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6 뇌신경 마비로 진단된 마비성(痲痺性) 사시(斜視) 환아(患兒) 1례(例) 보고(報告)
One Clinical Study on Strabismus Patient of Abducence Nerve Paralysis with Oriental Medicine 원문보기

大韓韓方小兒科學會誌 = The journal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v.24 no.3, 2010년, pp.26 - 32  

천진홍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소아과교실) ,  민상연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소아과교실) ,  김장현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소아과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is to report a case of the paralytic strabismus with herbal medicine and acupuncture. Strabismus refers to the oculomotor muscles imbalance resulted from improper alignment of the visual axis of the two eyes. Our goal is to know the effectiveness and safety in children from 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1) 탄소광선(Carbon-ray) 요법 : 3001, 5000 탄소봉 (黑田製作所, 日本 千葉)과 광선조사기(model SNO-1, 신진전자, 경기도 안성시 단원구 성곡동 606-6)을 이용하여 後頭部를 20분/회씩 조사하였다. 1회/일씩 24일간 총 24회 시술하였다.
  • (2) 뜸 치료 : 溫通經絡, 祛寒除濕, 回陽救逆을 위해 온구기(햇님 神氣灸, 햇님뜸 보성사, 경기도 의정부시 의정부2동 533-7 동양빌딩 1층)를 이용하여 中脘(CV12)에 뜸 1장(햇님 神氣灸 쑥봉, 햇님뜸보성사)을 1회/일씩 24일간 총 24회 시술하였다.
  • (3) 향기요법 : 비염으로 인한 衄血이 있는 동안 通竅湯 증류탕전 13㏄에 Cypress, Eucalyptus, Peppermint 아로마 오일(한의자연요법학회, 서울시 금천구가산동 319 호서대벤처타워 1204호) 1 drop씩 혼합한 혼합액을 증기 흡입법 중 nebulizer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 (4) 경피적외선조사요법(Infra-red) : 침 치료 동안 경피적외선조사요법(Infra-red)을 병행하였다.
  • (1) 탄소광선(Carbon-ray) 요법 : 3001, 5000 탄소봉 (黑田製作所, 日本 千葉)과 광선조사기(model SNO-1, 신진전자, 경기도 안성시 단원구 성곡동 606-6)을 이용하여 後頭部를 20분/회씩 조사하였다. 1회/일씩 24일간 총 24회 시술하였다.
  • 2010년 3월 6일부터 3월 22일까지 十全大補湯加味方을 사용하였으며, 2010년 3월 23일부터 3월 31일까지는 補肝壯筋湯加味方을 사용 하였다. 2010년 3월 13일부터 17일까지는, 치료 도중 衄血이 발생하여, 기존에 복용 중인 한약을 중단하고加味兒科止衄湯으로 치료를 하였다. 한약의 구성내역은 Table 1과 같다.
  • 1일 2첩을 3팩 120㏄로 만들어 매 식후 30분에 1팩씩 복용하도록 하였다. 2010년 3월 6일부터 3월 22일까지 十全大補湯加味方을 사용하였으며, 2010년 3월 23일부터 3월 31일까지는 補肝壯筋湯加味方을 사용 하였다. 2010년 3월 13일부터 17일까지는, 치료 도중 衄血이 발생하여, 기존에 복용 중인 한약을 중단하고加味兒科止衄湯으로 치료를 하였다.
  • 각 穴位에 1개의 호침(0.25×30㎜, 동방침구 제작소, stainless still)을 침관을 이용하여 자침하였다.
  • 患兒는 평소 야구부 운동선수로 활동하였는데, 발병 직전의 방학기간동안 전지합숙훈련을 다녀왔으며 그에 따른 육체적, 정신적 피로를 느꼈으며, 발병 수일전 惡寒, 咳嗽 등의 가벼운 감기 증상이 있었다고 한다. 이 점에 착안하여, 正氣不足으로 脈絡이 空虛한데 風邪가 侵入하여 증상이 발생한 것으로 辨證하고 안구운동의 개선을 목표로 한 약물 치료 및 침구 치료 등을 병행하였다.
  • 치료 초기에는 氣血陰陽을 幷補하는 十全大補湯加味方을 사용하였는데, 滋陰補血하는 熟地黃, 壯元陽補氣血하는 鹿茸, 大補元氣 固脫生津하는 人蔘을 君藥으로 하고 發表和中시키는 藿香, 蘇葉과 順氣, 開鬱, 散寒시키는 烏藥을 加味하여 補養筋脈, 解表化痰하였고, 치료 후기에는 補肝壯筋湯을 사용하여 후유증 및 재발을 방지하였다. 또한 祛痰의 특효혈인 中脘(CV12)에는 매일 1회씩 艾灸療法을, 足三里(ST36), 合谷(LI14)에는 침치료를 하였으며, 眼疾患의 주요혈인 攢竹 (BL2), 睛明(BL1), 承泣(ST1), 瞳子髎(GB1), 絲竹空 (TE23), 太陽(HN46), 頭臨泣(GB15)의 침치료를 병행하여 현재까지 사시의 재발없이 유지되고 있다22).
  • 침 치료는 1회/일씩 24일간 총 24회 실시하였으며 치료 시 20분간 유침하였고 治療穴은 合谷(LI4)과 足三里(ST36), 攢竹(BL2), 睛明(BL1), 承泣(ST1), 瞳子髎 (GB1), 絲竹空(TE23), 太陽(HN46), 頭臨泣(GB15)을 선택하였다. 각 穴位에 1개의 호침(0.

