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남해안방풍림 자생수종의 내염성 및 내조성 수종 선발
Soil Salinity and Salt Spray Drift Tolerance of Native Trees on the Coastal Windbreaks in the South-Sea, Korea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4 no.1, 2010년, pp.14 - 25  

김도균 (순천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염해지역의 식재수종 선발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국 남해안 방풍림 자생수목의 토양염분에 대한 내성과 염분비산 영향을 미치는 지대별 토양염분도와 출현수종을 조사 분석하였다. 조사지의 토양염분 $EC_{1:5}$는 전체 평균 $0.18dSm^-1$이었고, 최저 $0.05dSm^{-1}$, 최고 $0.58dSm^{-1}$이었다. 토양염분($EC_{1:5}$)은 I 지대를 제외하고는 해안 정선으로 부터 내륙으로 갈수록 낮았으며, II 지대>llI지대>I 지대>IV지대 순으로 각각 $EC_{1:5}$ $0.22dSm^{-1}$ $0.22dSm^{-1}$ $0.19dSm^{-1}$ $0.13dSm^{-1}$이었다. 출현한 자생식물은 45과 74속 9변종 100종 총 110분류군이었다. 토양염분이 가장 높은 단계인 $EC_{1:5}$ $0.50dSm^{-1}$를 초과하는 곳에 출현한 식물은 담쟁이덩굴과 안동이였으며, 그 다음으로 $EC_{1:5}$ $0.41{\sim}dSm^{-1}$까지 자생하는 식물은 꾸지뽕나무, 멍석딸기, 산초나무, 송악, 아까시나무, 졸참나무, 좀작살나무 퉁이었다. 전제 지대에 출현하는 수종은 정과 새머루이었고, 내조성이 높은 순비기나무는 I 지대에만 출현하였다. 전체 지대에서 중요도가 가장 높온 수종은 느티나무, 팽나무, 모감주나무, 예덕나무, 마삭줄, 칡 등이었다. 이러한 수종은 조사지의 자생 수종들 중에서 다른 수종에 버하여 상대적으로 내조성이 강한 수종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soil salinity and salt spray drift of the indigenous windbreak trees, and its main purpose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selection of salt-tolerant trees in the saline coastal region in the South Sea of Korea. The soil salinity($EC_{1:5}$)...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우리나라 남해안의 여수시 장수리 및 남해군 물건리 해안방풍림의 식생조사와 토양특성을 조사․분석하여 내염성 및 내조성 식물을 선발하여 염해지역 조경식재 또는 생태복원녹지 조성시 내염성과 내조성 식물 선정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해안방풍림에서 자생식물의 내염성과 내조성 식물을 선발하기 위한 본 연구의 의문은 첫째로는「해안가 출현 식물은 어느 정도의 토양염분도에 적응 하는가?」이고, 둘째로는 「해안 정선부(汀線部)로 부터 내륙 방향의 지대별로 어떤 내조성 식물들이 출현할까?」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염해지녹화 기술수 준이 낮은 이유는? 우리나라는 산업화 이후 대규모 간척지, 바다매립지, 해안 등의 염해지녹화가 대규모적으로 시행되고 있으나 수목의 성장은 싱가폴이나 일본 등에 비하면 그 기술 수준이매우 낮은 것이 현실이다. 그 원인은 염해지 녹화에 대한 기술 부족도 있지만 가장 기초적인 내염성과 내조성에 대한 수종선발이 제대로 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국내에서 강의교재, 전문서적, 조경식재기준, 설계기준, 건설시방서 등에서 기술되는 내염성과 내조성에 대한 자료는 대부분 일본과 다른 외국의 2차 자료를 인용된 것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은 국외의 2차 자료를 인용한 문헌들의 내염성과 내조성 수종선발에 대한 정확한 근거 자료를 찾기 어렵고, 우리나라의 고유식물들과 내염성과 내조성이 다르게 표기 되어 있는 경우도 많이 발견 되고 있다. 이와 같이 우리나라의 내염성 및 내조성 수종 선발에 이용할 수 있는 자료는 매우 부족한 편이므로 우리나라의 자생식물을 대상 으로 내염성 및 내조성 수종 선발에 대한 기초연구가 필요하다.
바닷물에 의해 식물이 피해를 받는 이유는? 내염성 식물은 토양염분에 식물이 적응하는 정도이며, 내조성 식물은 바닷바람에 염분이 비산되어 식물의 잎과 줄기에 묻혔을 때 염분에 적응하는 것이다. 바닷물은 염분농도 2.7~3.5% 정도로(Odum, 1971; Richard and Walter, 1996) 바람에 의하여 바다물이 비산되어 식물체와 토양에 누적되어(Bonnie, 2002) 식물이 염분 피해를 받기 때문(Lee and Kim, 1997)이다. 염분이 식물체에 미치는 피해는 주로 엽록소 함량의 감소(Chon and Park, 2003), 생장 저해, 광합성 저하(Garcíia-Sáanchez.
내조성 식물은 어떤 특성을 가지는가? 내염성 식물은 토양염분에 식물이 적응하는 정도이며, 내조성 식물은 바닷바람에 염분이 비산되어 식물의 잎과 줄기에 묻혔을 때 염분에 적응하는 것이다. 바닷물은 염분농도 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Bonnie Appleton, Vickie Greene, Aileen Smith, Susan French, Brian Kane, Laurie Fox, Adam Downing, and Traci Gilland(2002) Trees and shrubs that tolerate saline soils and salt spray drift. Trees for problem landscape sites. Verginia Cooperative Extension. Publication 430-031. 

