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요양시설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related to the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Institutionalized Elders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2 no.3, 2010년, pp.281 - 290  

김은하 (부산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  김영경 (부산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related to the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institutionalized elders. Methods: The subjects were 247 elders institutionalized among one of the four nursing homes in Busan.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 with four standar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요양시설 거주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요양시설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과 관련요인들을 파악하고 영향요인을 분석하여 건강관련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 개발에 필요한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요양시설에 거주하는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정도를 알아보고 관련 요인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시설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 개발을 위한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요양시설에 거주하는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고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8%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볼 때, 본 연구는 지금까지 간과되어왔던 요양시설 거주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의 정도와 수면의 질,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우울정도에 대한 조사를 통해 현재 급증하고 있는 요양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의 건강증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건강관련 삶의 질 측정을 위해 기존의 SF-16, EQ-5와는 달리 인지능력이 저하되어 가는 노인에게 적합한 SmithKline Beecham의 건강관련 삶의 질 도구를 활용하였다는 점에서도 의의를 가진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등한시되어왔던 시설노인을 대상으로 개인의 주관성이 잘 반영된 한국판 스미스클라인 비챰의 삶의 질 척도를 사용하여 건강관련 삶의 질을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시설노인의 건강수준을 파악하고 관련요인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시설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 개발을 위한 근거자료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노인인구의 비율 전망은 어떠한가? 우리나라의 노인인구는 1990년 이후 꾸준히 증가해 2008년 고령자 통계에 의하면 7월 1일 현재 총인구 중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비율은 10.3%로 2000년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이후 심화되어, 2018년에는 14%, 2026년에는 초고령 사회인 20%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8). 2008년 7월부터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가 개시되어 요양보호를 필요로 하는 노인과 가족은 간병비가 지급되는 요양시설 입소를 선호하게 되었으며, 2009년 5월에는 2,016개 시설에 76,216명이 입소하였는데 이는 노인인구의 1.
본 논문에서 요양시설 거주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결과는 무엇인가? 대상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은 6.62점(1~10점)으로 중간정도이며 영역별로 살아있음을 인식할 수 있는 에너지인활력이 가장 높았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은 교육정도(F=1.96, p=.020)와 월 용돈(F=2.80, p=.026)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상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과 수면의 질(r=.388, p<.001), 일상생활수행능력(r=.410, p< .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상관관계가 있었고, 우울 (r=-.241, p<.001)과는 역상관관계가 있었다. 회귀분석 결과에서도 수면의 질, 일상생활수행능력, 교육정도와 우울정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설명력은 28.8%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볼 때, 본 연구는 지금까지 간과되어왔던 요양시설 거주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의 정도와 수면의 질,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우울정도에 대한 조사를 통해 현재 급증하고 있는 요양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의 건강증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건강관련 삶의 질 측정을 위해 기존의 SF-16, EQ-5와는 달리 인지능력이 저하되어 가는 노인에게 적합한 SmithKline Beecham의 건강관련 삶의 질 도구를 활용하였다는 점에서도 의의를 가진다. 추후에는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요양시설 노인의 수면의 질을 높이고 일상생활수행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활력을 증진시키고 우울정도를 감소할 수 있는 효과적인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중재 이후에 그 효과를 확인한다면 요양시설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건강관련 삶의 질이란 무엇인가? 건강관련 삶의 질은 질병, 사고, 치료 및 그 부작용과 관련하여 개인이 지각하는 주관적인 안녕 상태(Hollyandsworth, 1988)로서 본 연구에서는 Stoker 등(1992)이 개발하고 Yoon 등(1988)이 한국판으로 표준화한 The Korean version SmithKline Beecham Quality of Life Scale (KvSBQoL)을 사용하여 측정한 점수이다. 척도는 유능감, 정신적 안녕, 안정성, 신체적 안녕, 활력 등의 5개 하위 영역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uysee, D. J ., Reynods, C. F., Monk, T. M., Bermans, S. R., & Kupfer, D. J . (1989).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New instrument for psychiatric practice and research. Psychiatry Research, 28, 193-213. 

  2. Cohen, J .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2nd ed.).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3. Han, S. H. (2002). The effect of the family function on the psychological health of the elderly people in the different types of institu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llym University, Chuncheon. 

