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보길도(甫吉島) 윤선도(尹善道) 유적(遺蹟)에 관한 건축적(建築的) 고찰(考察)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Characters of the Yun Seon Do's Relics at Bogildo 원문보기

건축역사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19 no.1, 2010년, pp.7 - 26  

김영필 (전남문화재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on Yun Seon Do's site located at Bogildo, Wando-gun, Jeonnam, compares the relics found through excavation to literature records and examines the character of relics and architectural features of the sit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ridge and pond incl...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살림집과 달리 별도로 건립되는 기거처로서 별서는 어떤 건축 유형인가? 즉 별서는 살림집과 달리 별도로 건립되는 기거처로서 농장 경영, 은둔과 은일, 휴양, 자연경관의 감상, 강학, 자기수양 등의 용도를 갖는 복합적 기능의 건축유형이며, 살림집에 인접한 경우도 있으나 주로 경승지와 관련된 입지를 보이고 있어 독특한 건축적 성격을 갖는 유형으로 볼 수 있다.
별서건축의 인공적 구성인 건조물을 기능적으로 분류하면 무엇인가? 별서건축의 인공적 구성은 크게 건조물과 조경요소로 나눌 수 있다. 건조물은 기능적인 분류에 의해 거주를 위한 건축물과 휴양을 위한 건축물로 분류된다. 건축물의 구성은 다양한데 1~2동으로 이루어진 예도 많고 담양소쇄원처럼 일곽 내에 여러 동의 건축물로 구성된 사례도 있다.
별서의 사전적 정의는? 보길도 윤선도 유적은 기능상 別墅建築에 해당된다. 별서의 사전적 정의는 농장이나 들이 있는 부근에 한적하게 따로 지은 집으로서 유사어로 別莊, 別邸, 別第, 別業 등이 있고, 조경학 분야에서도 “제택에서 떨어진 인접한경승지나 전원지에 은둔과 은일 또는 순수하게 자연과의 관계를 즐기기 위해 조성하여 놓은 제2의 주택”이라고 하였다.7) 한편 건축분야에서는 精舍기능의 누정8), 정원으로서의 별저9), 경승지에 세운 별장10) 등으로 보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김선우, 한국 주거난방의 사적고찰, 대한건축학회지, 23권 90호, 1979 

  2. 김동욱, 담양 면앙정의 건축형태, 건축역사학회, 2000 

  3. 문화재관리국, 보길도 윤고산유적, 1985 

  4. 문영오, 국어국문학, 고산문학의 풍수사상 현장화 양태 고구, 1998 

  5. 장경호, 한국의 전통건축, 문예출판사,1992 

  6. 전남문화재연구원, 완도 보길도 윤선도유적, 2003 

  7. 전남문화재연구원, 완도 보길도 윤선도유적 II, 2006 

  8. 전남문화재연구원, 완도 보길도 윤선도유적 III, 2009 

  9. 정운채, 윤선도-연군지정과 이념의 시세계-, 건국대학교출판부, 1995 

  10. 정재훈,보길도 부용동 원림, 열화당,1990 

  11. 주남철, 한국건축사, 고려대학교출판부, 2002 

  12. 천득염, 한국의 명원 소쇄원, 발언, 1999 

  13. 한국전통건축연구회, 한국건축사, 도서출판 서우, 2002 

  14. 신종일, 보길도 별서건축을 경영한 고산 윤선도의 건축관에 관한 연구, 건축역사연구, 2004 

  15. 완도군, 보길도 윤선도유적 정비 및 개발 기본 계획, 명지대 한국건축문화연구소, 1999 

  16. 이안진, 고산윤선도의 조경관과 정원의 조성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 석사학위논문, 1995 

  17. 이재근,조선시대 별서정원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 박사논문, 1992 

  18. 이창업, 강영환, 고려시대 별서건축의 조영수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20권 11호9(통권 193호), 2004 

  19. 유우선,보길도의 고산유적과 어부사시사의 배경시론, 호남문화연구, 1977 

  20. 정동오, 고산 윤선도의 별서생활과 부용동 원림의 지원에 대한 고찰, 고산연구, 1987 

  21. 최은창, 홍광균, 보길도 부용동 세연정정원의 공간구성 원리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1994 

  22. 윤일이, 晦齋李彦迪의 建築觀에 관한硏究,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8권 11호 (통권169호), 2002 

  23. 박준규, 孤山의 〈山中新曲〉과 水晶洞, 국어국문학100, 국어국문학회,1988 

  24. 이형대, 이상원, 이성호, 박종우, 국역 고산유고1판, 소명출판, 200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