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혼용자재 특성이 양송이 폐상배지를 이용한 퇴비제조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n Composting of Waste Mushroom Bed from Agaricus bisporus by using Mixed Organic Materials 원문보기

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43 no.3, 2010년, pp.335 - 340  

경기천 (충남농업기술원 태안백합시험장) ,  이희덕 (충남농업기술원 태안백합시험장) ,  정영필 (충남대학교 생물환경화학과) ,  장갑열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 ,  윤민호 (충남대학교 생물환경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양송이 폐상배지의 퇴비 활용성을 검토하고자 유기물원 2종류, 질소원 3종류를 각각 혼용하여 퇴비화과정을 거쳐 퇴비의 이화학적 특성 및 미생물상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처리별 자재 혼용비율은 퇴비의 기준인 유기물 함량 25%이상 함유되도록 조절하였다. 유기물원은 톱밥이 볏짚보다 높았으며, 질소원은 계분 >> 돈분 > 우분 순 340 경기천 이희덕 정영필 장갑열 윤민호으로 높았다. 발효기간 동안 폐배지+돈분+볏짚 처리구는 빠른 온도 변화를 보였으며, 폐배지3:톱밥9:돈분1 (MSP) 처리구는 발효 중간까지 온도상승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pH는 초기에 8.5~9.0으로 높게 유지되다가 종료시점에 7.5 수준으로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효 후 유기물함량 변화는 볏짚 처리구는 19~21% 수준으로 감소되었으나, 톱밥을 처리할 경우 25~27% 수준을 유지하였고, 그 중 폐배지3:톱밥9:계분1 (MSF)에서 유기물 26.2% 와, 질소 0.68%로 가장 높았다. 탄소원으로 볏짚을 사용한 경우 퇴비제조 후 부피가 절반으로 줄어든 반면 톱밥은 30% 정도밖에 줄어들지 않았다. 퇴비제조 후 미생물상 변화는 탄소원의 경우 볏짚 처리구가 톱밥 처리구보다 전반적으로 개체수가 많았으며, 특히 호기성세균, Gram 음성균, Bacillus 등이 많았고, 질소원은 계분 > 돈분 > 우분 순으로 미생물 개체수가 많았다. 생균수는 퇴비 발효 전 보다 $1{\times}10^1{\sim}1{\times}10^2\;cfu\;g^{-1}$ 수준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양송이폐상배지를 이용한 퇴비 제조 시 폐배지3:톱밥9:계분1 (MSF 3:9:1 v/v/v) 처리에서 높은 유기물과 질소원으로 양질의 퇴비가 되었으며 퇴비발효기간은 50~60일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lect organic materials (OM) and nitrogen sources in composting of waste mushroom bed from Agaricus bisporus. We examined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the organic materials and the mixture ratio for preparing the wasted mushroom bed (M) compost. The carbon content of s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복토재료와 수도용 상토로 재활용하는 방법은 1년 이상 야적이 필요하고 버섯 유해세균을 없애기 위하여 스팀살균 등이 별도로 필요한 반면, 퇴비화는 양송이폐상배지를 수거하여 야적 없이 바로 이용이 가능하고 퇴비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한 버섯유해세균의 제거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양송이 폐상배지를 재활용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폐상배지를 이용한 퇴비의 제조방법과 그에 따른 생물학적 및 이화학적 성분을 분석하였기에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복토재료와 수도용 상토로 재활용하는 방법은 무엇이 필요한가? 양송이폐상배지는 직접 사용하기 곤란하므로 퇴비화과정을 거쳐 활용하는 방안, 체로 걸러서 복토재료로 재활용하는 방안, 수도용 상토로 만들어 재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그러나 복토재료와 수도용 상토로 재활용하는 방법은 1년 이상 야적이 필요하고 버섯 유해세균을 없애기 위하여 스팀살균 등이 별도로 필요한 반면, 퇴비화는 양송이폐상배지를 수거하여 야적 없이 바로 이용이 가능하고 퇴비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한 버섯유해세균의 제거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양송이 폐상배지를 재활용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폐상배지를 이용한 퇴비의 제조방법과 그에 따른 생물학적 및 이화학적 성분을 분석하였기에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팽이와 새송이 등의 버섯 폐배지와 달리 양송이 버섯폐상배지는 어떤 특징을 가지는가? , 2009; Medina et al, 2009). 그러나 양송이 재배 후 발생하는 폐상배지는 다른 버섯 폐배지와 달리 질소, 인산 및 칼리 등 비료성분이 낮고 특히 유기물 함량이 낮다. 양송이폐상배지를 밭이나 하우스에 뿌렸을 때 토양 표면이 갈라지고 하얗게 변색되는 현상이 나타나는데, 그 원인은 양송이버섯 퇴비 제조 시 산도 (pH)를 올리기 위하여 다량의 석회를 혼용하였기 때문이라 사료된다.
양송이 재배의 특징은? 양송이 재배농가는 2005년 농업통계에 따르면 전국 176 ha, 867농가에서 18,985톤이 생산되고 있으며 충남은 96 ha, 563농가에서 10,997톤이 생산되어 전국대비 58%를 차지하고 있다. 양송이 재배는 느타리 등 일반 균상재배 버섯과 달리 양송이 발효배지를 사용하는데 양송이재배용 배지는 탄소원으로 볏짚과 미강, 질소 원으로 요소와 계분 등을 첨가하여 미생물 발효에 필요로 하는 영양원을 배합한 다음 장기간 야적하면서 자연발효에 의하여 만든다. 또한 양송이재배 시 흙을 덮는 것, 즉 복토는 버섯발생에 필수적인 요인이 됨은 물론 발생된 양송이를 지지하여 주고 뿌리로부터 양분을 흡수하며 퇴비의 건조를 막아주고 수분을 공급해 주기도 한다 (Kim et al, 1998). 팽이와 새송이 등의 버섯 폐배지는 많은 양의 미분해 배지성분과 버섯 균사체, 버섯균이 생산한 각종 생리활성물질 등이 함유되어 있어 가축의 사료 (Kwak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Baker, M.B., B. Knnop, S. Quiring, A. Beard, B. Lesikar, J. Sweeten, and R. Burns. 2002. Composting guide index. Prepared by The Texas Agricutural Extension Service Solid and Hazardous Waste Management Initiative Team. Chap I. The Decomposition process. http://aggiehorticulture. tamu.edulextensionlcompostlcompost.html. 

