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석가탑(釋迦塔)과 다보탑(多寶塔)의 명칭적인 타당성 검토
A Review on Nominal Validity of Seokgatab and Dabotab 원문보기

건축역사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19 no.4, 2010년, pp.71 - 90  

염중섭 (동국대학교 철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ames of Seokgatab and Dabotab are almost generalized among the people along with Bulguksa the most well-known temple in Korea. But, despite this generalized situation, the names of Seokgatab and Dabotab have not secured the clear standpoint till now. It is because the names of Seokgatab and Dab...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석가탑과 다보탑이라는 명칭은 어떤 실정인가? 석가탑과 다보탑이라는 명칭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대중적인 인지도를 높게 확보하고 있는 사찰인 불국사[1995년 12월 세계문화유산 등재]와 더불어 거의 일반화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는 ‘無影塔의 전설’과 1966년부터 발행되는 ‘10원권의 다보탑 도안 사용’ 및 경주라는 한때 수학여행 등의 필수 코스였던 ‘천년고도의 상징’으로 불국사와 석굴암(石佛寺)이 높은 위상을 확보하고 있기 때문이다.
널리 일반화되어 있다는 것과 문제의식을 가진다는 것은 어떤 부분인가? 널리 일반화되어 있다는 것과 문제의식을 가진다는 것은 별개의 논리적 층차를 가지는 부분이다. 석가탑과 다보탑과 같은 경우는 불교를 떠나 한국문화의 대표적인 관점에서 일반화되어 있지만, 여기에는 아직까지도 명칭의 문제가 명확하지 않은 부분이 내포되어 있다.
제2장의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제3장에서는 아사달 설화의 내포의미와 다보탑과 석가탑의 건축적 특수성에 반영된 「見寶塔品」과의 형태적인 연관성을 검토해 본 이유는? 제2장의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제3장에서는 아사달 설화의 내포의미와 다보탑과 석가탑의 건축적 특수성에 반영된 「見寶塔品」과의 형태적인 연관성을 검토해 보았다. 이는 석가탑과 다보탑의 명칭과 관련된 명확한 자료가 새로이 발견된다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建塔과 관련된 전승 및 형태적인 특수성에 대한 고찰은 필연적이라고 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서 우리는 석가탑과 다보탑의 보다 분명한 의미파악을 통한 명칭적인 타당성을 시사 받아 보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5)