  2. Braun-Blanquet(1965) Plant sociology: the study of plant communities. Hafner, London, 439pp. 

  3. Cho D.S.(2006)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plant communities structure and soil environment of coastal dune in Korea. Ph. D. theses, Graduate School of Kunsan National University 153pp. 

  4. Choi, M.B.(2003) Selection of tolerant tree species to salt and sea wind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South of western sea areas of Korea.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7(3): 57-66. 

  5. Choi, M.G.(1986) Characteristics of salt tolerance in tree species (I) -Relationship between tree species distribution and soil salt concentration in East coastal forest. Jour. Korean For. Soc. 73: 1-8. 

  6. Choi, M.G.(1988) Characteristics of salt tolerance in several tree species. Ph. D. thesis. Graduate School, Kangweon National University. 52pp. 

  7. Chon, S.U. and J.H. Park(2003) Parameters on physiological responses of Soybean (Glycine max Merr.) to salinity.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22(3): 185-191. 

  8. Costa, M.L., F. Carrapico and M.C.R. Santos(1996) Contribuicao para o estudo da utilizacao de Azolla no tratamento de aguas residuais domesticas. In Borrego, C., C. Coelho, L. Arroja, C. Boia & E. Figueiredo (eds), Proceedings 5a Conferencia Nacional Sobre a Qualidade do Ambiente 2. Aveiro, Portugal: 1945-1954. 

  9. Curtis, J.T. and G. Cottam(1962) Plant ecology workbook: Laboratory field and reference manual. Burgess Publishing Co., Minneapolis, Minnesota. 161pp. 

  10. Dana T., D.M. Islay and D.S. Ashley(2005) A field experiment to assess the transplant success of salt marsh plants into tidal wetlands. Wetlands Ecology and Management 13: 489-97. 

  11. Daubennire, R.E.(1974) Plants and environment. John Wiley & Sons. New York. pp. 46-56. 

  12. David Wm. Reed(1996) Water, media and nutrition for greenhouse crops. Ball Publishing, Batavia, IL. 

  13. Dochinger, L.S. and A.M. Townsend(1979) Effects of roadside deicer salts-and ozone- on red maple progenies. Environ. Pollut. 19: 229-237. 

  14. Francois, L.E.(1987) Salinity effect on asparagus yield and vegetative growth. J. am. Soc. Hort. Sci. 112(3): 432-436. 

