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세라미스트 = Ceramist, v.13 no.1, 2010년, pp.28 - 39
강우진 (전력연구원 녹색성장연구소) , 최호윤 (전력연구원 녹색성장연구소) , 오창대 (전력연구원 녹색성장연구소) , 이태희 (전력연구원 녹색성장연구소) , 최진혁 (전력연구원 녹색성장연구소) , 최미화 (전력연구원 녹색성장연구소) , 유영성 (전력연구원 녹색성장연구소)
초록이 없습니다.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연료전지가 가장 효율적인 발전장치로 알려진 이유는? | 연료전지는 수소 또는 화석연료의 화학에너지를 전기화학적인 반응을 통하여 직접 전기를 얻는 장치로서 연료의 연소반응 없이 1차 에너지 변환과정만으로 전기를 얻을 수 있어 이론적으로는 가장 효율적인 발전장치로 알려져 있다.1,2) 일반적으로 연료전지는 Table 1과 같이 전해질의 종류에 따라 알칼리형(AFC, Alkaline Fuel Cell), 인산형(PAFC, Phosporic Acid Fuel Cell), 용융탄산염 (MCFC, Molten Carbonate Fuel Cell), 고체산화물형 (SOFC, Solid Oxide Fuel Cell), 고체고분자형의 연료전지(PEMFC,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그리고 직접 메탄올연료전지(DMFC, Direct Methanol Fuel Cell)가 있다. | |
공기극 재료가 산화분위기에서 화학적, 구조적으로 안전해야하고 충반한 전기전도도를 가져야하며 주변 부품들과 좋은 친화성을 가져야 하는 이유는? |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에서 공기극(Cathode)은 산화제의 전기화학적 환원반응의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공기극 재료는 산화분위기에서 화학적으로, 구조적으로 안전해야 하고 운전온도의 산화분위기에서 전자의 흐름을 지원할 수 있는 충분한 전기전도도를 가져야 하며 주위의 부품 소재들과 화학적으로 좋은 친화성을 가져야 한다. | |
연료전지의 전해질의 종류에 따른 분류는? | 연료전지는 수소 또는 화석연료의 화학에너지를 전기화학적인 반응을 통하여 직접 전기를 얻는 장치로서 연료의 연소반응 없이 1차 에너지 변환과정만으로 전기를 얻을 수 있어 이론적으로는 가장 효율적인 발전장치로 알려져 있다.1,2) 일반적으로 연료전지는 Table 1과 같이 전해질의 종류에 따라 알칼리형(AFC, Alkaline Fuel Cell), 인산형(PAFC, Phosporic Acid Fuel Cell), 용융탄산염 (MCFC, Molten Carbonate Fuel Cell), 고체산화물형 (SOFC, Solid Oxide Fuel Cell), 고체고분자형의 연료전지(PEMFC,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그리고 직접 메탄올연료전지(DMFC, Direct Methanol Fuel Cell)가 있다.3) 이러한 연료전지는 또한 AFC와, DMFC, PEMFC, PAFC 등과 같이 비교적 저온(약250℃이하)에서 운전되는 저온형 연료전지와 약 500℃ 이상의 온도에서 운전되는 고온형 연료전지로 나눌 수 있다. |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