  2. Borken, W., A. Muhs, and F. Beese. 2002. Changes in microbial and soil properties following compost treatment of degraded temperate forest soils. Soil Biol. Biochem. 34:403-412. 

  3. Bremner, J.M. and C.S. Mulavaney. 1982. Nitrogen-Total. In A. L. Page, R. H. Miller, and D.R. Keeney(eds.). Methods of soil analysis: Part 2. Chemical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Agronomy No. 9(Part 2), Amercan Society of Agronomy, Madison, Wisconsin. p. 595-624 

  4. Finstein, M.S. and M.I. Morris. 1975. Microbiology of municipal solid waste composting. Adv. Appl. MicrobioI. 19; 113-151. 

  5. Gray, K.R., K. Sherman, and J. Biddleston. 1971. A review of composting. Part 1. Microbiology and biochemistry. Proc. Biochem. 6:32-36. 

  6. Jann, G.J., D.H. Howard, and A.J . Salle. 1959.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completion of composting. Appl. Microbiol. 7:271-275. 

  7. Kato, K. and N. Miura. 2008. Effect of matured compost as a bulking and inoculating agent on the microbial community and maturity of cattle manure compost. Bioresource Technol. 99:3372-3380. 

  8. Kim, H.K., H.D. Lee, Y.G. Kim, G.H. Han, C.S. Moon, and H.G. Kim. 1998.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casing materials using sawdust bottle culture in cultivated mushroom, Agaricus bisporus. Kor. J. Mycol. 26:51-55. 

  9. Kwak, W.S., S.H. Jung, and Y.I. Kim. 2008. Broiler litter supplementation improves storage and feed-nutritional value of sawdust-based spent mushroom substrate. Bioresource Technol. 99:2947-2955. 

  10. Lee, C.J , J.H. Cheong, C.S. Jhune, S.H. Kim, and H.S. Yu. 2009. Effect of spent mushroom compost on tomato growth after cultivation of button mushroom, Agaricus bisporus. Korean J. Org. Agr. 17:83-94. 

  11. Levi-Minzi, R., R. Riffaldi, and A. Saviozzi. 1986. Organic matter and nutrients in fresh and mature farmyard. Agricultural Wastes. 16:225-236. 

  12. Medina. E .. C. Paredes, M.D. Perez-Murcia, MA Bustamante, and R. Moral. 2009. Spent mushroom substrates as component of growing media for germination and growth of horticultural plants. Bioresource Technol. 100:4227-4232. 

  13. Miller, F.C. 1991. Biodegradation of solid wastes by composting. In A.M. Martin (ed.). Biological degradation of waste. Elsevier Applied Science, London. p. 1-30. 

  14. Morel, J.L, F. Colin, J.C. Germon, and C. Justte. 1985. Methods for the evaluation of the maturity of municipal refuse compost. In J.K.R. Gasser (ed.). Composting of agricultural and other wastes. 

  15. NamGung H. 1975. Studies on the compositional change of composts during mushroom cultivation. J. Kor. Agr. Chern. Soc. 18:203-218. 

  16. Park J.S., G.C. Shin, G. P. Kim, and Y.H. Park. 1981. Studies on fennentation of compost and mushroom production of Agaricus bisporus(Lange) Sing. in the tunnel system. Kor. J. Mycol. 9:117-122. 

  17. Riffaldi, R., R. Levi-Minzi, A. Pera, and De Bertoldi. 1986. Evaluation of compost maturity by means of chemical and microbial analyses. Waste management & research: the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Solid Wastes and Public Cleansing Association, ISWA. Academic Press. 4:387-396. 

  18. Stickelberger, D. 1975 Survey of city refuse composting. In Organic matters as ferti lizers. Swedish International Development Authority. FAO. Soils Bull. 27. Rome. p. 185-20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