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해안 산불피해지 복구를 위한 산림생산력의 추정
Estimation of Forest Productivity for Post-Wild-fire Restoration in East Coastal Areas 원문보기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12 no.1, 2010년, pp.36 - 44  

구교상 (국립산림과학원 산불방재연구과) ,  이명종 (강원대학교 산림자원학부) ,  신만용 (국민대학교 산림환경시스템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입지환경 인자를 적용하여 수종별 지위지수 추정식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해당 입지의 산림생산력을 추정함으로서 산불 피해지의 복구을 위한 수종 선택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입지환경 인자를 이용하여 동해안 산불 피해지역인 강릉, 고성, 동해, 그리고 삼척 지역에 적용할 수 있는 온대 중부지역의 수종별 지위지수 추정식을 조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수종별 지위지수 추정식은 4~5개의 비교적 소수의 입지환경 인자를 이용하여 산림생산력에 대한 높은 추정능력을 보였다. 또한 이와 같이 개발된 수종별 지위지수 추정식을 대상으로 모형의 평균 편의, 정도, 표준오차 등의 3가지 평가통계량에 근거한 검증을 실시한 결과 수종별 오차가 모두 0.5m 이내로 본 연구에서 도출된 지위지수 추정식의 실용성을 입증할 수 있었다. 지위지수 추정식의 검증결과를 보면전반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수종별 지위지수 추정식의 평가통계량은 낮은 것으로 판명되어 실제 적용하는 데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수종별 지위지수 추정식은 몇가지의 입지환경 인자만으로 산불 피해지에 대한 수종별 산림생산력을 추정할 수 있는 것으로 판명되어 앞으로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수종별 적지판정과 이를 통한 산림의 경영 및 관리에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산불 피해지역의 입지평가 기준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우선 산불피해임지를 자연회복, 인공복구 방법으로 현재의 임지를 개선하고자 할 때 이를 위한 입지 및 토양환경 인자 및 기준에 따라 임지의 생산력을 고려하여 적정한 수종을 선정하여 복구를 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입지환경 인자에 의한 임지생산력 추정결과 물푸레나무와 굴참나무의 적지가 비교적 넓은 면적으로 분석되어 침엽수의 단순림이 많이 있는 동해안 지역의 임분을 참나무류와 같은 활엽수 수종으로 임분 구조를 개선하여 산불이 수관화로 확산되는 큰 피해를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산불의 피해를 저감하는 내화수림대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rehabilitate forest sites damaged by wildfire via natural or artificial restoration, it is important to determine right tree species, which can acclimate to biogeoclimatic environment at the site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site index equation of different tree speci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입지환경 인자를 적용하여 수종별 지위지수 추정식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해당 입지의 산림생산력을 추정함으로서 산불 피해지의 복구을 위한 수종 선택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입지환경 인자를 이용하여 동해안 산불 피해지역인 강릉, 고성, 동해, 그리고 삼척 지역에 적용할 수 있는 온대 중부지역의 수종별 지위지수 추정식을 조제하였다.
  • 본 연구는 입지환경 인자를 적용하여 수종별 지위지수 추정식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해당 입지의 산림생산력을 추정함으로서, 동해안 산불피해지와 같은 산림 재해지의 복구에 적합한 수종 선택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산불 피해지의 산림복구를 위한 조림수종의 선택 등 다양한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본 연구는 지형인자와 토양인자를 포함하는 28개 입지환경인자 중에서 연구 대상지의 수종별 산림생산력에 영향을 미치는 최적의 조합을 선정함으로써 지위 지수 추정식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입지 환경인자에는 산림생산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연구 대상지의 온도 및 습도와 같은 기후인자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 본 연구에서는 수치산림입지도에 나타난 임령과 수고 자료에 근거하여 기준임령을 30년으로 하는 수종별 지위지수를 추정하였다. 이를 위해 Chapman-Richards의 모델(Clutter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지 생산력은 어떻게 정의되는가? 산불 피해지에 대한 복원과 복구는 입지조건과 환경조건을 고려한 임지의 생산력을 반영하여 실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임지 생산력은 임지로부터 일정 기간 동안에 생산할 수 있는 임목재적의 최대치로 정의할 수 있다(Park et al., 1990).
산불 피해지에 대한 복원과 복구는 어떻게 실시하는 것이 중요한가? 최근 동해안 지역에 대규모 산불이 발생한 이래 산불 피해지의 복원과 복구에 대한 다양한 방안이 연구되어 왔다. 산불 피해지에 대한 복원과 복구는 입지조건과 환경조건을 고려한 임지의 생산력을 반영하여 실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임지 생산력은 임지로부터 일정 기간 동안에 생산할 수 있는 임목재적의 최대치로 정의할 수 있다(Park et al.
임지 생산력을 추정하기 위하여 지위지수를 이용함이 일반적인데, 이를 추정하기 위하여 어떤 방법들이 사용되어 왔는가? , 1991). 지위지수는 임지의 잠재적 생산능력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이를 추정하기 위해 일정 입지에 생육하고 있는 수종의 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입지 및 토양환경 인자들과의 관계를 분석하는 방법들이 사용되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rbatzis, A. A., and H. E. Burkhart, 1992: An evaluation ofsampling methods and model forms for estimatingheight-diameter relationships in loblolly pine plantation.Forest Science 38(1), 192-198. 

