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립제와 환제 및 현탁액으로 만들어진 생약제제의 중금속 농도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in Granule, Globular and Liquid types of Herbal Medicines 원문보기

KSBB Journal, v.25 no.1, 2010년, pp.91 - 96  

배종섭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제약공학과) ,  박종필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제약공학과) ,  김용웅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제약공학과) ,  박문기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제약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n endeavor to evaluate the safety of medicines from heavy metals, prescribed on the basis of herbal medicinal system and oriental medical prescription which are circulated much recently. For that, six globular types, six granular types and seven liquid types of herbal medicines were 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한의학적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제조되어 시중에 많이 유통되고 있는 한방생약제제 및 한방처방에 근거를 둔 약들의 모니터링과 제형의 변화에 따른 중금속의 농도를 대표적인 발암성 유독중금속인 As (arsenite), Pb (lejui), Cd (cadmium) 및 Hg (mercury)# 살펴보고, 시중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는 한방생약제제의 안전성에 대해 평가하고 이를 기준으로 원료약재를 관리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흐}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시중의 약국에서 유통되고 있는 한방생약제제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은단 및 우황청심환 등과 같이 과립제제와 환으로 제조된 12종 제품과 우황청심환 현탁액 등의 액상으로 제조된 7종 제품을 구입하여 인체에 유해 중금속인 As, Pb, Cd 및 Hg의 함량에 대하여 비교분석하여 보았다. 분석을 한 19개 제품 모두 전반적으로 유해중금속 농도가 낮게 검출 되었지만 각 생약제제 별로 미량의 차이를 보였으며, 중금속 함량 측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환제제 및 과립으로 제조된 생약제제 12개 제품의 중금속 농도는 허용치보다 낮게 검출이 되었으며, As의 농도는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Jung, D. H. and M. K. Park (2008) The content of heavy metals in manufactured herbal medicines. J.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7: 12-133. 

  2. Kim, S. Y. (2005) A Study on the Risk Assessment of Hazardous Materials in Herbal Medicines. M. S. Thesis. Daegu Haany University, Daegu, Korea. 

  3. Park, H. M., K. H. Choi, J. Y. lung, and S. D. Lee (2006) Metal exposure through consumption of herbal medicine, and estimation of health risk among Korean population. Kor. J. Env. Helth. 32: 186-191. 

  4. Park, M. K., S. Y. Kim, and H. U. Hwang (2004) A study on the heavy metal contents in herbal medicines. -Cultivated herbal medicines at north Gyeongbuk area-. J.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3: 1117-1122. 

  5. Park, G. H. (1992) Pb, Cu, Zn contaminants and their correlation of soil, leave and bark of ginkgo. B and ambient air adjacent to a heavy traffic road side. Kor. J. Env. Helth. 18: 19-25. 

  6. Hong, S. U. and S. H. Park (1984) Studies on the pollution of heavy metal in soil and vegetable. Kor. J. Env. Helth. 10: 33-45. 

  7. Rhee, S. J., S. O. Kiln, and W. K. Choe, (1992) Effect of cadmium dose injection on peroxidative damage in rat liver in Kore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1: 601-607. 

  8. Jung, S. Y., S. J. Rhee, and J. A. Yang (1990) Effect of dietary vitamin E levels on lipid peroxidation and enzyme activities of antioxidative system in brain of cadmium administered rats in Kore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 575-580. 

  9. Rabinowits, M. B. and G. W. Weatherill (1973) Lead metabolism in the normal human; stable isotope studies. Science. 182: 275. 

  10. Choi, S. I., J. H. Lee, and S. R. Lee (1994) Effect of green teabeverage for the removal of cadmiym and lead by animal experiments in Korean.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745-749. 

  11. Schroeder, H. A. and W. H. Vinton (1962) Hypertension induced in rats by small doses of cadmium. Am. J. Physiol. 202: 515-518. 

  12. Nordberg, M. (1984) General aspects of cadmium: transport, uptake and metabolism by the kidney. Inviron. Health Persp. 54: 13-20. 

  13. Choi, S. I., J. B. Hwang, J. H. Kwon, and H. K. Kim (1998) Suppressing Effect of Medicinal Plants on the Intestinal Absorption of Heavy Metal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456-460. 

  14. Kim, J. H. (2004) Residues of the organochlorine pesticides and heavy metal in culture environment of ginseng on sangju.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Toxicology 19: 183-189. 

  15.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http://www.kfda. go.kr.(2005). 

  16. Park, M. K., H. J. Lee, K. J. Kim, and Y. S. Moon (2005) The correlation of heavy metal contents in herbal medicines and their soils at north Gyeongbuk area. J. Environ. Sci. 14: 185-192. 

  17. Kang, S. J. and H. S. Choi (1972) Effect of road side soil and vegetation with lead and zinc by motor vehicles. Korea J. Bot. 15: 55-6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