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분자량 생분해성 폴리옥살레이트의 합성과 특성분석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High Molecular Weight Biodegradable Polyoxalate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34 no.6, 2010년, pp.547 - 552  

김세호 (전북대학교 고분자.나노공학과) ,  유한나 (전북대학교 BIN 융합공학과) ,  강길선 (전북대학교 고분자.나노공학과) ,  이동원 (전북대학교 고분자.나노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생분해성 고분자는 제약 및 생명공학 분야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물질로 특히 나노미립구의 형태로 약물전달체의 개발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cyclohexanedimethanol과 oxalyl chloride를 pyridine의 존재 하에서 반응하여 고분자량의 생분해성 퍼옥살레이트 고분자를 합성하고 그 물리화학적 및 생물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폴리옥살레이트는 분자량이 약 75000 Da 정도인 반결정성 고분자이며 물에서 가수분해가 일어남을 GPC와 NMR로 확인하였다. 소수성의 폴리옥살레이트는 단일유화법으로 나노미립구로 제조될 수 있으며 약물을 포접할 수 있고 아주 우수한 세포안정성을 가졌다. 용이한 합성과 우수한 물리화학적 및 생물학적 특성을 바탕으로 폴리옥살레이트 나노미립구는 약물전달체 개발에 아주 높은 잠재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iodegradable polymers have gained enormous attentions in the pharmaceutical and biomedical applications, especially in drug delivery. In this work, we report the synthesis and characteristics of high molecular weight polyoxalate with ~75000 Da. Hydrolytic degradation kinetics and degradation produ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대상 데이터

  • Materials. Oxalyl chloride, 1,4-cyclohexanedimethanol, dichloromethane (DCM), and poly(vinyl alcohol) (PVA) were purchased from Sigma-Aldrich (St. Louis, MO. USA). Pyridine was obtained from Junsei Chemical (Japan).
  • Characterization of Polyoxalate. The chemical structure of polyoxalate was investigated with a 400 MHz 1 H NMR spectrometer (JNM-EX400 JEOL) using CDCl 3 as a solvent. The molecular weight of polyoxalate was determined using a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with polystyrene standards.

이론/모형

  • Figure 8. Cytotoxicity of polyoxalate nanoparticles based on the MTT assay.
  • Polyoxalate is hydrophobic and semicrystalline polymer and suitable for the nanoparticle formulation. The polyoxalate nanoparticles were prepared using a single emulsion/solvent displacement method and observed using SEM. They were round spheres with smooth surface and had a mean diameter of ∼550 nm (Figure 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J. M. Criscione, B. L. Le, E. Stern, M. Brennan, C. Rahner, X. Papademetris, and T. M. Fahmy, Biomaterials, 30, 3946 (2009). 

  2. L. Brannonpeppas, Int. J. Pharm., 116, 1 (1995). 

  3. M. J. Heffernan and N. Murthy, Bioconjug. Chem., 16, 1340 (2005). 

  4. O. S. Kluin, H. C. van der Mei, H. J. Busscher, and D. Neut, Biomaterials, 30, 4738 (2009). 

  5. M. S. Kim, K. S. Seo, G. Khang, S. H. Cho, and H. B. Lee, J. Biomed. Mater. Res. Part A, 70A, 154 (2004). 

  6. F. L. Mi, S. S. Shyu, Y. M. Lin, Y. B. Wu, C. K. Peng, and Y. H. Tsai, Biomaterials, 24, 5023 (2003). 

  7. F. L. Mi, Y. M. Lin, Y. B. Wu, S. S. Shyu, and Y. H. Tsai, Biomaterials, 23, 3257 (2002). 

  8. B. S. Kim, J. M. Oh, K. S. Kim, K. S. Seo, J. S. Cho, G. Khang, H. B. Lee, K. Park, and M. S. Kim, Biomaterials, 30, 902 (2009). 

  9. S. C. Yang, M. Bhide, I. N. Crispe, R. H. Pierce, and N. Murthy, Bioconjug. Chem., 19, 1164 (2008). 

  10. S. Kim, K. Seong, O. Kim, H. Seo, M. Lee, G. Khang, and D. Lee, Biomacromolecules, 11, 555 (2010). 

  11. S. J. Holland, B. J. Tighe, and P. L. Gould, J. Control. Release, 4, 155 (1986). 

  12. S. Lee, S. C. Yang, M. J. Heffernan, W. R. Taylor, and N. Murthy, Bioconjug. Chem., 18, 4 (2007). 

  13. M. M. Rauhut, Acc. Chem. Res., 2, 80 (1969). 

  14. A. G. Hadd, D. W. Lehmpuhl, L. R. Kuck, and J. W. Birks,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76, 1237 (1999). 

  15. S. W. Shalaby and D. D. Jamiolkowski, U.S. Patent 4,130,639 (1978). 

  16. A. C. R. Grayson, G. Voskerician, A. Lynn, J. M. Anderson, M. J. Cima, and R. Langer, J. Biomater. Sci.-Polym. Ed., 15, 1281 (2004). 

  17. J. Y. Yoo, J. M. Kim, K. S. Seo, Y. K. Jeong, H. B. Lee, and G. Khang, Bio-Med. Mater. Eng., 15, 279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