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간척지 자생 버드나무의 NaCl 농도별 생육반응
Effects of NaCl Concentration on the Growth of Native Willow Species Collected in a Coastal Reclaimed Land 원문보기

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43 no.2, 2010년, pp.124 - 131  

여진기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자원육성부) ,  박정현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자원육성부) ,  구영본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자원육성부) ,  김현철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자원육성부) ,  신한나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자원육성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척지에 자생하는 버드나무 (Salix koreensis Anderson)를 대상으로 염분에 대한 내성의 범위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간척지에서 선발된 버드나무 6개체의 가지를 잘라 온실에서 삽목하여 2개월이 경과한 다음부터 NaCl 0.1%, 0.5%, 1.0% 용액과 지하수를 1개월간 관수하면서 재배하였다. 0.1% 및 지하수 처리구에서 전체 묘목의 생존율은 100%인 반면 0.5% 및 1.0% 처리구에서는 각각 73.2% 및 58.8%로 감소하였다. 0.1%와 지하수 처리구간의 묘고와 근원경 생장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엽수는 실험기간동안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0.5% 및 1.0% 처리구에서 묘고 생장은 지하수 처리구에 비해 각각 43.8% 및 88.9% 감소하였다. 0.5% 및 1.0% 처리구 묘목의 잎은 스트레스로 갈변하고 조기 낙엽되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버드나무는 온실에서의 NaCl 처리결과 해안간척지에서 자생하는 개체임에도 불구하고 일반 임지에서 자생하는 버드나무보다 염분에 대한 내성 능력이 크지는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otentials for the forest restoration on reclaimed land by using willow trees (Salix koreensis Anderson) selected from a coastal reclaimed land made in inside of the Sihwa tide embankment. We first collected six individual willow trees that were the only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척지에 자생하는 버드나무 (Salix koreensis Anderson)를 대상으로 염분에 대한 내성의 범위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간척지에서 선발된 버드나무 6 개체의 가지를 잘라 온실에서 삽목하여 2개월이 경과한 다음부터 NaCl 0.
  • 본 연구는 토양 염도가 높은 염분이 높은 간척지에서 자생하는 버드나무를 삽목증식하여 염분 처리를 통해 내염성 범위를 구명하여 간척지의 복원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염분에 의한 식물의 피해는 무엇에 의해 나타나는가? , 2002). 염분에 의한 식물의 피해는 수분결핍, 이온 독성, 이온 불균형, 이들 간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에 의해 나타난다 (Wang et al., 1997).
버드나무가 간척지의 제염과 복원에 적합한 수종인 이유는 무엇인가? 버드나무는 대표적인 속성수종으로 포플러와 더불어 phytoremediation에 보편적으로 이용되어 왔으며 양분 요구도가 높은 수종이다 (Licht and Isebrands, 2005).버드나무는 토양의 EC 4-8 dS m-1 범위까지 생육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Kratsch et al., 2008), 맹아 발생 및 바이오매스 생산능력이 우수하여 다른 수종에 비해 많은 양의 염분을 수체 내에 축적할 수 있으므로 간척지의 제염과 복원에 적합한 수종이다.
식물 내염성에 대한 연구에는 무엇이 있는가? 식물 내염성에 대한 연구는 다양하게 수행되어왔다.Greenway and Munns (1980) 는 토양 용액 중 NaCl 함량이 높으면 식물 세포내 Na+ 이 축적되고, 이로 인해 원형질이나 엽록체내의 여러 가지 효소 활성이 저해됨으로서 대사계 전체의 활성이 감소되고 식물의 생육이 저하된다고 하였다. 또한 Ungar (1996)는 식물체내 Na+의 함량이 높아질수록 K+ 의 함량이 급격히 줄어든다고 하였으며, Wang (1997) 등은 NaCl 처리에 따른 엽면 적의 감소는 K+ 의 흡수장해에 의한 것이며 처리농도가 높아질수록 Na+ 와 K+ 사이에는 경쟁적인 흡수작용이 일어난다고 보고한 바 있다. 그 밖에 염습지에서 식물의 종별 생장에 미치는 염분의 영향 (Phleger, 1971), 몇가지 식물 유묘의 염분에 대한 생장반응에 대한 연구 (Seneca, 1972), 벼 (Choi et al., 2004; Choung et al., 2002; Eun, 2004; Lee et al., 1999; Shannom et al., 1998; Shin et al., 2004; Song et al., 2007;Zeng et al., 2003.), 목화 (Leidi and Saiz, 1997), 멜론 (Yermiyahu et al., 1997), 사탕무 (Ghoulam et al., 2002), 기타 밭작물 (Lee et al., 2003), 유칼립투스 (Adams et al., 2005), 포플러 (Wang et al., 1997;Yeo et al., 1999) 등 다양하게 수행되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dams, M.A., A. Richter, A.K. Hill, and T.D. Colmer. 2005. Salt tolerance in Eucalyptus spp.: identity and response of putative osmolytes, Plant Cell Environ. 28:772-787. 

  2. Choi, S.H., H.I. Kim, Y.Ahn, J.R. Jang, and J.M. Oh. 2004. Salinity effects on growth and yield components of rice. Korean J. Limnol. 37:248-254. 

  3. Choung, J.I., J.C. Ko, S.Y. Lee, T.O. Kwon, and D.J. Lee. 2003. Effects of NaCl treatment on absorption of inorganic nutrients and growth in rice. Korean J. Crop Sci. 48:465-468. 