  2. Belsley, D. A., E. Kuh, and R. E. Welsch, 1980: Regressiondiagnostics. John Wiley & Sons, New York, 292pp. 

  3. Clutter, J. L., J. C. Fortson, L. V. Pienaar, G. H. Brister, andR. L. Bailey, 1983: Timber management: A quantitativeapproach. Krieger Publishing Company, New York,333pp. 

  4. Curt, T., M. Bouchaud, and G. Agrech, 2001: Predictingsite index of Douglas-Fir plantations from ecologicalvariables in the Massif Central area of France. ForestEcology and Management 149(3), 61-74. 

  5. Judge, G. G., R. C. Hill, W. E. Griffiths, H. Lutdepohl, andT. Lee, 1988: Introduction to the Theory and Practice ofEconometrics. John Wiley & Sons. New York, 1024pp. 

  6. Kabrick, J. M., S. R. Shifley, R. G. Jensen, J. Fan, and D.R. Larsen, 2004: Factors associated with oak mortalityin Missouri Ozark forests. USDA Forest Service GeneralTechnical Reports NE-316, 27-35. 

  7. Kim, I. H., 2003: Estimation of site index by species inGyongi-Chungcheong Province using forest map. Master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60pp. (in Koreanwith English abstract) 

  8. Kim, T. H., J. H. Chung, C. H. Lee, K. S. Koo, W. K. Lee, I.A. Kang, and S. I. Kim, 1991: Studies on the growth ofmajor tree species by forest soil types. The ResearchReports of the Forestry Research Institute 42, Seoul, 91-106. (in Korean) 

  9.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04: Evaluation andprediction system for timber resources of main species,125pp. (in Korean) 

  10. Korea Forest Service, 1998: Guide for forest site inventory,58pp. (in Korean) 

  11. Korea Forest Service, 2001a: Guide for Forest Site Inventory.58pp. (in Korean) 

  12. Korea Forest Service, 2001b: Development of a ComputerProgram on the Righteous Tree Selection for a GivenSite by Using GIS Technique. 7-24. (in Korean) 

  13. Meyer, H. A., 1947: The structure and growth of Virgin beechbirchmaple hemlock forest in Northern Pennsylvania.Journal of Agricultural Research 12, 1-15. 

  14. Myers, R. H., 1986: Classical and modern regression withapplications. Duxbury Press, Pacific Grove, 395pp. 

  15. Park, T. S., D. C. Kim, O. B. Kwon, M. W. Lee, S. S. Jee, Y.H. Lee, Y. H. Cho, S. Y. Kang, Y. K. Chung, U. H, Byun,and J. C. Woo, 1990: Forest management. Hyangmun-sa.426pp. (in Korean) 

  16. Shin, M. Y., 1990: The use of ridge regression for yieldprediction models with multicolinearity. Journal ofKorean Forest Society 79(3), 260-268. (in Korean withEnglish abstract) 

  17. Shin, M. Y., H. K. Won, J. H. Jeong, K.S. Koo, and M.H.Song, 2005: Estimation of forest site productivity byregional environment and forest soil factors. Korean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7(2),132-14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Snee, R. D., 1977: Validation of regression models : Methodsand examples. Technometrics 19, 415-428. 

  19. Song, M. H., 2003: Development of regional site indexequations for main tree species based on environmentalfactors. Master thesis. Kookmin University, 2-11. (in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Won, H. K, M. Y. Shin, S. W. Lee, and Y. Y. Lee, 2007:Site index equations and estimation of productive areas formajor Pine species by climatic zones using environmentalfactors.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Meteorology 9(3), 179-187. (in Korean with Englishabstract) 

  21. Yun, J. W., 1972: Studies on tree growth by multiple regressionanaly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Research Bulletin ofthe Experimental Forests 1, 3-55.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