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안전성이 확보된 천연항균제 개발을 목표로,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국내산 및 수입산 한방 생약재 61종류로부터 원산지별,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 68종을 조제하고 이들의 항균활성을 평가하였다. 사용한 생약재는 중국산 46종, 국내산 14종, 북한산 5종 및 베트남산 3종이었으며, 사용 생약재의 부위로는 뿌리가 27종으로 많았으며, 열매, 껍질, 줄기, 잎, 종자, 꽃, 균핵, 꽃가루 순이었다. 생약재의 평균수분함량은 7.10% 이었고, 에탄올에 대한 평균 추출율은 6.75%를 나타내었다. Disc-diffusion법에 의한 생약재의 항균활성 결과, 고본(중국산), 팔각향, 등심초, 오배자, 단삼정향에서 광범위한 항세균 및 항진균 활성을 확인하였으며, 이들에 대한 최소생육억제농도(MIC)와 최소사멸농도(MBC/MFC)를 평가한 결과, 정향에서 다양한 세균, 진균에 대해1.25 mg/mL의 MIC와 1.25~5.00 mg/mL의 MBC/MFC를 나타내어 가장 광범위한 항균활성을 확인하였으며, 등심초, 오배자, 단삼에서는 Escherichia coli와 Pseudomonas aeruginosa 를 제외한 세균에서 0.08~0.63 mg/mL의 MIC와 0.08~2.50 mg/mL의 MBC/MFC를 나타내어 강력한 항세균 활성을 확인하였다. 한편 68종 시료의 인간 적혈구에 대한 용혈활성 평가 결과, 고본(중국산) 추출물이 $500\;{\mu}g/mL$ 농도에서 17.8%의 용혈활성이 나타나, 이를 제외한 팔각향, 등심초, 오배자, 단삼 및 정향 추출물을 천연항균제 한방자원으로 최종 선정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develop the safe and natural antimicrobial agents, the 68 ethanol extracts from the 61 different kinds of oriental herbal medicine were prepared and their antimicrobial activities were evaluated. The herbal medicine used were from China (46 kinds), South Korea (14 kinds), North Korea (5 kinds)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다 안전한 천연 항균제 개발을 목표로, 국내에서 대량으로 유통되는 한방 생약재의 에탄올 추출물을 조제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식품부패세균 및 병원성 세균, 진균에 대한 항균력 및 인간 적혈구 용혈활성을 평가하여 한방생약재의 천연항균제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한방 생약재로부터 천연항균제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합성보존료들의 지속적인 사용이 문제되는 이유는? 현재 국내에서는 유해 식중독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고 식품의 저장기간을 연장시키기 위한 보존료 사용이 일반적이며, 벤조산을 비롯한 13종의 합성보존료가 국내 식품위생법상 허가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합성보존료들의 지속적인 사용은 만성독성, 발암 및 돌연변이 유발 등의 위험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그 사용에 제한이 있으며, 또한 합성보존제 사용의 법적규제 강화와 소비자들의 안전과 건강에 대한 욕구증대에 기인하여 합성보존제 사용의 기피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12].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식품의 보존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천연항균제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며, 최근에는 자생 및 식용식물 추출물로부터 항균활성물질의 탐색과 활성물질 규명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3, 4, 7, 11, 13, 15].
현재 국내에서 사용하는, 식중독 관련미생물들의 효율적인 제어 방법은? 또한 집단급식 및 외식산업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식품위해를 나타낼 수 있는 식중독 관련미생물들의 효율적인 제어에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17]. 현재 국내에서는 유해 식중독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고 식품의 저장기간을 연장시키기 위한 보존료 사용이 일반적이며, 벤조산을 비롯한 13종의 합성보존료가 국내 식품위생법상 허가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합성보존료들의 지속적인 사용은 만성독성, 발암 및 돌연변이 유발 등의 위험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그 사용에 제한이 있으며, 또한 합성보존제 사용의 법적규제 강화와 소비자들의 안전과 건강에 대한 욕구증대에 기인하여 합성보존제 사용의 기피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12].
본 연구에서, Disc-diffusion법에 의한 생약재의 항균활성을 평가한 결과는? 75%를 나타내었다. Disc-diffusion법에 의한 생약재의 항균활성 결과, 고본(중국산), 팔각향, 등심초, 오배자, 단삼 및 정향에서 광범위한 항세균 및 항진균 활성을 확인하였으며, 이들에 대한 최소생육억제농도(MIC)와 최소사멸농도(MBC/MFC)를 평가한 결과, 정향에서 다양한 세균, 진균에 대해1.25 mg/mL의 MIC와 1.25~5.00 mg/mL의 MBC/MFC를 나타내어 가장 광범위한 항균활성을 확인하였으며, 등심초, 오배자, 단삼에서는 Escherichia coli와 Pseudomonas aeruginosa 를 제외한 세균에서 0.08~0.63 mg/mL의 MIC와 0.08~2.50 mg/mL의 MBC/MFC를 나타내어 강력한 항세균 활성을 확인하였다. 한편 68종 시료의 인간 적혈구에 대한 용혈활성 평가 결과, 고본(중국산) 추출물이 $500\;{\mu}g/mL$ 농도에서 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hn, D. J., Y. S. Kwak, M. J. Kim, J. C. Lee, C. S. Shin, and K. T. Jeong. 2000. Screening of herbal plant extracts showing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ome food spoilage and pathogenic microorganisms. Kor. J. Med. Crop Sci. 8: 109-116. 

