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세패턴 전사기법을 위한 다양한 몰드 제작법 소개
The Review for Various Mold Fabrication toward Economical Imprint Lithography 원문보기

韓國眞空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v.19 no.2, 2010년, pp.96 - 104  

김주희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나노융합학과) ,  김연상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나노융합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NIL, S-FIL과 같은 각인 기술(Imprinting lithography)를 적용하기 위한 투명하고 단단한 복제 틀(replica hard mold)을 제작하여 고가의 원판(master)와 패턴이 형성되는 기판과의 접촉을 근본적으로 방지해 경제적인 공정이 가능함을 제안한다. 실리콘 웨이퍼(Si wafer)와 같은 원판(master)과 패턴 형성 시 사용되는 기판과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우선 액상 공정을 이용하여 비접착성 표면처리된 고분자 복제(polymer copy)를 매개체(carrier)로 단단한 복제 틀을 제작한다. 이렇게 제작된 단단한 복제 틀(replica hard mold)는 유리와 거의 같은 강도와 투명도를 나타내며, 각인 공정(imprinting process)에서 석영 틀, 실리콘 웨이퍼(quartz mold, Si wafer)과 같이 값비싼 원판(master)의 직접 사용을 대체하여 성공적으로 패턴을 구현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suggest here a cost-effective replica fabrication method for transparent and hard molds for imprinting lithography such as NIL and S-FIL. The process starts with the use of a replica hard mold from a master, using a polymer copy as a carrier. The polymer copy as a carrier was treated by soluble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는 틀을 이루는 재질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하게 비접착층인 PDMS를 틀 표면에 코팅함으로써 다양한 기계적인 강도 및 실험적인 특성을 가지는 틀을 제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고분자 복제 틀을 구성하고자 하는 물질에 관계없이 항상 표면에 비접착성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공정상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고분자 복제 틀을 만들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여 준다.
  • 본 총설에서는 차세대 미세패턴 가공기술로 주목받고 있는 가장 핵심적인 부분인 고분자를 이용한 복제 틀과 함께 그것을 이용하기 위해 표면에 비접착성 처리를 학문적으로 접근하였으며, 기존의 진공이 반드시 수반되는 공정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렇게 비접착 표면처리로 원판과 고분자 패턴의 분리가 용이하므로 다양한 기판에도 적용이 가능하여 단단한 틀을 만드는 공정에서도 적용해 볼 수 있었다.
  • 그러나 더욱 미세한 수십 nm 수준의 패턴제작을 위한 각인기술에서는 고분자나 저분자의 틀 보다 훨씬 단단한 틀(hard mold)이 요구된다. 이러한 점을 충족시키기 위해 석영(quartz)과 비슷한 강도를 가지는 틀을 만드는 연구가 본 연구진에 의해 이루어졌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각인 기술은 무엇인가? 각인 기술(Imprint lithography)는 단단한 원판을 열적 변형이 가능한 고분자 층위에 직접 각인하는 기술로서 극미세패턴이 가능하고, 원판의 패턴을 그대로 복제할 수 있는 정확성(fidelity)에 있어서 장점을 지니고 있다. 특히, 원판을 그대로 각인(imprint) 틀로 사용하기 때문에 아주 미세한 패턴(∼수 nm)도 전사가 가능하며, 각인기술의 원판 틀의 경우 열적 팽창계수 및 변형이 매우 적으므로 정확성(fidelity)을 요구하는 경우 적합한 기술이다.
각인 기술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특히, 원판을 그대로 각인(imprint) 틀로 사용하기 때문에 아주 미세한 패턴(∼수 nm)도 전사가 가능하며, 각인기술의 원판 틀의 경우 열적 팽창계수 및 변형이 매우 적으므로 정확성(fidelity)을 요구하는 경우 적합한 기술이다. 그러나, 원판을 직접 각인하는 과정에서 원판의 마모 내지는 피로누적에 의한 균열, 원판과 미세패턴이 전사되는 고분자 층과의 접착성 등의 문제가 아직 해결되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미세패턴 구현을 위한 감광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대표적 기술에는 무엇이 있는가? 이러한 photolithography와 같은 미세패턴 구현을 위한 감광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대표적 기술로 소프트 리소그래피(Soft lithography) [1], 각인 기술(Imprint lithography) [2], 전자빔 리소그래피(E-beam lithography)[3] 등을 꼽을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 Xu, F. Arias, and G. M. Whitesides, Adv. Mater. 11, 492 (1999). 

  2. L. J. Guo, E. Leobandung, and S. Y. Chou, Science 275, 649 (1997). 

  3. P. M. Mendes, S. Jacke, K. Critchley, J. Plaza, Y. Chen, K. Nikitin, R. E. Palmer, J. A. Preece, S. D. Evans, and D. Fitzmaurice, Langmuir 20, 3766 (2004). 

  4. J. P. Rolland, E. C. Hagberg, G. M. Denison, K. R. Carter, and J. M. De Simone, Angew. Chem. Int. Edit. 43, 5796 (2004). 

  5. P. J. Yoo, S.-J. Choi, J. H. Kim, D. Suh, S. J. Baek, T. W. Kim, and H. H. Lee, Chem. Mater. 16, 5000 (2004). 

  6. S. -J. Choi, P. J. Yoo, S. J. Baek, T. W. Kim, and H. H. Lee, J. Am. Chem. Soc. 126, 7744 (2004). 

  7. Y. S. Kim, S. J. Baek, and P. T. Hammond, Adv. Mater. 16, 581 (2004). 

  8. S. K. Thanawala and M. K. Chaudhury, Langmuir 16, 1256 (2000). 

  9. D. E. Packham, Handbook of Adhesion, 2nd ed. (Wiley, New York, 2005), pp. 400. 

  10. N. Y. Lee and Y. S. Kim, Nanotechnology 18, 415303 (2007). 

  11. S. Y. Chou, P. R. Krauss, and P. J. Renstrom, Appl. Phys. Lett. 67, 3114 (1995). 

  12. T. Bailey, B. Smith, B. J. Choi, M. Colburn, M. Meissl, S. V. Screenivasan, J. G. Ekerdt, and C. G. Willson, J. Vac. Sci. Technol. B. 19, 2806, (2001). 

  13. K. Guan, B. Lu, and Y. Yin, Suf. Coat. Technol. 173, 219 (2003). 

  14. C. Su, B.-Y. Hong, and C.-M. Tseng, Catal. Today 96, 119, (2004). 

  15. M. J. Lee, N.Y. Lee, J. R. Lim, J. B. Kim, H. K. Bail, and Y. S. Kim, Adv. Mater. 18, 3115 (2006). 

  16. N. Y. Lee and Y. S. Kim, Macromol. Rapid Commun. 28, 1995 (2007). 

  17. K.-H. Haas, Adv. Eng. Mater. 2, 571, (2000). 

  18. C. Sanchez, B. Julian, P. Belleville, and M. Popall, J. Mater. Chem. 15, 3559, (2005). 

  19. J. Kim, M. Kim, M. J. Lee, J. S. Lee, K. Shin, and Y. S. Kim, Adv. Mater. 21, 4050,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