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종묘 어도박석 관리를 위한 GIS 및 GPS 활용
GIS & GPS Application of Management of Granitic Flagstone from the Trifurcated Path at Jongmyo Royal Shrine, Seoul, Korea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3 no.4, 2010년, pp.125 - 137  

이진영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재해연구부) ,  홍세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재해연구부) ,  윤현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재해연구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서울에 위치하고 있는 종묘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관리되고 있는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과거 종묘의 어도박석(임금이 지나갈 수 있도록 바닥에 깔은 얇고 편편한 돌)이 일부 훼손되어 복원을 위한 현황 조사 및 대체 부재가 분포하는 지역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조사를 위하여 GISGPS 기술이 활용되었으며, 조사결과 종묘의 어도 박석은 사용된 부재가 총 2,361매로 나타났으며, 훼손된 것으로 나타난 부재는 총 1,158매로 나타났다. 현재 종묘의 어도박석으로 대체가능한 부재의 채석가능지역은 강화군에 위치한 석모도 일대이며 채석 가능한 박석의 양은 100,000매로 추정되었다. 본 조사를 통해 종묘 어도 박석의 복원에 필요한 위치정보 및 부재에 대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었으며, GIS와 GPS가 문화재 관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도구로써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종묘를 뿐만 아니라 다른 문화재의 부재조사 및 현황관리에 GIS 및 GPS 기술이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Jongmyo royal shrine, located in Seoul, is a UNESCO World Heritage site, and a cultural relic of national value and significance. Examination of its udobakseok(granitic flagstone; thin, flat and even stepping-stones for the King) has shown that parts are in damaged condition. In this study, GIS and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박석의 부존가능량을 산정하는데 있어 필요한 요소는? 때문에 박석이 부존할 수 있는 암반에서의 부존가능량은 암반노출면적과 평균암반단면높이를 고려하여 개략 계산하였다. 박석의 부존가능량을 산정하는데 있어 필요한 요소들은 첫째, 암반의 넓이 계산, 둘째, 암반에 발달하는 판상쪼개짐구조의 평균두께 계산, 셋째, 기존의 여러 채석흔적지에서 조사된 절취면의 평균높이와 판상쪼개진 구조의 매수, 넷째, 박석의 규격(넓이와 두께)이다.
박석의 채석흔적지를 입증하기 위한 판단자료 중, 고문헌상의 기록은 무엇인가? 박석의 채석흔적지를 입증하기 위한 판단자료는 첫째, 고문헌상의 기록이다. 이는 문화재의 출처, 산지를 밝히는데 가장 중요한 판단자료로, 이러한 고기록이 있다면 실질적인 확인을 위한 현장의 작업 범위가 상당히 축소되어 현장에서의 가시적인 증거 확보만 있으면 된다. 둘째, 현지 주민들의 증언이다.
박석이란 무엇인가? 종묘 내에 임금이 지나다니는 길(어도)에는 얇고 넓은 평평한 돌이 깔려 있으며, 이를‘어도박석’이라 부른다. 즉 박석은 두께에 비하여 면적이 넓은 암석을 의미하며, 종묘의‘어도’는 종묘 정문에서 종묘의 중심건물인 정전에 이르는 길을 말한다. 종묘의 어도박석은 오랜 기간 자연적 또는 인위적으로 훼손되어 박석의 보존 및 교체를 위한 부재의 관리가 필요하였으며, 필요시 부재를 대체할 수 있는 박석의 채석지역과 대체 가능한 부재의 현황에 대한 연구가 절실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구인영, 우성호, 임순범. 2008. 3D 구조 표현에 기반한 전통건축물의 디지털 복원 및 활용 기술. 정보처리학회지 15(3):41-48. 

  2. 문병채, 박현욱, 정태영. 2003. GIS를 이용한 문화정보시스템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6(3):43-60. 

  3. 장문현, 이정록. 2009. Web GIS 기반의 영산강유역권 역사문화정보시스템 구축 연구. 한국GIS학회지 17(3):329-339. 

  4. 장용구. 2006. 모바일 GPS/GIS기술을 이용한 유적지표조사 시스템 구현. 한국지리정보학회지 9(2):91-1001. 

  5. 장호식, 김진수, 이종출. 2005. 무선조정 헬리곱터와 지상사진측량시스템에 의한 석조 문화재 해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5(1D):151-158. 

  6. 장호식, 노태호, 이종출. 2004. 웹을 이용한 문화재 관리 정보시스템 구축.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12(1):63-68. 

  7. 정성혁, 이계동, 이재기. 2003. 문화재 웹 GIS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사진측량기법. 산업과학기술연구논문집. 17(2):79-85. 

  8. 정성혁, 이재기. 2004. Web GIS 도형 자료 구축을 위한 문화재 3차원 모델링 기법. 한국지형공간학회지 12(2):37-42. 

  9. 최일선, 정희경. 2006. XML 및 모바일 RFID 기반의 문화재 안내 시스템. 한국멀티미디어학회지 10(1):41-46. 

  10. 한국지질자원구원. 2005. 박석의 암질특성과 채석산지 조사연구. 97쪽. 

  11. 한승희, 배연성, 배상호. 2006. 문화재 원형복원을 위한 수치사진측량과 광학스캐닝기법의 응용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6(5D):869-876. 

  12. 홍세선, 윤현수, 이진영, 이병태, 이효민, 송치영. 2006. 종묘 어도박석 화강암의 재질특성 연구. 암석학회지 15(3):139-15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