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팽창제 첨가에 따른 쑥설기의 품질특성 평가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gwort-Sulgi with Chemical Leavening Agents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26 no.1, 2010년, pp.32 - 40  

임석순 (동아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황윤이 (동아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전미라 (동아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gwort-Sulgi with added chemical leavening agents. Mugwort-Sulgi was prepared with different levels of baking soda (0.3, 0.6, and 0.9%) and baking powder (0.3, 0.6, and 0.9%) and stored for 4 days. The a value significantly decre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생리활성이 우수하고 떡의 부재료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쑥을 이용한 설기 제조 시 설기의 질감 및 색감 향상을 위해 화학적 팽창제인 베이킹 소다와 베이킹 파우더를 첨가함으로써 팽창제가 쑥설기의 기계적 및 관능적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각각의 팽창제 첨가량을 달리하여 쑥설기를 제조한 후 색도, pH, 팽화율과 팽창률 및 기계적인 텍스쳐를 분석하였을 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기호에 맞는 쑥설기의 색과 질감을 알아보기 위해 관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약리활성이 우수하고 떡의 부재료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쑥을 이용한 설기 제조 시 쑥이 지니는 고유한 색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설기의 조직을 팽창 시켜 연화함으로써 새로운 특유의 독특한 질감을 생성 시킬 수 있는 팽창제가 쑥설기의 기계적 특성 및 관능적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쑥을 이용한 한국음식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쑥을 이용한 한국음식으로 떡, 국, 전과 나물 등이 있으며 이 중 특히 쑥설기, 절편, 단자, 인절미 등 떡에 많이 이용되어 왔다(황혜성과 한복려 1991). 떡은 찹쌀가루를 이용한 찰시루떡과 멥쌀가루를 이용한 메시루떡으로 나눌 수 있으며, 찌는 방법에 따라 설기(무리떡)와 켜떡으로 구분된다.
쑥은 일반적으로 언제 성장하는가? orientalis)은 생명력과 번식력이 매우 강한 다년생 초본으로 국내에 약 300여종이 자생하고 있으며 대부분이 식용으로 사용된다(박희영과 강효신 1985). 쑥은 일반적으로 3월부터 6월 중순까지 성장하고 잎과 뿌리는 식용과 약용으로 사용되며, 한방에서는 주로 냉한, 복통, 토사 등의 질환에 사용되었다고 보고된 바 있다(허준 1978).
팽창제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쑥설기의 색도 측정 결과 중 명도는 어떻게 나타났는가? 팽창제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쑥설기의 색도 측정 결과는 Table 4에 제시하였으며 팽창제를 첨가함으로써 전반적인 명도(L값)와 적색도(a값)가 낮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명도는 베이킹파우더 0.6%를 첨가하여 제조한 쑥설기가 98.54±2.03로 가장 높았고 베이킹 소다 0.6%를 첨가하여 제조한 쑥설기가 69.23±1.18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적색도는 팽창제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이 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구난숙, 김향숙, 이경애, 김미정. 2006. 식품관능검사. 교문사. 서울. pp 142-158 

  2. 박희영, 강효신. 1985. 동서의학 제10권 제2호. pp 67-78 

  3. 송재철, 박현정. 2005. 식품물성학. 울산대학교 출판사. pp 209-237 

  4. 식품공전. 1999. 식품의약품안전청. 

  5. 오훈일, 이형주, 문태화, 노봉수, 김석중. 2008. 식품화학. 수학사. 서울. pp 334-335 

  6. 우세홍, 정동욱, 황상용, 이강윤, 이효순, 금보연. 2006. 최신식품 첨가물. 신광문화사. 서울. pp 235-246 

  7. 이철호, 채수규, 이진근, 박봉상. 1982. 식품공업 품질 관리론. 예림문화사. 서울. pp 80-84 

  8. 허준. 1978. 한방동의보감. 민정사. 서울. p 184 

  9. 황혜성, 한복려. 1991. 한국의 전통음식. 교문사. 서울. pp 453-472 

  10. al-Shamaony L, al-khazraji SM, Twij HA. 1994. Hypoglycemic effect of Artemisia berba. J Ethnopharmacol 43(3):167-171 

