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격자기반의 개념적 수문모형의 개발
Development of Grid-Based Conceptual Hydrologic Model 원문보기

韓國水資源學會論文集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43 no.7, 2010년, pp.667 - 679  

김병식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환경연구본부 수자원연구실) ,  윤선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환경연구본부 수자원연구실) ,  양동민 (노아솔루션 기술연구소) ,  권현한 (전북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분포형 수문모형은 컴퓨터 하드웨어의 급속한 발전과 GIS를 이용한 수문지리공간정보에의 접근성 및 활용성 증가에 따라 근래에 많은 발전을 이루게 되었다. 하지만 물리기반의 분포형 수문모형은 입력자료 구축 및 모형구동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며 수문자료가 불충분한 미계측 유역에서는 모형의 구축이 어렵다는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개념적 격자 물수지 기법을 이용한 개념적 분포형 수문모형 S-RAT을 개발하였다. S-RAT 모형은 집중형 수문모형의 자료구축의 간편성과 분포형 수문모형의 공간적 유출해석 능력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으며 격자기반 레이더강우자료를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전처리과정 및 유역의 지형자료 추출 기능을 탑재함으로 상용 GIS 분석 도구들에 대한 의존성이 없는 장점을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도시유역인 중랑천 유역과 산지유역인 내린천 유역 적용을 통해 S-RAT 모형의 유출모의능력 및 매개변수의 시공간적 전이성을 확인하였으며 지상강우와 레이더강우의 입력 자료로써의 활용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istributed hydrologic model has been considerably improved due to rapid development of computer hardware technology as well as the increased accessibility and the applicability of hydro-geologic information using GIS. It has been acknowledged that physically-based distributed hydrologic model 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논문에서는 개념적 격자 물수지 기법을 이용하여 집중형 수문모형의 자료구축의 간편성과 분포형 수문모형의 공간적 유출해석 능력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 그리고 격자기반 레이더 자료를 그대로 입력하여 활용할 수 있는 격자기반의 개념적-분포형 수문모형을 개발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개발된 모형을 국내 도시유역 및 산지유역에 적용하여 그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S-RAT 모형의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중랑천과 내린천 유역을 대상으로 유출모의를 실시하였다. 중랑천유역의 경우 유역면적이 비교적 작고, 도시유역이며 지점강우자료를 입력자료로 사용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격자 물수지 기법을 이용한 개념적 분포형 수문모형 S-RAT을 소개하였다. 본 모형은 집중형 수문모형의 자료구축 간편성과 분포형 수문모형의 공간적 유출해석 능력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으며 격자기반 레이더강우자료를 활용할 수 있다.
  • 특히, 물리적 기반의 분포형 수문모형은 일반적으로 집중형 또는 준 분포형 수문모형에 비해 많은 계산시간이 필요하고, 우리나라 산악지역의 자연유역처럼 수문자료가 불충분하거나 미계측 유역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실무에서 물리적-분포형 모형을 이용하여 유출해석을 하는데 있어 많은 한계와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개념적 격자 물수지 기법을 이용하여 집중형 수문모형의 자료구축의 간편성과 분포형 수문모형의 공간적 유출해석 능력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 그리고 격자기반 레이더 자료를 그대로 입력하여 활용할 수 있는 격자기반의 개념적-분포형 수문모형을 개발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개발된 모형을 국내 도시유역 및 산지유역에 적용하여 그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문모형은 유출 거동 모의 방법과 유역의 공간적 특성변화를 고려하는 방법에 따라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가? 수문순환의 과정을 해석하고 예측하는 것은 과거로부터 지금까지 많은 수문학자들의 가장 중요한 과제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으며 이 중 단기간에 발생되는 호우사상에 대한 유출해석은 홍수관리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수문모형은 물순환 과정에서의 유역의 유출현상을 모의하는 수학 모형으로서 유출 거동 모의 방법과 유역의 공간적 특성변화를 고려하는 방법에 따라 크게 집중형 수문모형(lumped hydrological model)과 분포형 수문모형(distributed hydrological model)으로 구분할 수 있다. 1960년대 중반 이후 강우-유출 관계를 모의하기 위하여 컴퓨터를 이용하기 시작하였으며, 최근 들어 지형정보시스템의 등장과 컴퓨터 계산 능력의 두드러진 발달과 더불어 수문모형도 집중형 모형에서 분포형 모형으로 발전하고 있는 추세이다.
수문모형이란? 수문순환의 과정을 해석하고 예측하는 것은 과거로부터 지금까지 많은 수문학자들의 가장 중요한 과제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으며 이 중 단기간에 발생되는 호우사상에 대한 유출해석은 홍수관리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수문모형은 물순환 과정에서의 유역의 유출현상을 모의하는 수학 모형으로서 유출 거동 모의 방법과 유역의 공간적 특성변화를 고려하는 방법에 따라 크게 집중형 수문모형(lumped hydrological model)과 분포형 수문모형(distributed hydrological model)으로 구분할 수 있다. 1960년대 중반 이후 강우-유출 관계를 모의하기 위하여 컴퓨터를 이용하기 시작하였으며, 최근 들어 지형정보시스템의 등장과 컴퓨터 계산 능력의 두드러진 발달과 더불어 수문모형도 집중형 모형에서 분포형 모형으로 발전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 격자 물수지 기법을 이용한 개념적 분포형 수문모형 S-RAT을 소개하였고 도시유역인중랑천 유역과 산지유역인 내린천 유역 적용을 통해 모형의 유출모의능력 및 매개변수의 시공간적 전이성이 있음을 확인한 결과는? (1) 지형학적 입력자료들을 추출하기 위해 Arc 관련 소프트웨어 또는 IDRIS 등과 같은 GIS 관련 상용 팩키지에 의존하여 전처리 과정을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기존 대부분의 분포형 수문모형들과 비교하였을 때, 본 모형은 자체적으로 전처리 과정을 통해 유출흐름방향도, 하천망도, 유역경사도 등의 입력자료를 추출하고 바로 유출모의 단계로 이행되는 등 모형구축에 있어서 매우 간편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중랑천 유역 적용결과 RRMSE 값이 0.89, NPE 값이 0.34 등 다소 모의능력이 떨어졌으나 이는 본 모형이 격자기반 단순화된 물수지개념으로 유출모의를 수행하기 때문에 하수관거 유입 등과 같은 도시 배수시스템의 영향이 매우 큰 중랑천과 같은 도시 유역에서는 모의에 한계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3) 내린천 유역의 2006년 홍수사상 유출모의 결과 RRMSE 값이 0.51, NPE 값이 0.13 등으로 양호했고, 관측 수문곡선 잘 재현하였으며 Q-Q plot 상에서 점들이 중심선 주변에 분포되어 있는 것을 볼 때 레이더강우자료는 S-RAT 모형에 입력자료로서 높은 적용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이는 유역면적이 크고 지형기복이 심해 강우의 공간적 편차가 큰 산지유역에서 레이더강우자료를 사용한 S-RAT의 높은 적용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4)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S-RAT 모형만을 적용하였으나, 향후 보다 많은 유역 및 사상에 대한 적용성을 검토하고, VfloTM 및 GRM과 같은 기존 분포형 모형과의 동일유역 동일 사상에 대한 모의성능 비교 연구를 통해 보다 객관적인 평가를 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S-RAT 모형은 격자기반 개념적 물수지 기법에 기반하기 때문에 계산알고리즘이 완전물리기반 분포형 모형과 비교하였을 때 비교적 간단한 장점이 있다. 따라서 단일사상 뿐만 아니라 장기유출모의에 있어도 활용성이 있을 것이라 판단되며 향후 이에 대한 사례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국토해양부 (2005). 주요지천 홍수예보프로그램 개선. 

