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tuxnet의 파일 은닉 기법 분석 및 무력화 방법 연구
Analysing and Neutralizing the Stuxnet's Stealthing Techniques 원문보기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v.14 no.6 = no.45, 2010년, pp.838 - 844  

이경률 (순천향대학교 정보보호학과) ,  임강빈 (순천향대학교 정보보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현재 전 세계적으로 사이버전의 심각성을 자극하고 있는 악성코드인 Stuxnet에 대해 소개하고, Stuxnet이 전파되는 방법 및 감염 증상에 대해 분석하며 그 구조에 따른 치료 방안을 제안한다. Stuxnet과 같은 악성코드는 시스템 내에서 은닉되어 전파되기 때문에 이를 탐지하거나 치료하기 위해서는 이들이 사용하는 파일 은닉 기법을 분석해야 한다. 본 논문의 분석 결과, Stuxnet은 자신을 구성하는 파일들의 은닉을 위하여 유저레벨에서 라이브러리 후킹을 활용한 기법과 커널레벨에서 파일시스템 드라이버의 필터 드라이버를 활용한 기법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Stuxnet이 활용하는 파일 은닉 기법에 대한 분석 결과를 소개하고, 이를 무력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며, 실험을 통해 실제 무력화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introduces Stuxnet, a malicious ware that presently stimulates severity of the cyber warfare worldwide, analyses how it propagates and what it affects if infected and proposes a process to cure infected systems according to its organization. Malicious wares such as Stuxnet secretes them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논문은 Stuxnet에서 사용하는 파일 은닉 기법을 분석하고 분석된 기법을 토대로 이를 무력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제시된 방안을 구현하였으며, 이를 실제 감염된 컴퓨터에서 실험함으로써 제안한 방안이 Stuxnet의 파일 은닉 기법을 무력화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 본 논문은 최초의 사이버전을 야기하는 사이버 미사일로 불리우며 최근 사회적 문제를 일으키고 있는 악성코드인 Stuxnet의 감염 후 증상과 전파 방법에 대해 조사하였고, Stuxnet이 파일 은닉을 위해 사용하는 유저레벨 및 커널레벨에서의 기법을 분석하였다. 분석된 내용을 토대로 파일은닉을 무력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무력화를 위한 실제 코드를 구현하여 이를 검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tuxnet은 언제 처음 발견되었는가? Stuxnet은 최초로 산업자동화제어시스템(SCADA System)을 타켓으로 제작된 악성코드로 폐쇄망으로 운용되는 주요 기반시설을 공격하며 벨라루스에서 2010년 6월 처음 발견되었다[3]. Stuxnet이라는 명칭을 가지게 된 이유는 바이러스 코드 안에 “Stuxnet”으로 시작하는 파일의 이름이 많아서 USB 자동실행 취약점, 네트워크 공유 취약점, LNK 파일 취약점을 이용하여 마이크로소프트사의 MS10-046(서버 서비스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4], MS10-061(윈도우 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코드 실행 문제점)[5], MS08-067(인쇄 스풀러 서비스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6] 등을 통해 전파한다.
Stuxnet에서 사용되는 파일 중, LNK 파일은 어떤 파일이며, 어떤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가? “xxxx” 부분은 랜덤한 값으로 생성된다. LNK 파일은 바로 가기 파일이며, 링크된 디렉토리나 파일을 실행할 수 있도록 경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따라서 LNK 파일 내의 경로에 해당하는 부분을 Stuxnet, 즉 “~wtr4141.
Stuxnet은 무엇과 무엇을 이용하는가? Stuxnet이라는 명칭을 가지게 된 이유는 바이러스 코드 안에 “Stuxnet”으로 시작하는 파일의 이름이 많아서 USB 자동실행 취약점, 네트워크 공유 취약점, LNK 파일 취약점을 이용하여 마이크로소프트사의 MS10-046(서버 서비스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4], MS10-061(윈도우 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코드 실행 문제점)[5], MS08-067(인쇄 스풀러 서비스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6] 등을 통해 전파한다. Stuxnet은 명령제어서버와 P2P 업데이트를 이용하는데 그 50% 이상이 이란에 분포되어 있으며 여러 나라의 주요 산업시설에 전파되고 있다. 현재 분포된 현황을 그림 1에 나타내었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안철수연구소 "ASEC 리포트", ASEC, 2010년 9월 

  2. 아이뉴스24, "최악 악성코드 스턱스넷 그 정체는?", 2010년 10월 

  3. 연합뉴스, "행안부, 스턱스넷 감염차단 긴급조치", 2010년 10월 

  4. Microsoft, "http://support.microsoft.com/kb/2286198/ko", 2010년 8월 

  5. Microsoft, "http://support.microsoft.com/kb/2347290/ko", 2010년 10월 

  6. Microsoft, "http://support.microsoft.com/kb/958644/ko", 2009년 1월 

  7. Aleksandr Matrosov, Eugene Rodionov, David Harley, Juraj Malcho, "Sluxnet Under the Microscope Revision 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