대상 데이터

  • 내원 당시 본 증례의 患兒는 좌측 안구 외전운동이 불가능하였으며, 그로 인한 複視와 眩暈이 나타났다. 안대착용이나 보호자의 도움 없이는 보행이 불가능한 정도로 複視와 眩暈이 심하였으나, 그 외 다른 증상은 없었고 이전 의료기관에서 시행한 MRI(brain) 및 각종 검사에서도 특이 사항은 발견되지 않았다.
  • 본 증례의 환자는 만 13세의 보통 체형의 내성적 남아로서, 2010년 3월 4일 기상 후 갑자기 발생한 좌측내사시를 주소로 2010년 3월 4일 거주지 인근의 3차 의료기관 안과에 내원하여 MRI(brain) 및 각종 검사 상 외전신경마비로 진단받았으며 특별한 치료없이 경과 관찰만 하기로 하고 가료하던 중, 2010년 3월 6일 한의학적 치료 및 상담을 위해서 본원에 내원하였다.
  • 상기 환아 13세 보통 체형, 내성적 성격의 남자로, 발병일 수일 전 가벼운 감기증상(惡寒, 咳嗽) 앓은 후 발병당일 기상 직후 특별한 이유로 左眼의 內轉, 複視, 眩暈이 발생하여 거주지 인근의 3차 의료기관에서 X-ray(Chest PA), brain CT, MRI(brain), ECG, Lab-test 후 이상 소견 없음을 진단 받은 후 가료지시만 받은 상태로 MRI(brain) 결과를 기다리던 중, 환자 및 보호자분(어머니) 2010년 3월 6일 본원 내원하여 한의학적 치료에 대한 설명 듣고 집중적인 한방치료 원하여 2010년 3월 8일 입원하였으며, 입원치료기간은 3월 8일부터 3월 31일까지로, 총 24일간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시는 무엇으로 분류되는가? 사시는 전체 인구의 4%를 차지하는 질환으로 좌우 안의 시축이 동일점을 향하지 않는 상태를 말하며 마비성 사시와 비마비성 사시로 분류된다. 마비성 사시는 마비 정도에 따라 완전마비(paralysis)와 불완전마비(paresis)로 나누며 원인으로는 외안근 자체의 병변과 신경마비로 분류한다.
국내외에 보고된 바에 의하면, 제 3, 4, 6 뇌신경마비에 대한 총괄적인 발생빈도를 보면 제6 뇌신경(외전신경, abducens nerve)의 마비가 가장 많고 다음에 제3 뇌신경(동안 신경, oculomotor nerve), 제4 뇌신경(활차신경, trochlear nerve) 순이라고 보고한 이유는? 국내외에 보고된 바에 의하면, 제 3, 4, 6 뇌신경마비에 대한 총괄적인 발생빈도를 보면 제 6 뇌신경(외전신경, abducens nerve)의 마비가 가장 많고 다음에 제 3 뇌신경(동안신경, oculomotor nerve), 제 4 뇌신경(활차신경, trochlear nerve) 순이라고 보고하였다. 이는 해부학적으로 외전신경은 제 4 뇌실의 하방, 뇌교(pons)와 연수 (medulla)가 만나는 부위의 내외측에 존재하는 신경핵에서 나와 동측의 외직근에 이르기까지 주행경로가 길고 복잡하여 외상이나 두개강 내의 출혈, 종양 등으로 다른 어떤 뇌신경보다 쉽게 손상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4, 16-9).
사시란? 사시는 전체 인구의 4%를 차지하는 질환으로 좌우 안의 시축이 동일점을 향하지 않는 상태를 말하며 마비성 사시와 비마비성 사시로 분류된다. 마비성 사시는 마비 정도에 따라 완전마비(paralysis)와 불완전마비(paresis)로 나누며 원인으로는 외안근 자체의 병변과 신경마비로 분류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蔡炳允. 東醫眼耳卑咽喉科學. 서울:集文堂. 1994: 130-44. 