  4. Choung. J.I., S.J. Yu, M.K. Oh, N.H. Beak, J.K. Ko, and J.K. Lee. 2002. Varietal responses of rice growth and yield to soil salt content. Korean J. Crop Sci. 47:422-426. 

  5. Eun, J.S. 2004 . In vitro selection of salt tolerance by mature embryo culture in oriza sativa L. Bulletin of the agricultural colleg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35:27-34. 

  6. FAO. 2005. Global Network on Integrated Soil Management for Sustainable Use of Salt-affected Soils. Rome, Italy: FAO Land Plant Nutrition Management Service. http://www.fao.org/ag/agl/agll/spush. 

  7. GARES. 2008. Methods of soil and compost analysis. Gyeonggi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Hwaseong, Korea. 

  8. Ghoulam, C., A. Foursy, and K. Fares . 2002. Effects of salt stress on growth, inorganic ions and proline accumulation in relation to osmotic adjustment in five sugar beet cultivars. Environ. Exp. Bot. 47:39-50. 

  9. Gosta, L., H. Niklas, and L. Bulow. 1996. Enhanced NaCl stress tolerance in transgenic tobacco expressing bacterial chorine dehydrogenase. Bio. Technology 14:177-180. 

  10. Greenway, H., and R. Munns. 1980. Mechanism of salt tolerance in nonhalophytes. Annu. Rev. Plant Physiol. 31:130-149. 

  11. Gucci, R., and M. Tattini. 1997. Salinity tolerance in olive. Hortic. Rev. 21:177-214. 

  12. Kramer, P.J., and T.T. Kozlowski. 1979. Physiology of Woody Plants. Academic Press Inc. pp811. 

  13. Kratsch H, S. Olsen, L. Rupp, G. Cardon, and R. Heflebower. 2008. Soil Salinity and Ornamental Plant Selection. Utah State University. pp8. 

  14. Lee, K.S., S.Y. Choi, and W.Y. Choi. 1999. Salt Tolerance of Rice during Germination and Early Seedling Stages. Korean J. Breed Sci. 31:301-305. 

  15. Lee, S.H., B.D. Hong, Y. An, and H.M. Ro. 2003. Relation between growth condition of six upland-crops and soil salinity in reclaimed land. Korean J. Soil Sci. Fert. 36:66-71. 

  16. Leidi, E.O., and J.F. Saiz. 1997. Is salinity tolerance related to Na accumulation in upland cotton (Gossypium hirsutum) seedlings? Plant Soil. 190:67-75. 

  17. Linghe Zeng, S.M. Lesch, and C.M. Grieve. 2003. Rice growth and yield respond to changes in water depth and salinity stress.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59:67-75. 

  18. Licht, L.A., and J.G. lsebrands. 2005. Linking phytoremediated pollutant removal to biomass economic opportunities. Biomass Bioenerg. 28:203-218. 

  19. Miller, R.W., and R.L. Donahue. 1990. An introduction to soils and plant growth. Prentice-Hall. 768pp. 

  20. Phleger, C.F. 1971. Effect of salinity on growth of a salt marsh grass. Ecology. 52:908-911. 

  21. Seneca, E.D. 1972. Seedling response to salinity in four dune grasses from the cuter banks of North Carolnia. Ecology. 53:465-471. 

  22. Shannom, M.C., J.D. Rhoades, James E. Hill, S.C. Scardaci, and M.D. Spyres. 1998. Assessment of salt tolerance in rice cultivars in response to salinity problems in California. Crop Sci. 38:394-398. 

  23. Shin, S.H., Y.M. Lee, and B.H. Cho. 2004. Amino acid and protein contents in the seedlings of salt-tolerant and salt-susceptible rice cultivars. Korean J. Breed. 36:320-325. 

  24. Song, J.Y., D.S. Kim, G.J. Lee, I.S. Lee, K.K. Kang, S.J. Yun, and S.Y. Kang. 2007. Characterization of salt tolerant rice mutant lines derived from azetidine-2-carboxylic acid resistant cell lines induced by gamma ray irradiation. J. Plant Biotechnol. 34:61-68. 

  25. Tagwa, T., and N. Ishizaka. 1963. Physiological studies on the tolerance of rice plants to salinity. II effects of salinity on the absorption of water and chloride ion. Jap. J. Crop. Sci. 31:337-341. 

  26. Ungar, I.A, 1996. Effect of salinity on seed germination, growth. and ion accumulation of Atriptex patula (Chenopodiaceae). Am. J. Bot. 83:604-607. 

  27. Wang, L.W., A.M. Showalter, and I.A. Ungar. 1997. Effect of salinity on growth, ion content. and cell wall chemistry in Atriplex prostrate (Chenopodiaceae). Am. J. Bot. 84:1247-1255. 

  28. Yeo, J.K., Y.B. Koo, and I.S. Kim. 1999. Effect of NaCl salinity on growth and catlouaccumulation of 5 poplar species. Fri J. Forest Sci. 61:9-17. 

  29. Yermiyahu, U., S. Nir, G. Ben-Hayyim, U. Kafkafi. and T.B. Kinraide. 1997. Root elongation in saline solution related to calcium binding to root cell plasma membranes. Plant Soil. 191:67-76. 

  30. 박석. 김수석. 2005. 휴경농지의 실태와 정책방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pp9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