  2. 김성준 (1998). “격자기반의 운동파 강우-유출모형 개발 (I)-이론 및 모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Vol. 31, No. 3, pp. 303-308. 

  3. 노성진, 김현준, 장철희(2005). “청계천 유역에대한WEP 모형의 적용.”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Vol. 38, No. 8, pp. 645-653. 

  4. 박진혁, 허영택 (2008). “홍수유출해석을 위한 운동파기반의 분포형 모형 개발 및 적용.”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Vol. 41, No. 4, pp. 509-518. 

  5. 최윤석, 김경탁, 이진희 (2008). “유한체적법을 이용한 격자기반의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 개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Vol. 41, No. 9, pp. 895-905. 

  6. 최현상 (2001). GIS와 불확실성 해석기법을 이용한 분포 형 강우-유출 모형의 개발, 박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한국건설기술연구원(1995) 이차원 하천모형의 개발(I) 한국건설기술연구원(1996) 이차원 하천모형의 개발 (II). 

  7. Abbott, M.B., Bathurst, J.C., Cunge, J.A., O’Connell, P.E., and Rasmussen, J. (1986a). “An introduction to european hydrological system-systeme hydrologique europeen, ‘SHE’. 1. History and philosophy of a physically-based distributed modeling system.” Journal of Hydrology, Vol. 87, pp. 45-59. 

