있는 『證類本草』와 『鄕藥集成方』, 그리고 동시대에 출간 되었으며 本草 분류 측면에서 탁월한 성과를 거두었다고 평가받고 있는 『本草綱目』을 서로 비교 분석하여 본초 분류의 측면에서 『東醫寶鑑』 「湯液篇」이 지니고 있는 위상과 특징을 살펴본다13).
  • 이하에서는 『東醫寶鑑』「湯液篇」에 대한 본격 연구를 위한 기초 작업으로 本草 분류와 관련된 내용을 중심으로 그 특징 및 독창성을 밝히고자 한다. 특히 『東醫寶鑑』 「湯液篇」에 깊은 영향을 주었다고 여겨지고 있는 『證類本草』와 『鄕藥集成方』, 그리고 동시대에 출간 되었으며 本草 분류 측면에서 탁월한 성과를 거두었다고 평가받고 있는 『本草綱目』을 서로 비교 분석하여 본초 분류의 측면에서 『東醫寶鑑』 「湯液篇」이 지니고 있는 위상과 특징을 살펴본다1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이상인. 동의보감을 본초학 영역에서 살펴본 특징과 끼친 영향. 대한본초학회지. 1992. 7(1). 1992. pp.21-26. 

  2. 홍문화. 본초학자로서의 허준. 한국과학사학회지. 1982. 4(1). p.117. pp.113-117. 

  3. 노정은. 東醫寶鑑 湯液篇에 수록된 식물류 本草의 문헌적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7. p.58. 

  4. 岡西爲人. 本草槪說. 大阪. 創元社. 1983. p.217. 

  5. 김신근. 한의약서고.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1987. p.736. 

  6. 김신근 편. 유효통, 노중례. 박윤덕 저. 한국의학대계 7 鄕藥集成方(영인본) 5. 서울. 여강출판사. 1988. p.306. 

  7. 김신근 편. 허준 저. 한국의학대계 14 東醫寶鑑(영인본) 4. 서울. 여강출판사. 1992. p.278, 279, 286, 303, 312, 315, 320, 335, 366, 395, 474, 517, 592. 

  8. 김호. 허준의 동의보감 연구. 서울. 일지사. 2000. pp.228-249. 

  9. 김호철. 한약약리학. 서울. 집문당. 2004. pp.16-17. 

  10. 劉衡如 교정. 李時珍 저. 本草綱目.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2000. p.17. 

  11. 山田慶兒. 本草と夢と鍊金術と. 東京. 朝日新聞社. 1997. p.33, 40, 50, 71, 73. 

  12. 三木榮. 朝鮮醫學史及疾病史. 大阪. 三木榮家. 1963. p.195, 359. pp.356-357. 

  13. 三木榮. 朝鮮醫書誌. 大阪. 學術圖書刊行會. 1973. pp.341-342. 

  14. 尙志鈞 점교. 唐愼微 찬. 證類本草.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93. p.164. 

  15. 신동원. 조선사람 허준. 서울. 한겨레신문사. 2001. pp.192-194. 

  16. 신동원, 김남일, 여인석. 한권으로 읽는 동의보감. 서울. 들녘. 1999. p.847, 863. 

  17. 王家葵, 張瑞賢. 神農本草經硏究. 北京. 北京科學技術出版社. 1998. pp.46-53. 

  18. 王綸. 歷代本草精華叢書 3 本草集要. 上海. 上海中醫藥大學出版社. 1992. p.1, 2. 

  19. 이덕봉. 한국문화사대계 5 한국생물학사. 서울. 고대민족문화연구소출판부. 1982. pp.386-395. 

  20. 이주행, 조원식, 정갑임, 김우형, 박현주 옮김. 黎靖德 편. 朱子語類. 서울. 소나무. 2001. p.223. pp.197-198. 

  21. 王家葵, 張瑞賢. 神農本草經硏究. 北京. 北京科學技術出版社. 1998. p.18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