  2. 안효섭. 홍창의 소아과학(제9판). 서울: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7:1191-3. 

  3. 김기봉, 김덕곤, 김윤희, 김장현, 민상연, 박은정 외. 한방소아청소년의학. 서울:도서출판 의성당. 2010: 927-9. 

  4. 노석선. 原色 眼耳卑咽喉科學(제3판). 서울:(주)아이비씨기획. 2007:281-98. 

  5. 윤동호, 이상욱, 최 억. 안과학. 서울:일조각. 1996: 223-45. 

  6. 박은정, 신소영. 小兒 斜視에 關한 文獻的 考察 -東西醫學의 比較-.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1996;10(1):35-76. 

  7. 金昌煥, 金容奭. 外轉神經痲痺 斜視患者의 韓方治驗1例. 대한한의학회지. 1997;18(1):82-6. 

  8. 김남권, 황충연. 외안근 전침 자극을 이용한 마비성사시 환자의 치험 3례.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3; 17(1):247-50. 

  9. 엄유식, 심성용, 남혜정, 김경준. 동안신경마비 사시환자 1례 증례보고. 대한안이비인후과피부과학회지. 2004;17(3):126-30. 

  10. 이규진, 김혜정. 마비성 사시환자 1례. 대한안이비인후과피부과학회지. 2004;17(3):120-5. 

  11. 강승범, 강성길, 고형균. 痲痺性 斜視의 韓方治驗 3例 報告. 대한침구학회지. 2007;24(1):227-34. 

  12. 최애련, 하진호, 이정환, 장우석, 구덕모. 凉膈散火湯으로 好轉된 少陽人 外轉神經痲痺 斜視患者 치험 1례. 사상체질의학회지. 2008;20(3):176-83. 

  13. 김남권. 외안근 전침요법을 이용한 소아의 마비성사시 치험 1례.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06; 19(3):232-6. 

  14. 김남권. 외안근 전침요법을 이용한 교통사고 유발 마비성 사시 환자의 치험 1례.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08;21(1):133-8. 

  15. 金中鎬, 蔡炳允. 麻痺性 斜視患者의 韓方治驗 3例. 경희의학. 1992;8(4):437-42. 

  16. 김성식, 진경현, 김상민. 제 3, 4, 6 뇌신경마비의 신경안과적 관찰. 대한안과학회지. 1991;32(4):283-8. 

  17. 박규형, 장봉린. 제 3, 4, 6 뇌신경 마비의 원인 및 임상 양상. 대한안과학회지. 1997;38(8):1432-6. 

  18. Ruker CW. Paralysis of the third, fourth, and sixth cranial nerves. Am J Ophthalmol. 1966;61:1293-8. 

  19. Rush JA, Younge BR. Paralysis of cranial nerves: cause and prognosis in 1000cases. Arch Ophthalmol. 1987; 99:76-9. 

  20. 김종찬, 배계종. 외전신경마비에서 실리콘 밴드를 이용한 수술 1례. 대한안과학회지. 1996;37(7):1196-9. 

  21. 전찬, 사호석, 오세열. 6번 뇌신경마비의 원인과 자연경과. 대한안과학회지. 2006;47(11):1776-9. 

  22. 대한침구학회 교재편찬위원회. 鍼灸學 上(제2판). 서울:집문당. 2008:5-25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