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알지네이트 비드를 이용하여 안정화한 0가 철의 수용액 상에서의 과염소산 이온의 환원 분해 특성
Reduction of perchlorate in aqueous solution using zero valence iron stabilized with alginate bead 원문보기

분석과학 = Analytical science & technology, v.23 no.6, 2010년, pp.560 - 565  

주태경 (연세대학교 화학과) ,  이종철 (국방과학연구소) ,  팽기정 (연세대학교 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과염소산 이온($ClO_4^-$)은 로켓, 그리고 미사일 추진체등의 군사적 무기에 산화제로서 널리 사용이 되고 있다. 또한 주요 오염물질로 간주되는 과염소산 이온을 분해하려는 연구도 계속 진행이 되고 있다. 과염소산 이온을 환원 분해 처리하기위한 촉매로는 0가 철이 많이 응용되고 있다. 0가 철은 지표수의 정화나 오염물질의 처리에 널리 활용이 되고 있는 물질이다. 그러나 이것은 뭉침이 잘 일어나고 쉽게 침전이 되며 제한적인 유동성을 갖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칼슘-알지네이트 고분자를 응용하여 나노크기의 0가 철 입자를 고정시켜 안정화하고 과염소산 이온을 환원분해 하였다. 안정화된 0가 철 입자는 분산되어 넓은 표면적을 가지기 때문에 과염소산 이온의 환원분해 효율을 더욱 증가 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지지체 물질인 알지네이트 비드로 0가 철을 고정화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가교제 역할을 하는 칼슘이온을 함께 사용하였다. 이것을 이용하여 과염소산 이온의 환원분해 효율을 온도를 변화하면서 실험 하였고 재사용 가능성을 점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erchlorate ion ($ClO_4^-$) has been widely used as oxidizing agent in military weapon system such as rocket and missile fuel propellant. So it has been challenging to remove the pollutant of perchlorate ion. nanoscale zero valence iron (nZVI) particles are widely employing reduction cat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분해 온도조건을 달리하여(25℃, 50℃, 100℃) 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재사용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염소산이온에 대한 오염 문제가 대두된 계기는? 1985년 과염소산 이온(ClO4−)이 지표수에서 발견된 이후로 국, 내외적으로 과염소산이온에 대한 오염 문제가 심각히 대두되고 있으며 사회적인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과염소산 이온은 인체에 흡수되면 갑상선 호르몬 생성에 필요한 요오드의 흡수를 막아 갑상선 호르몬의 생성을 방해하고 인체의 신진대사를 저해한다.
과염소산이온의 환원분해에서 nZVI를 이용하여 반응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은 무엇인가? 그래서 반응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nZVI 입자를 고정시킬 수 있는 물질을 사용하게 되면 입자의 크기를 줄이고 응집이 되는 경향을 없앨 수가 있기 때문에 반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동안 starch나 alginate와 같은 생체 고분자를 이용하여 nZVI를 안정화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었는데 사용 후 촉매의 회수가 어려워 재사용이 불가능하였다.
과염소산 이온의 인체에 대한 악영향은? 1985년 과염소산 이온(ClO4−)이 지표수에서 발견된 이후로 국, 내외적으로 과염소산이온에 대한 오염 문제가 심각히 대두되고 있으며 사회적인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과염소산 이온은 인체에 흡수되면 갑상선 호르몬 생성에 필요한 요오드의 흡수를 막아 갑상선 호르몬의 생성을 방해하고 인체의 신진대사를 저해한다.1 과염소산 이온은 산업 활동(예, 전자제품 세정, 자동차 에어백, 페인트, 의약품, 비료 제조 등)에 의해 사용되기도 하지만 특히 전체의 90%이상이 군사적인 목적인 로켓 추진체 및 미사일 추진체의 산화제로 사용이 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J. C. Moreno, H. Bikker, M. J. E. Kempers, A. S. P. Van Trotsenburg, F. Bass, J. J. M. de Vijlder, T. Vulsma and C. Ris-Stalpers, New Engl. J. Med., 347, 95-100(2002). 

  2. ITRC (Interstate Technology & Regulatory Council), Perchlorate: Overview of issues, Status, and Remedial Options; PERCHLORATE-1; Perchlorate Team, ITRC, Washington, DC. 2005. 

  3. A. Hooper, R .J. Powell, T. J. Marshall and R. J. Neat, J. Power Sources 27, 3-13(1989). 

  4. J. M. Permaut and G. Goulart, J. Power Sources., 55, 93-96(1995). 

  5. S. M. Ponder, J. G. Darab and T. E. Mallouk, Environ. Sci. Technol., 34, 2564-2569(2000). 

  6. P. Zhang, X. Tao, Z. Li and R. S. Bowman, Environ. Sci. Technol., 36, 3597-3603(2002). 

  7. S. M. Ponder, J. G. Darab, J. Bucher, D. Caulder, I. Craig, L. Davis, N. Edlstein, W. Lukens, H. Nitsche, L. Rao, D. K. Shuh and T. E. Mallouk, Chem. Master., 13, 479-486(2001). 

  8. F. Li, C. Vipulanandan and K. K. Mohanty, Colloid. Surf. A: Physicochem. Eng. Aspects., 223, 103-112(2003). 

  9. B. Schrick, B. W. Hydutsky, J. L. Blough and T. E. Mallouk, Chem. Mater., 16, 2187-2193(2004). 

  10. X. Q. Li, D. W. Elliott and W. X. Zhang, Mater and Eng Aspects., 31, 111-122(2006). 

  11. H. Kim, H.-J. Hong, S.-H. Kim and J.-W. Yang, J. Haz Mater., 176, 1038-1043(2010). 

  12. D. W. Elliot and W. X. Zhang, Environ. Sci. Technol., 35, 4922-4926(2001). 

  13. S. R. Kanel, B. Manning, L. Charlet and H. Choi, Environ. Sci. Technol., 39, 1291-1298(2005). 

  14. S. Choe, S. H. Lee, Y. Y. Chang and K. Y. hwang, J. Khim, Chemosphere., 42, 367-372(2001). 

  15. C. B. Wang and W. X. Zhang, Environ. Sci. Technol., 31, 2154-2156(1997). 

  16. J. Cao, D. Elliott and W. X. Zhang, J. Nanopart. Res., 7, 499-506(2005). 

  17. F. He and D. Zhao, Environ. Sci. Technol., 39, 3314-3320(2005). 

  18. G. S. Anisha and P. Prema, Bioresour. Technol., 99, 3325-3330(2008). 

  19. S. Y. Oh, P. Chiu, B. J. Kim and D. Cha, J. Haz. Mater., 129, 304-307(2006). 

  20. Z. Xiong, D. Zhao and G. Pan, Water Res., 41, 3497-3505(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