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사방댐 입지조건에 관한 연구 - 충청지역과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Location Condition for Erosion Control Dam - Focus on Chungcheong region and Kyeongsangbuk-do - 원문보기

농업과학연구 = CNU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v.37 no.2, 2010년, pp.223 - 229  

박세준 (산림조합중앙회 충남도지회) ,  이준우 (충남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 ,  최윤호 (충남대학교 대학원) ,  김명준 (충남대학교 대학원) ,  권형근 (충남대학교 대학원) ,  전용준 (사방협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analyze location conditions for erosion control dams to be constructed in Chungcheongnam-do, Daejeon Metropolitan City, Chungcheongbuk-do and Gyeongsangbuk-do in order to establish proper conditions for erosion control dams in the future. 199 sites where erosion control dams are ex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사방댐을 설치하는 데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는 사항은 재해발생 위험이 높은 지역이거나 재해가 발생할 경우 재산 및 인명피해가 우려되는 지역이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방댐 시설지역의 재해위험정도를 산림청(2002)에서 제시한 산사태위험지 판정기준(이천용 등, 2002)에 의한 산사태위험정도를 파악하였으며, 그 결과는 Fig. 3에서 보는 바와 같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충청남도와 대전광역시 지역과 충청북도, 경상북도 지역의 사방댐 시설예정지에 대한 입지조건을 분석하여 향후 사방댐의 적지를 예측하는 기법개발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 사방댐의 효과는 산각을 고정하고 상류로부터 발생하는 토석류 등을 억제하여 재산과 인명피해를 방지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방댐의 설치 효과가 높은 지역에 시설할 필요가 있으며, 주요 인자로는 산사태위험지의 포함여부와 사방댐의 저사 능력이라 할 수 있다.
  • 충청남도와 대전광역시 지역에 설치되는 사방댐의 입지 현황을 파악하여 향후 사방댐의 적지 기준을 수립하는 데에 기여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충청남도와 대전광역시 지역에 주로 설치되는 사방댐은 불투과형 중력식 사방댐으로 주재료는 콘크리트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전국토에서 산지의 비중은? 우리나라 전국토의 약 65%를 차지하는 산지는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한반도의 근간을 이루는 것은 물론, 생물다양성을 대표하는 자연환경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산림은 국토의 근간이자, 삶의 터전이며, 자연생태계의 보고라 할 수 있다(한국산지보전협회, 2005).
집중강우 현상과 각종 개발로 인한 피해는 어떠한가? 하지만 최근 들어 발생하는 이상기후 현상으로 인해 산지에서 많은 피해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전까지 확인되지 않았던 토석류의 발생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최근의 집중강우 현상은 각종 개발로 인해 발생한 훼손지의 2차적인 피해를 가중시킬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안정된 산림까지 피해를 줄 정도로 강도가 매우 큰 편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피해는 인명피해와 재산피해로 이어지기 쉬운데, 1997년도부터 2006년까지 자연재해로 인해 발생한 사망자가 1,189명이고 이중 321명이 토석류나 산사태에 의해 사망한 것으로 조사된 바 있다(강원 발전연구원, 2008).
지역별로 사방댐의 시공계획이 다른 이유는? 이와 같이 지역별로 사방댐의 시공계획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은 사방댐의 역할과 매우 밀접하게 관련이 있다. 즉, 투과형 사방댐의 경우 입자의 크기가 큰 암석이나 유목들의 저지책으로는 매우 유용하고 계류가 단절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사력의 저사능력은 떨어지기 때문에 사방댐에 인접한 지역에 재산과 인명피해가 발생할 소지가 있는 지역에 설치하는 것은 다소 위험할 수 있다. 따라서 충남지역의 경우 충북지역과 경북지역에 비해 사방댐의 유역면적이 좁고 대부분 하류지역에 설치되기 때문에 토석류와 유목을 동시에 방지할 수 있는 불투과형 중력식 사방댐의 설치비율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평균 유역면적의 크기가 가장 큰 경북지역의 경우 투과형 사방댐의 설치비율이 비교적 높고 사방댐의 시설위치도 충남지역이나 충북지역에 비해 상류에 위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Fig. 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강원발전연구원. 2008. 강원도 산지재해 발생특성 및 방호대책. 71p. 

  2. 국립산림과학원. 2004. 임도밀도 목표량 산정 연구. 114p. 

  3. 김종연. 2009. 우리나라 사방댐 정책과 현황에 대한 연구-강원도를 사례로. 한국지형학회지 16(4): 131-144. 

  4. 마호섭, 정원옥. 2007. 산지사면에 있어서 퇴사량에 의한 사방댐의 시공적지 예측. 한국임학회지 96(3): 300-306. 

  5. 박배생. 2007. 슬릿트 사방댐의 현황과 개선방향. 강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2p. 

  6. 이근상, 이명진, 홍현정, 황의호. 2007. GIS를 이용한 사방댐의 토사유실 저감효과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0(1):158-168. 

  7. 이천용, 최경, 이종학, 이창우. 2002. GIS를 이용한 산사태 위험지도 작성기법 개발. 산림과학논문집 65: 1-10. 

  8. 장상기, 김영식, 유용현, 전근우, 김민식. 2009. 강원도에 있어서 유목 및 토석류 제어를 위한 슬릿트 사방댐의 현황과 과제. 산림공학기술 7(1): 1-11. 

  9. 충남발전연구원. 2006. 위성영상을 활용한 충남지역 산림실태 및 관리방안. 71p. 

  10. 한국산지보전협회. 2005. 대규모 산지훼손지 실태조사 원인분석 및 지속가능한 산지보전을 위한 모니터링 방안. 311p.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