  2. Ahn, S. M., H. Y. Ryu, D. K. Kang, I. C. Jung, and H. Y. Sohn. 2009.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er fruit of Prunus avium L. Kor. J. Microbiol. Biotechnol. 37: 371-376. 

  3. Beuchat, L. R. and D. A. Golden. 1989. Antimicrobial occurring naturally in foods. Food Technol. 43: 131-141. 

  4. Board, R. G. 1969. The microbiology of the hens egg. In advances in Applied Microbiology. Vol. 2. D. Perlman, Ed. Academic Press, New York. 

  5. Cai, H., S. I. Choi, Y. M. Lee, and T. R. Heo. 2002. Antimicrobial effects of herbal medicinal extracts on Staphylococcus aureus and Escherichia coli O157:H7. Kor. J. Biotechnol. Bioeng. 17: 537-542. 

  6. Do, J. R., K. J. Kim, J. H. Jo, Y. M. Kim, B. S. Kim, H. K. Kim, S. D. Lim, and S. W. Lee. 2005. Antimicrobial, antihypertensive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medicinal herbs. Kor. J. Food Sci. Technol. 37: 206-213. 

  7. Grayer, R. J. and J. B. Harbone. 1994. A survey of antifungal compounds from higher plants. Phytochemistry 37: 19-24. 

  8. Han, S. H., N. R. Y. Woo, S. D. Lee, and M. H. Kang. 2006. Antioxidative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endemic plants extracts in Korea. Kor. J. Med. Crop Sci. 14: 49-55. 

  9. Han, W. S. 2004. Isolation of antimicrobial compounds from Salvia miltiorrhiza Bunge. Kor. J. Med. Crop Sci. 12: 179-182. 

  10. Lee, C. B. 2003. Illustrated flora of Korea. Hwang Moon Sa, Seoul. 

  11. Lee, S. E., C. G. Park, M. S. Cha, J. K. Kim, N. S. Seong, K. H. Bang, and J. K. Bang. 2002. Antimicrobial activity of essential oils from Mentha arvensis L. and Agastache rugosa on Escherichia coli and Salmonella typhimurium. Kor. J. Med. Crop Sci. 10: 206-211. 

  12. Lewis, R. J. 1989. Their regulatory status their use by the food industry. In Food additives handbook, Robert W. D. (Ed), Nostrand Reinhold, New York, p. 3-27. 

  13. Oh, D. H., S. S. Ham, B. K. Park, C. Ahn, and J. Y. Yu. 1998. Antimicrobial activities of natural medicinal herbs on the food spoilage or foodborn disease microorganisms. Kor. J. Food Sci. Technol. 30: 957-963. 

  14. Phengpaichit, S., N. Pujenjob, V. Rukachaisirikul and M. Ongsakul. 2005.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crude methanol extract of Acorus calamus Linn. Songklanakarin J. Sci. Technol. 27: 517-523. 

  15. Ryu, H. Y., I. S. Kwun, S. J. Park, B. H. Lee, and H. Y. Sohn. 2007. Inhibition of browning in yam fresh-cut and control of yam-putrefactive bacterium using acetic acid or maleic Acid. Kor. J. Microbiol. Biotechnol. 35: 135-141. 

  16. Ryu, H. Y., K. H. Bae, E. J. Kum, S. J. Park, B. H. Lee, and H. Y. Sohn. 2007. Evaluation of the antimicrobial, antioxidant and antithrombosis activity of natural spices for fresh-cut yam. J. Life Sci. 17: 652-657. 

  17. Scott, V. N. 1988. Safety considerations for new generation refrigerated foods. Dairy Food Environ. Sanitation 8: 5-8. 

  18. Woo, S. S., Y. K. Park, C. H. Choi, K. S. Hahm, and D. G. Lee. 2007. Mode of antibacterial action of a signal peptide, $Pep^{27}$ from Streptococcus pneumoniae. Biochem. Biophys. Res. Comm. 363: 806-810. 

  19. Zaika, L. L. 1988. Spices and herbs: their antimicrobial activity and its determination. J. Food Safety. 9: 97-10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