  1. ?天, 佛國寺事蹟 

  2. 活庵東隱, 佛國寺古今創記 

  3. 崔致遠,華嚴佛國寺阿彌陀佛畵像讚 

  4. 高聽, 圓融國師碑銘 

  5. 이종상, 登佛國泛影樓 

  6. 瞿曇僧伽提婆 譯, 中阿含經, 大正藏 1 

  7. 瞿曇僧伽提婆 譯, 增壹阿含經, 大正藏 2 

  8. ?那?多 譯, ,佛本行集經, 大正藏 3 

  9. 竺法護 譯, 正法華經, 大正藏 9 

  10. 鳩摩羅什 譯, 妙法蓮華經, 大正藏 9 

  11. 佛馱跋陀羅 譯, 大方廣佛華嚴經, 大正藏 9 

  12. ?那?多.達摩?多 共譯, 添品妙法蓮華經, 大正藏 9 

  13. 實叉難陀 譯, ,大方廣佛華嚴經, 大正藏 10 

  14. 佛陀耶舍.竺佛念 等譯, 四分律, 大正藏 22 

  15. 陀跋陀羅.法顯 譯, 摩訶僧祇律, 大正藏 22 

  16. 迦多衍尼子, 玄? 譯, 阿毘達磨發智論, 大正藏 26 

  17. 五百大阿羅漢, 玄? 譯, 阿毘達磨大毘婆沙論, 大正藏 27 

  18. 世親 造, 玄? 譯, 阿毘達磨俱舍論, 大正藏 29 

  19. 天台智者 說, 妙法蓮華經文句, 大正藏 34 

  20. 法藏, 花嚴經文義綱目, 大正藏 35 

  21. 澄觀, 新譯華嚴經七處九會頌釋章, 大正藏 36 

  22. 一然, 三國遺事, 大正藏 49 

  23. 玄?, 辯機撰, 大唐西域記, 大正藏 51 

  24. 義天集, 圓宗文類, 大正藏 58 

  25. 均如說, 十句章圓通記, 韓佛全 4 

  26. 均如說, 釋華嚴旨歸章圓通?, 韓佛全 4 

  27. 李承休, 김경수 譯註, 帝王韻紀, 亦樂, 서울, 1999 

  28. 韓國學文獻硏究所, 佛國寺誌(外), 亞細亞文化社, 서울, 1983 

  29. 高裕燮, 朝鮮塔婆의 硏究上(總論篇), 悅話堂, 서울, 2010 

  30. 金勝惠編, 宗敎學의 理解, 분도출판사, 서울, 1995 

  31. 김정희, 佛畵-찬란한 불교 미술의 세계, 돌베개, 서울, 2009 

  32. 대구MBC, 多寶塔, 이른아침, 서울, 2004 

  33. 文明大, 韓國佛敎美術의 형식, 한.언, 서울, 1997 

  34. 박경식, 석조미술의 꽃 석가탑과 다보탑, 한길아트, 서울, 2003 

  35. 박경식, 韓國의 石塔, 학연문화사, 서울, 2008 

  36. 申採湜, 東洋史槪論, 三英社, 서울, 2004 

  37. 유형식, 人物로 본 獨逸美學, 미크로, 서울, 2003 

  38. 정형진, 실크로드를 달려 온 新羅王族, 일빛, 서울, 1990 

  39. 秦弘燮, 韓國의 佛像, 一志社, 서울, 1992 

  40. 최성규, 삶과 초월의 미학-불화상징 바로 읽기, 정우서적, 서울, 2006 

  41. 황수영, 佛國寺와 石窟庵, 世宗大王記念事業會, 서울, 2000 

  42. 멀치아 엘리아데, 李東夏譯, 聖과 俗, 학민사, 서울, 1997 

  43. 존 킹 페어뱅크, 中國史硏究會譯, 新中國史, 까치, 서울, 1994 

  44. 까르마 C. C. 츠앙, 이찬수 譯, 華嚴哲學, 經書院, 서울, 1998 

  45. 坪井俊映, 韓普光譯, 淨土敎槪論, 弘法院, 서울, 1996 

  46. 石田茂作, 佛敎考古學論考4(佛塔篇), 思文閣出版, 京都, 1978 

  47. 植木雅俊譯, (梵本)法華經下, 岩波書店, 東京, 2009 

  48. 佛敎文化財硏究所, 佛國寺三層石塔墨書紙片, 財 佛敎文化財硏究所, 서울, 2009 

  49. 佛敎文化財硏究所, 佛國寺釋迦塔墨書紙片의 기초적 검토-판독과 용어의 분석을 중심으로, 財 佛敎文化財硏究所, 서울, 2008 

  50. 金相鉉, 新羅의 思想과 文化, 一志社, 서울, 2003 

  51. 李道業, 華嚴經思想硏究, 民族社, 서울, 1998 

  52. 全海住, 義湘華嚴思想史硏究, 民族社, 서울, 1994 

  53. 鄭炳三, 義相華嚴思想硏究, 서울대學校出版部, 서울, 1998 

  54. 金秀炫, 佛國寺多寶塔造成의 佛敎思想的意義, 東國大碩士學位論文, 서울, 1998 

  55. 廉仲燮, 佛國寺伽藍配置의 思想背景硏究, 東國大博士學位論文, 서울, 2009 

  56. 추상훈, 佛國寺九品蓮池의 影池的특징과 煙霧效果에 관한 硏究, 弘益大碩 士學位論文, 서울, 1997 

  57. 金南允, 佛國寺의 創建과 그 位相, 新羅文化祭學術發表會論文集, 제18집, 1997 

  58. 裵珍達, 佛國寺石塔에 구현된 蓮華藏世界- 釋迦塔.多寶塔의 명칭과 관련하여, 시각문화의 전통과 해석:靜齋金理那交手정년퇴임기념 미술사논문집, 예경, 서울, 2007 

  59. 최연식, 釋迦塔 발견 墨書紙片의 내용을 통해 본 高麗時代佛國寺의 현황과 운영, 佛國寺三層石塔墨書紙片, 財 佛敎文化財硏究所, 서울, 2009 

  60. 慧潤, 釋元旭譯, 華嚴法界觀法의 구조와 특징, 華嚴思想論, 운주사, 서울, 1990 

  61. 姜友邦, 佛國寺와 石佛寺의 功德主, 美術資料, 제66호, 2001 

  62. 金相鉉, 石佛寺및 佛國寺의 硏究-그 創建과 사상적 배경, 佛敎硏究, 제2집, 1986 

  63. 金聖雨, 東아시아 佛寺의 初期形式, 大韓建築學會論文集, 제3권, 3호, 통권 11호, 1987 

  64. 文明大, 佛國寺佛敎美術의 綜合的硏究-佛國寺佛敎建築美術論, 講座美術史, 제12호, 1999 

  65. 申賢淑, 慶州石窟庵과 佛國寺의 思想的背景2, 傳統文化, 제142호, 1984 

  66. 申賢淑, 佛國寺의 伽藍配置와 佛國土觀, 佛敎思想, 제28호, 1986 

  67. 成樂胄, 歸納推理에 의한 石窟庵과 佛國寺관련 문헌사료의 연구, 東岳美術史學, 제2호, 2001 

  68. 廉仲燮, 伽藍配置의 來源과 중국적 전개양상 고찰, 建築歷史硏究, 제69호, 2010 

  69. 廉仲燮, 佛敎宇宙論과 寺院構造의 관계성 고찰, 建築歷史硏究, 제56호, 2008 

  70. 廉仲燮, 佛國寺大雄殿영역의 二重構造에 관한 고찰, 宗敎硏究, 제49집, 2007 

  71. 廉仲燮, 佛國寺進入石造階段의 空間分割的意味, 建築歷史硏究, 제53호, 2007 

  72. 李文基, 崔致遠撰9세기 후반 佛國寺關聯資料의 檢討, 新羅文化, 제26집, 2005 

  73. 이상준.옥선호, 天燈山鳳停寺建築에 관한 硏究, 東西大學校論文集, 제2호, 1996 

  74. 全海住, 華嚴六相說硏究II, 佛敎學報, 제33호, 1996 

  75. 최미순, 佛國寺釋迦塔.多寶塔의 構成과 構造分析試論, 佛敎美術史學, 제5집,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