  4. Hollandsworth, J . G. (1988). Evaluating the impact of medical treatment on the quality of life: A five year update. Social Science & Medicine, 26, 425-434. 

  5. Hwang, M. G., & Kim, E. J . (2008).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cognitive function,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uicide ideation.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41, 385-404. 

  6. Joo, J . M. (2008). Mood states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older adul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7. Katz, S., Ford, A. B., Moskowitz, R. W., J ackson, B. A., & J affe, M. W. (1963). Studies of illness of the aged, the index of ADL: A standardized measure o biological and psychosocial function.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185, 914-919. 

  8. Kee, B. S. (1996).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Korea version.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5(2), 298-307. 

  9. Kim, E. H., & Lee, J . W. (2009). Factors influenc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elderly who visited a senior center: with activity of daily living, quality of sleep and depression.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9(2), 425- 440. 

  10. Kim, J . M. (2009). Pressure ulcers, dependencies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depression among elders in nursing hom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1. Kim, M. H., Lee, H. J ., & Seo, M. K. (2008). The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job seeking experience of Korean elderly male retirees who succeeded in reemployment.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8(1), 123-142. 

  12. Kim, K. B., Yun, J. S., & Sok, S. (2008). Comparative study on the sleep patterns, satisfaction, and sleep enhancement behaviors between hospitalized and non-hospitalized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5), 685-693. 

  13. Kim, N. H. (2007).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sleep, activity of daily living and depression among the older adults in institu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4. Kim, S. S. (2008). The comparison study on psychological welfare between Korean and Japan of the elderly living on charged welfare faciliti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15.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2007). Statistics of population in the future. Seoul: National Statistical Office. 

  16. Lee, D. H. (2009). Factor analysis an influence for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in Korea .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aegu University, Daegu. 

  17. Lee, E. K. (2009). Current situation and policy implication for the elderly long-term care insurance. Health-Welfare Policy Forum, 10, 23-31. 

  18. Mcdougall, F. A., Matthews, F. E., Kvaal, K., Dewey, M. E., & Brayne, C. (2007). Prevalence and symptomatology of depression in older people living in institutions in England and Wales, Age and Ageing, 36, 562-568. 

  19. Morgan, K. (2003). Sleep, aging and later life insomnia. In R. C. Tails, & H. M. Fillit(Eds.), Brockhurst's textbook of geriatric medicine and gerontology (pp. 110-24). London: Churchill Livingstone. 

  20. Sheikh, J . I., & Yesavage, J . A. (1986). 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 Recent evidence and development of a shorter version. In: Brink, T. L., ed. Clinical Gerontology: A guide to assessment and intervention. New York: The Harworth Press, 165-173. 

  21. Shin, K. R., Byeon, Y. S., Kang, Y. H., & Oak, J . W. (2008). A study on physical symptom, activity of daily living,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HRQoL) in the community dwelling older adul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3(3), 437-444. 

  22. Soe, Y. G. (1999).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institutional elderly compared with the community living elderl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wangju. 

  23. Son, S. Y. (2009). Factors related to the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elderly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5(2), 99-107. 

  24. Spiker, B., & Revicki, D. A. (1996). Taxonomy of quality of life. In: Spiker, B. editor, Quality of life and pharmacoeconomics in clinical trials, 2nd. ed. Philadelphia: Lippincott-Raven, 25-31. 

  25. Stoker, M. J., Dunbar, G. C., & Beaumont, G. (1992). The Smith- Kline Beecham 'quality of life' scale: A validation and reliability study in patients with affective disorder. Quality of Life Research, 1, 385-395. 

  26. Sung, K. W. (2005). Comparison of health conservation for elders in assisted living facilities and nursing hom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7), 1379-1389. 

  27. Yoon, J. S., Kook, S. H., & Lee, M. S. (1998). A preliminary study on Korean version of the SmithKline Beecham quality of life.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7 (2), 280-294. 

  28. Youn, J . H. (2005). A study on IBS, stress percieved by college women and their dietary habit and sleeping qual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9. Yu, M. K. (2007). A study on the sleep in the community dwelling elderly.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