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도 주변해역 표층퇴적물의 점토광물 절대함량 및 상대함량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Absolute and Relative Clay Mineral Composition of the Surface Sediments around the Jeju Island 원문보기

韓國鑛物學會誌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v.23 no.1, 2010년, pp.15 - 23  

문동혁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광물자원연구본부 해외광물자원연구실) ,  조현구 (경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  이희일 (한국해양연구원 해양환경특성연구사업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정량X선회절분석법을 이용하여 131개의 제주도 주변해역 표층퇴적물 시료 내에 존재하는 각 점토광물의 절대함량과 점토광물 사이의 상대함량을 구한 후 그 분포 양상을 비교하여 보았다. 절대 함량은 각각 일라이트(0.5~40.5%, 평균 15.3%), 녹니석(0~7.9%, 평균 2.6%), 카올리나이트(0~5.6%, 평균 1%) 이며 공통적으로 한국남해, 제주도의 북서쪽 해역, 제주도 남쪽 먼 해역에서 높다. 점토광물 함량의 합을 100으로 가정하고 구한 상대함량은 각각 일라이트 70.9% (16.7~89%), 녹니석 21.5% (8.4~68.5%), 차올리나이트 7.6% (0~29.3%)이다. 상대함량을 이용하여 분포 양상을 나타낸 결과, 일라이트는 연구해역 북서쪽과 남동쪽, 그리고 제주도의 남서쪽 해역에서 다른 점토광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로 분포한다. 녹니석은 연구해역 동쪽과 제주도 서쪽에 인접한 해역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로 분포하며, 카올리나이트는 제주도 서쪽과 남쪽에 인접한 해역과 남쪽 먼 해역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로 분포한다. 점토광물 절대함량 분포경향은 연구해역 내 점토에서 실트 입자의 세립질퇴적물 분포와 일치한다. 반면, 점토광물 상대함량 분포는 세립질퇴적물 분포와 관련성을 보이지 않는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bsolute clay mineral compositions and regional distribution of the 131 bulk marine surface sediments around the Jeju Island was compared to their relative compositions and distribution using quantitative X-ray diffraction analysis. Average absolute clay mineral composition is illite 15.3% (0.5~...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이번 연구에서는 문동혁 등(2009a)의 연구에서 사용된 시료의 분석 원자료를 이용하여 황해 남동부, 한국남해 및 제주도 남단 표층퇴적물 내 점토광물의상 대함량을 구한 후 절대함량과 비교하여 점토광물의 분포양상을 비교 검토하였다.
  • 제주도 주변해역 표층 퇴적물 시료 131개에 대하여 정량 X선회절분석법에 의하여 광물조성을 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점토광물의 절대함량과 상대함량을 구한 후 각각의 분포양상을 연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상 데이터

  • 시료는 황해 남동부, 한국 남해 및 동중국해 북동부를 포함하는 제주도 주변해역에서 한국해양연구원 이어도호를 이용해 2007년에 채취한 표층 퇴적물 시료 98정점과 2(X)0년 동일해역에서 채취한 33정점의 표층퇴적물시료 등 총 131개의 시료를 이용하였으며(문동혁 등, 2009a 중 그림 2), 모든 시료는 그랩 샘플러(grab sampler)를 이용하여 채취한 표층 5 cm 이내의 퇴적물이다. 이 시료들의 분석 방법은 문동혁 등(2009a)에 상세히 소개되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문동혁, 이희일, 신동혁, 신경훈, 김순오, 조현구 (2007) 황해 표층 퇴적물의 X선 광물정량분석; 2001년 황해 2차 탐사 시료. 한국광물학회지, 20, 203-212. 

  2. 문동혁, 이희일, 신동혁, 신경훈, 조현구 (2008) 황해 표층 퇴적물의 점토광물 분포; 절대광물조성과 상대광물조성. 한국광물학회지, 21, 289-295. 

  3. 문동혁, 이희일, 신경훈, 도진영, 조현구 (2009a) 정량X선 회절분석법을 이용한 황해 남동부, 한국남해 및 제주도 남단 표층퇴적물의 광물분포 연구. 한국광물학회지, 22, 49-61. 

  4. 문동혁, 조현구, 김순오, 이희일, 도진영 (2009b) 경기만 표층퇴적물의 X선 광물정량분석, 한국광물학회지, 22, 279-288. 

  5. 손병국, 김학주, 안기오 (2009) 울릉분지 퇴적물의 광물조성. 한국광물학회지, 22, 115-127. 

  6. 윤정수, 강순석 (1991) 제주해협 표층퇴적물의 특성 -특히 점토광물을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12, 175-195. 

  7. 최진용, 김석윤 (1998) 한반도 주변해역 점토광물의 함량과 분포. Jour.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19, 524-532. 

  8. Aoki, S. (1976) Clay mineral distribution in sediments of the gulf of thailand and the south china sea. Journal of the Oceanographical Society of Japan, 32, 169-174. 

  9. Biscaye, P.E. (1965) Mineralogy and sedimentation of clay minerals in recent deep-sea clay in the Atlantic Ocean and adjacent seas and oceans. Geol. Soc. Amer. Bull., 76, 803-832. 

  10. Griffin, J.J., Windom H., and Goldberg, E.D. (1968) The distribution of clay minerals in the world dceans. Deep-Sea Res., 15, 433-469. 

  11. Hume, T.M. and Nelson, C.S. (1986) Distribution and origin of clay minerals and surficial shelf sediments, Western North Island, New Zealand. Mar. Geol., 69, 289-308. 

  12. Karlin R. (1980) Sediment sources and clay mineral distributions off the oregon coast. J. Sediment. Petrol., 50, 543-560. 

  13. Khim, B.K. and Park, Y.A. (1992) Smectite as a possible-indicative clay mineral in the Yellow Sea. Geo-Marine Letters, 12, 228-231. 

  14. Park, Y.A., Kim, S.C., and Choi, J.Y. (1986) The distribution and transportation of fine-grained sediments on the inner continental shelf off the Kuem River estuary, Korea. Continental Shelf Research, 5, 499-519. 

  15. Park, Y.A. and Khim, B.K. (1992) Origin and dispersal of recent clay minerals in the Yellow Sea. Marine Geology, 104, 205-213. 

  16. Petschick, R., Kuhn, G., and Gingele, F. (1996) Clay mineral distribution in surface sediments of the South Atlantic: sources, transport, and relation to oceanography, Marine Geology 130, 203-229. 

  17. Yin, J., Okada, H., and Labeyrie, L. (1987) Clay mineralogy of slope sediments around the japanese islands. Geosci. Rep. Shizuoka Univ., 13, 41-65. 

  18. Youn, J.S., Park, Y.A., Khim, B.K., and Nam, J.M., (2004) Clay Minerals of the Bottom Sediments on the Northwestern Continental Shelf in the East China Sea. Jour.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5, 1-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