  8. Abbott, M.B., Bathurst, J.C., Cunge, J.A., O’Connell, P.E., and Rassmussen, J. (1986b). “An introduction to the european hydrological system-systeme hydrologique european, ‘SHE’. 2. Structure of a physicallybased distributed modelling system.” Journal of Hydrology, Vol. 87, pp. 61-77. 

  9. Kim, B.S., Kim, B.K., and Kim, H.S. (2008). “Flood simulation using the gauge-adjusted radar rainfall and physics-based distributed hydrologic model”. Hydrological Processes, Vol. 22, pp. 4400-4414. 

  10. Band, L.E. (1986). “Topographic partition of watersheds with digital elevation model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22, pp. 15-24. 

  11. Chow, V.T., Maidment, D.R., and Mays, L.W. (1988). Applied Hydrology. McGraw-Hill, Singapore. 

  12. Cunge, J.A. (1969). “On the subject of a flood propagation computation method (Muskingum method).” Journal of Hydraulic Research, Vol. 7, pp. 205-230. 

  13. Doorenbos, J., Pruitt, W.O., Aboukhaled, A., Damagnez, J., Dastane, N.G., Van der Berg, C., Rijtema, P.E., Ashford, O.M., and Frere, M. (1984). “Guidelines for predicting Crop Water Requirements.” FAO Irrigation and Drainage Paper, Rome. 

  14. Halit Apaydin, Alper, S. Anli, and Ahmet Ozturk (2006). “The temporal transferability of calibrated parameters of a hydrological model.” Ecological Modelling, Vol. 195, pp. 307-317. 

  15. Jenson, S.K., and Domingue, J.O. (1988). “Extracting topographic structure from digital elevation data for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alysis.” Photogrammetric Engineering and Remote Sensing, Vol. 54, No. 11, pp. 1593-1600. 

  16. Julien, P.Y., and Saghafian, B. (1991). “CASC2D Users Manual-A Two Dimensional Watershed Rainfall-Runoff Model.” Civil Engr. Report, CER90-91PYJBS-12. Colorado State University, Fort Collins. 

  17. Julien, P.Y., Saghafian, B., and Ogden, F.L. (1995). “Raster-based hydrological modeling of spatiallyvaried surface runoff.” Water Resources Bulletin. AWRA, Vol. 31, No. 3, pp. 523-536. 

  18. Martz, L.W., and Jong, E.D. (1988). “CATCH: A FORTRAN program for measuring catchment area from digital elevation models.” Computers & Geosciences, Vol. 14, No. 5, pp. 627-640. 

  19. Molnar, D.K., and Julien, P.Y. (2000). “Grid size effects on surface water modeling.”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Vol. 5, pp. 8-16. 

  20. Moore, I.D., and Grayson, R.B. (1991). “Terrain-based catchment partitioning and runoff prediction using vector elevation data.”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27, No. 6, pp. 1177-1191. 

  21. Ogden, F.L., and Julien, P.Y. (1994). “Runoff model sensitivity to radar rainfall resolution.” Journal of Hydrology, Vol. 158, pp. 1-18. 

  22. Orlandini, S., Perotti, A., Sfondrini, G., and Bianchi, A. (1999). “On the storm flow response of upland Alpine catchments.” Hydrological Processes, 13, 549-562. 

  23. Ponce, V.M. (1986). “Diffusion wave modelling of catchment dynamics.”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ASCE, Vol. 112, Mo. 8, pp. 716-727. 

  24. Ponce, V.M., and Yevjevich, V. (1978). “Muskingum-Cunge method with variables parameters” Journal of the Hydraulics Division, ASCE, Vol. 104, No. 12, pp. 1663-1667. 

  25. Sharif, H.O., Ogden, F.L., Krajewski, W.F., and Xue, M. (2002). “Numerical simulations of radar rainfall error propagation.”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8, No. 8. 

  26. Soil Conservation Service (1972). National Engineering Handbook, Section 4, Hydrology.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Washington D.C. 

  27. Tarboton, D.G. (1997). “A new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flow directions and upslope areas in grid digital elevation models.”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3, No. 2, pp. 309. 

  28. Vieux, B.E. (2001). Distributed hydrologic modeling using GIS, kluwer academic publishes, norwell, massachusetts. Wat Sci Tech Series, Vol. 38, p. 293. 

  29. Vieux, B.E., Bralts, V.F., Segerlind, L.J., and Wallace, R.B. (1990). “Finite element watershed modeling: onedimensional elements.”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Vol. 116, No. 6, pp. 803-81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