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상 LiDAR를 이용한 토석류 발생에 의한 침식, 퇴적량 측정
Analysis of Erosion and Deposition by Debris-flow with LiDAR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3 no.2, 2010년, pp.54 - 63  

전병희 (강원대학교 소방방재학부) ,  장창덕 (강원대학교 방재전문대학원) ,  김남균 (강원대학교 방재전문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09년 7월 9일부터 14일까지 누적강우 455mm의 집중호우에 의해 제천시 일대에 다수의 토석류 사태가 발생하였다. 토석류 발생에 따른 지형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수치지도와 라이다(LiDAR) 자료를 이용하여 고해상도의 수치고도모델(DEM)을 생성하였다. 라이다측량을 위해서 고해상도의 디지털 카메라와 GPS가 탑재된 3차원 스캐너 시스템 (RIEGLE LMS-Z390i)을 이용하였다. 라이다 스캐닝에 의해 생성된 포인트 자료는 클리핑필터링 작업을 거친 후 수치지도에 중첩시켜 토석류 발생 후의 지형의 DEM을 생성한다. 이렇게 토석류 발생 전후의 DEM 비교결과, 토석류 발생에 의한 침식과 퇴적량은 각각 $17,586m^3$, $7,520m^3$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고해상도 지상라이다시스템을 이용하여 지형변화 관측을 통해 장래 토석류 모델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ntensive rainfall over 455 mm occurred between on 9 to 14 July 2009 triggered debris flows around the mountain area in Jecheon County. We mapped the debris flow area and estimated the debris flow volume using a high resolution digital elevation model (DEM) generated respectively from terrestri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토석류 발생 후의 지형변화를 평가하기 위해, 지상라이다를 이용하여 정밀 측량을 실시하였다. 2009년 제천지역 토석류 발생 지역 중 복구공사가 진행되지 않은 현장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에서 토석류가 주로 발생하는 경우는? 흙이나 암석이 균형을 잃고 일시에 무너져 내리는 산사태와는 달리, 토석류는 산사태에 의해 무너진 흙, 계류의 퇴적층, 유목 등이 물과 함께 흘러내려와 계곡을 거쳐 선상지나 하류부에 피해를 미친다. 일반적으로 토석류를 붕괴지, 유하부, 퇴적부로 구분하였을 때, 20゚이상에서 발생하여 10゚이하에서 퇴적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장마기의 집중호우나 태풍과 동반한 강우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 LiDAR 스캐닝에 의한 지형변화 평가에 대한 효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관찰한 것은? 토석류 발생지역을 따라 종단면도를 나타낸 것이 그림 8의 우측 단면도이다. 라이다 스캐닝에 의한 지형변화 평가에 대한 효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상류부인 (1)에서 (5)까지 하류에 걸친 구간에서 종래의 수치지도에서의 단면과 본 연구에서 얻어진 스캐닝 결과를 비교함에 따라 각 구간에서의 지형변화를 관찰하였다. 기존의 수치지도상의 단면과 비교하여 상류부에서는 침식경향이 뚜렷하나 중류부에서는 침식과 퇴적이 혼재된 양상을 보였다.
토석류와 산사태는 어떻게 다른가? 흙이나 암석이 균형을 잃고 일시에 무너져 내리는 산사태와는 달리, 토석류는 산사태에 의해 무너진 흙, 계류의 퇴적층, 유목 등이 물과 함께 흘러내려와 계곡을 거쳐 선상지나 하류부에 피해를 미친다. 일반적으로 토석류를 붕괴지, 유하부, 퇴적부로 구분하였을 때, 20゚이상에서 발생하여 10゚이하에서 퇴적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장마기의 집중호우나 태풍과 동반한 강우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강준묵, 윤희천, 민관식, 이원영. 2007. 수치지형도와 LiDAR 데이터를 이용한 지형경사도 비교분석.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15(4):3-9. 

  2. 김경태, 정성관, 박경훈, 오정학. 2005. GIS 및 RS기법을 활용한 산사태 취약성 평가. 한국지리정보학회지 8(1):75-87. 

  3. 김경석. 2008. 토석류 발생 지형과 유발 강우 특성 분석. 대한토목학회지 28(5C):263-271. 

  4. 김기홍, 원상연, 윤준희, 송영선. 2008. 강릉지역 국도의 재해위험성 평가.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16(4):33-39. 

  5. 김기환, 이동혁, 김대회, 이승호. 2008. 토석류 흐름 상태 특성 파악을 위한 모형실험 연구. 한국지반환경공학회지 9(5):83-89. 

  6. 박덕근, 노성열, 손종철, 유병옥, 장범수. 2007. 집중호우에 따른 비탈면 재해분석을 통한 피해 저감 방안 제시. 한국구조물진단학회지 11(4):3-11. 

  7. 우충식, 윤호중, 이창우, 정용호. 2008. 항공사진을 이용한 산지토사재해 영향인자 분석.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11(1):14-22. 

  8. 윤홍식, 이동하, 서용철. 2009. GIS 기법 및 발 생자료 분석을 이용한 산사태 위험지도 작성.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2(4):59-73. 

  9. 윤희천, 박준규. 2007. LiDAR에 의한 3차원 GIS DB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0(2):171-182. 

  10. 이승기, 이병두, 정주상. 2005. GIS를 이용한 산사태 위험지 판정 모델의 개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8(4):81-90. 

  11. 조남춘, 최철웅, 전성우, 한경수. 2006. RS와 GIS 기법을 활용한 산사태 위험성의 검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9(2):54-66. 

  12. 채병곤, 송영석, 서용석, 조용찬, 김원영. 2006. 모형실험 장치를 이용한 산사태 발생 및 사태물질 거동특성 실험. 대한지질공학회지 16(3):275-282. 

  13. Du, J.C. and H.C. Teng. 2007. 3D laser scanning and GPS technology for landslide earthwork volume estimation. Automation in Construction, 16:657-663. 

  14. Glenn, N.F., D.R. Streutker, D.J. Chadwick, G.D. Thackray and S.J. Dorsch. 2006. Aanlysis of LiDAR-derived topographic information for characterizing and differentiating landslide morphology and activity. Geomorphology 73:131-148. 

  15. Kasai, M., M. Ikeda, T, Asahina and K. Fujisawa. 2009. LiDAR-derived DEM evaluation of deep-seated landslides in a steep and rocky region of Japan. Geomorphology 113:57-69. 

  16. Lan, H., C.D. Martin, C. Zhou and C.H. Lim. 2010. Rockfall hazard analysis using LiDAR and spatial modeling. Geomorphology 118:213-2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