  11. AOAC. 200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7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of AOAC International. Gaithersburg, Maryland, USA. Vol. I, pp 1-29, Vol. II, pp 80-88 

  12. Brown SL, Zabik ME. 1967. Effect of heat treatments on the phys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liquid and spraydried egg albumen. Food Technol 21(1):87-90 

  13. Cho EJ. 2000. A Survey on the Usage of Wild Grasses. Korean J Dietary Culture 15(1):59-68 

  14. Choi YH, Jeon HS, Kang MY. 1996. Sensory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Jeungpyun made with various additives. Korean J Food Cookery Sci 12(1):200-206 

  15. Han MJ, Shin JE, Han YO, Kim NY, Lee KH. 2001. The effect of mugwort and storage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SSookgaedduck. Korean. J Food Cookery Sci 17(6):634-638 

  16. Hwang YK, Kim DC, Hwang WI, Han YB. 1998. inhibitory Effect of Artemisia princeps Pampan. Extract on Growth of Cancer Cell Lines. Korean J Food Sci Nutr 31(1):799-808 

  17. Hyeon JS, Mun YH, Kang SJ, Kim JG, Jeong IC. 2003.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usage prepared with mugwort powder and different carcass grade.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3(1):292-298 

  18. Jung HS. 1993. A Study on the sensory quality of Ssooksulgis added with mugwort.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3(2): 175-180 

  19. Kang MY, Choi HC. 1993. Studies on the standardization of fermentation and preparation methods for steamed rice bread II.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3(2):165-173 

  20. Kim CS, Hwang CM, Song YS, Kim HI. 2001. Commercial wheat flour quality and bread making conditions for Koreanstyle steamed bread. Korean J Food Sci Nutr 30(6):1120-1128 

  21. Kim JG. 1995. Nurtitional properties of Chol-pyon preparation by adding mugwort and pine leaves. Korean J Food Nutr 11(5):446-455 

  22. Kim JI, Park SI. 1999. The Effects of mugwort extract on the characteristics of curd yogurt. J Fd Hyg Safety 14(1):352-357 

  23. Koshihara Y, Neichi T, Muroda S, Lab A, Fujumoto Y and Tatsuno T. 1983. Selective inhibition of 5-lipoxygenase by natural compounds isolated from chinese plants, Artemisia rubripes Nakai. FEBS Let 158(1):41-49 

  24. Lee CH, Maeng YS. 1987. A literature review on Korean ricecakes. Korean J Dietary Culture 2(2):117-132 

  25. Lee HG, Yoon HY. 1995. Sensory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Ssuck-injulmi supplemented by mugworts. Korean J Food Cookery Sci 11(5):463-471 

  26. Lee SD, Park HH, Kim DW, Bang BH. 2000. Bioactive constituents and utilities of Artemisia sp. as medicinal herb and food stuff. Korean J Food Nutr 13(5):490-505 

  27. Moran A, Martin ML, Montero MJ, Ortis de Urbina AB, Sevilla MA and San Roman L. 1989. Analgesic, antipyretic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the essential oil of Artemisia caeruescens subsp. gallica. J Ethnopharmacol 29(3):307-317 

  28. Rim SS, Lee JH. 1997. Biological activity of the soluble extracts from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acted on cardiovascular system. Korean J Food Sci Nutr 30(6):634-638 

  29. Seguchi M, Matsuki J. 1977. Studies on pancake baking. Effect of pH, mixing time and moisture level on the quality of pan cake from reconstituted flour. Cereal Chem 54(1):1056 

  30. Seo YH, Lee CJ, Cho HJ. 1996. A study sensory preference and texture characteristics of Ssookgae-dduck affected by mugworts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6(1):69-76 

  31. Shin YJ, Park GS.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apricot Sulgidduk with different addition amounts of apricot Juice. Korean J Food Cookery Sci 22(6):882-837 

  32. Tariq M, Mossa JS, Al-Yahya MA, Parmar NS and Ageel AM. 1987. Evaluation of Artemisia inculta for anti-inflammatory activity in rats. Am J Clin Med 15(34):127-132 

  33. Zheng WF, Tan RX, Yang L, Liu ZL. 1996. Two flavones from Artemisa giraldii and their antimicrobiological activity. Planta Med 62(2):160-16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