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촌마을 내부도로의 현황 및 특성 분석
Analysis on the Actual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Rural Village Roads in Korea 원문보기

농촌계획 : 韓國農村計劃學會誌, v.16 no.1, 2010년, pp.21 - 33  

조은정 (전남대학교 대학원) ,  최수명 (전남대학교 지역바이오시스템공학과) ,  김한얼 (전남대학교 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though there have been carrying out various rural development projects related with village road improvement, most of village roads in Korea are under much poor condition. However, until now, their actual conditions have not been surveyed at all. So, this study aimed at analysing the actual condit...

주제어

참고문헌 (27)

  1. 강구, 2004, Space Syntax 방법론에 의한 농촌마을 공간구조 분석, 한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경완, 손세욱, 1999, 주거지내 골목의 구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계획계), 19(2), 655-660. 

  3. 김종선, 신남수, 1998, 도시 주거지역내 골목길의 행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계획계), 18(2), 691-696. 

  4. 농림부, 2007, 도시민 유치를 위한 기존 농촌마을 정비방안 연구 최종보고서. 

  5. 농림부, 2003, 용도폐기 시설물/부지를 활용한 농촌마을 공간구조 재정비계획 시스템 구축 최종보고서. 

  6. 농림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편찬, 1999, 한국농정 50년사. 

  7. 농림수산식품부, 2007-2008, 농림사업시행지침서. 

  8. 농어촌진흥공사, 1997, 농어촌도로기술총람. 

  9. 농어촌환경개선처 농업기반공사, 2002, 문화마을조성사업 친환경 계획설계 업무편람. 

  10. 농업기반공사, 2001, 환경친화적 농어촌정비사업 설계지침(마을정비편). 

  11. 농업진흥공사, 1986, 농촌계획의 안내서. 

  12. 대한민국 정부, 2008, 농어촌도로정비법. 

  13. 대한민국 정부, 2007, 도로법. 

  14. 박종덕, 장태현, 신병철, 이은엽, 2005, 한국 전통마을의 마을길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논문집, Vol. 3, 67-74. 

  15. 신용재, 김종인, 1990, 도시주택지 골목공간의 장소적 의미, 대한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계획계), 10(2), 277-280. 

  16. 양승정, 김용승, 박용환, 2005, 전통취락 공간구성의 공간통사론적 해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21(10), 41-50. 

  17. 양승정, 박용환, 2005, 길의 구조로 본 한국전통마을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공간통사론적 해석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21(7),39-48. 

  18. 임승빈, 조순재, 박창석, 1995, 취락구조 개선마을 (新村形)의 주민의식 및 공간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 논문집, 1(2), 53-66. 

  19. 임창수, 2008, 어메니티 지향형 농촌마을 공간정비 시스템 개발,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정하우, 기기성, 도덕현, 이남호, 이정재, 최수명, 황한철, 1999, 농촌계획학, 동명사. 

  21. 최수명, 이행욱, 2003, 농어촌 도로의 정비현황 조사 분석 - 전남 군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농촌계획학회 논문집, 9(3), 25-34. 

  22. 최수명, 최동진, 2002, 농어촌도로 정비사업의 정책적 전개방향, 한국농촌계획학회 논문집, 8(2),42-49. 

  23. 한경수, 1999, 농촌마을 수준의 지역자원 평가시스템 개발,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今井 敏行, 1984, 農村整備と 集落道路, 農林統計協?. 

  25. Hillier, Bill and Julienne Hanson, 1984, The social logic of space, Cambridge Univ. 

  26. Marshall, Stephen, 2005, Streets & Pattem, Spon Press. 

  27. http://dic.yonsei.ac.kr (연세 한국어 사전).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