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증기중합으로 제조된 전도성 고분자 박막의 전기 변색 특성
Electrochromic Property of a Conductive Polymer Film Fabricated with Vapor Phase Polymerization 원문보기

멤브레인 = Membrane Journal, v.20 no.1, 2010년, pp.8 - 12  

이지예 (연세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  김유나 (연세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  김은경 (연세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도성 고분자 중 안정성이 높은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EDOT)을 이용하여 전기변색 박막을 제조하고 박막제조 방법에 따른 전기변색 특성을 연구하였다. PEDOT 박막은 전기중합법과 증기중합법에 의해 제조되었고, 두가지 방법 모두 도핑되지 않은 중성 상태에서 짙은 푸른색을 띠는 박막으로 제조되었다. 전기변색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UV-Vis spectrophotometer와 Cyclic voltammetry가 사용되었으며, 산화/환원 시 표면은 AFM으로 관찰되었다. 전기 중합법으로 제조된 PEDOT 박막에 비해 증기중합에 방법에 의해 제작된 PEDOT 박막의 표면이 거칠기 50 nm 이내로 균일 하였다. 특히 증기 중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전기 변색 소재의 특성도 응답성 1.5초 이내, 49%의 투과율 차이, 402의 변색 효율을 보여 박막의 특성 향상으로 전기변색특성이 향상 된 결과를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EDOT), which has the highest stability in conducting polymer was employed to electrochromic (EC) film and studied about electrochromic properties according to the film fabrication method. PEDOT films were coated by two different methods, electropolymerization (EP)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폴리티오펜(Polythiophene) 계열 중에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 PEDOT (Poly(3, 4-ethylenedi- oxythio-phene))을 이용한 전기변색 박막의 제조 방법과 그 특성을 연구하였다. 비교적 낮은 에너지 차이를 가지고 있는 PEDOTe 환원상태에서 색이 나타나는 환원 발색으로, doped 상태에서는 투명한 파란색을 나타내고 dedoped 된 상태에서는 진한 파란색을 나타낸다[9, 1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R. J. Mortimer, "Electrochromic materials", Chem. Soc. Rev., 26, 147 (1997). 

  2. J. Lee, Y. N. Kim, Y. J. Kim, J. Back, and E. Kim, "Multi-Color E1ectrochromic Device Based on Organic E1ectrochromic Materials", Mol. Cryst. Liq. Cryst., 491, 74 (2008). 

  3. P. M. S. Monk, R. J. Mortimer, and D. R. Rosseinsky, Electrochromism : Fundamentals and Applications, VCH Ltd. (1995). 

  4. Y. Kim and E. Kim, "Electrochromic properties of nanochromic windows assembled by the layer-bylayer self-assembly technique", Curr. Appl. Phys., 6, e202 (2006). 

  5. R. J. Mortimer, K. R. Graham, C. R. G. Grenier, and J. R. Reynolds, "Influence of the Film Thickness and Morphology on the Colorimetric Properties of spray-Coated Electrochromic Disubstituted 3,4-Propylenedioxythiophene Polymers", Appl. Mater. Interfaces., 10, 2269 (2009). 

  6. Y. Kim and E. Kim, "Conductive Polymer Patterning on a Photoswitching Polymer Layer", Macromol. Res., 14, 584 (2006). 

  7. J. Seo, D. Roh, J. Park, J. Koh, S. Maken, and J. Kim, "Preparation of Proton Conducting Crosslinked Membranes From PS-b-PHEA Diblock Copolymer and Poly(vinyl alcohol)", Membrane Journal, 18, 23 (2008). 

  8. J. Roncali, "Conjugated poly(thiophenes): synthesis, functionalization, and applications", J. Chem. Rev., 92, 711 (1992). 

  9. Y. Coskun, A. Cirpan, and L. Toppare, "Construction of electrochromic devices using thiophene based conducting polymers", J. Mater. Sci., 42, 368 (2007). 

  10. K. Grunathan, A. V. Murugan, R. Marimuthu, U. P. Mulik, D. P. Amenerkar, "Electrochemically synthesised conducting polymeric materials for applications towards technology in electronics, optoelectronics and energy storage devices", Mater. Chem. Phys., 61, 173 (1999). 

  11. B. W. Jensen, D. W. Breiby, and K. West, "Base inhibited oxidative polymerization of 3,4-ethylenedioxy thiophene with iron(III)tosylate", Synthetic Metals, 152, 1 (2005). 

  12. N. Sakmeche, J. J. Aaron, M. Fall, S. Aeiyach, M. Jouini, J. C. Lacroix, and P. C. Lacaze, "Anionic micelles; a new aqueous medium for electropolymerization of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films on Pt electrodes", Chem. Commun., 2723 (1996). 

  13. B. Winther-Jensen and K. West, "Vapor-Phase Polymerization of 3,4-Ethylenedioxythiophene: A Route to Highly Conducting Polymer Surface Layers", Macromolecules, 37, 4538 (2004). 

  14. G. A. Sotzing, J. R. Reynolds, and P. J. Steel, "Electrochromic Conducting Polymers via Electrochemical Polymerization of Bis(2-(3,4-ethylenedioxy) thienyl) Monomers", Chem. Mater., 8, 882 (1996). 

  15. Y. Hwang and H. Ko, "Electrochromic Polymers and Devices", Polym. Sci. Technol., 20, 307 (2009). 

  16. A. A. Argun, P. H. Aubert, B. C. Thompson, I. Schwendeman, C. L. Gaupp, J. Hwang, N. J. Pinto, D. B. Tanner, A. G. MacDiarmid" and J. R. Reynolds, "Multicolored Electrochromism in Polymers : Structures and Devices", Chem. Mater., 16, 4401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