  15. Garciia-Saanchez, F., J.L. Jifon, M. Carvajaland and J.P. Syvertsen(2002) Gas exchange, chlorophyll and nutrient contents in relation to Na+ and Cl- accumulation on 'Sunburst' mandarin grafted on different root stocks. Plant Sci. 162: 705-712. 

  16. Greenway, H. and R. Munns.(1980) Mechanism of salt tolerance in nonhalophytes. Ann. Rev. Plant Physiol. 31: 149-90. 

  17. Hass, J.(1993) Effect of saline irrigation on early growth of Eucalyptus gomphocephala and Acacia saligna. Environmental Conservation 20: 143-148. 

  18. Homma Akira(1973) Bulletin of the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No 4 -Studies on the problems of planting for landscape in the area reclaimed foreshore land. Laboratory of landscape architecture, The University of Tokyo, Tokyo, 127pp. 

  19. Jenny, H.(1941) Factors of soil formation: A system of quantitative Pedolog. Dover Pub., Mineola, N.Y. 

  20. Jung, Y.S., J.H Joo., S.D. Hong., I.B. Lee and H.M. Ro(2001) Discussion on dilution factor for electrical conductivity measure by saturation-past extract and 1:5 soil to water extract, and CEC of Korean soils. Kor. J. Soil Sci. Fert. 34(1): 71-75. 

  21. Kim, D.G.(2009) Native Trees that Tolerate Saline Soil and Salt Spray Drift at the Coastal Windbreaks in the South-Sea, Korea. Pro. Kor. Soc. Env. Con. 19(2): 77-80. 

  22. Kim, K.H., and C.M. Park(1998) Growth environment and morphological characters of Vitex rotundifolia Communities in Pyonsanbando National Park. Kor. J. Env. Eco. 12(1): 91-101. 

  23.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2007) Landscape design standards Kimoondang, Seoul, 356pp. 

  24. Lee, J.S. and Y.J. Kim(1977) Ecological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salt-tolerant and sea wind-hardness ornamental Tre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Vol. 18(2): 215-220. 

  25. Lee, J.S.(1980) Ecological study on the exploitation of salt-tolerant and sea windy-hardness landscape trees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Southern Area of Korea.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8(1): 13-19. 

  26. Lee, T.B.(1993)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993pp. 

  27. Liu, G.M., J.S. Yang, and R.J. Yao(2006) Electrical conductivity in soil extracts: Chemical Factors and there intensity. Soil Science Society of China 16(1): 100-107. 

  28. Major, J.(1951) A functional factorial approach to plant ecology. Ecology 32: 392-412. 

  29. McWilliam, J.R.(1986) The national and international importance of drought and salinity. Australian J. Plant Physiol. 13: 1-13. 

  30. Menninger, E.A.(1964) Seaside plants of the world. Hearthside Press, Inc., New York, 303pp. 

  31. Miyamoto, I., M. Martinez, A.P. Padilla and D. Ornelas(2004) Landscape plant lists for salt tolerance assessment. U.S.D.I. Bureau of Reclamation, pp.1-13. 

  32. Miyamoto, S.(2008) Salt tolerance of landscape plants common to the South west. Texas Water Resources Institute TR 2008-316, pp.1-37. 

  33. Odum, E.P.(1971) Fundamental of Ecology. PA: W.B. Saunders, Co. Philadelphia: 574pp. 

  34. Oh, K.K.(1986) A Study on planting design criteria on the basis of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natural vegetation.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155pp. 

  35. Park, J.M. and S.K. Lee(2004) Study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Vitex rotundifolia seedlings for extension of rehabilitation plant -Mainly on the tolerance to the salt concentration of soil. Jour. Korea Soc. For. Eng. Tech. 2(3): 237-246. 

  36. Pezeshki, S. and J. Chambers(1992) Response of Pinustaeda L. to soil flooding and salinity. Ann. Sci. For. 49: 149-159. 

  37. Rhoades J.D. and S. Miyamoto(1990) Testing soils for salinity and sodicity. In: R.L. Westerman(Third ed.) Soil testing and plant analysis.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Madison, WI, pp.299-336. 

  38. Richard, B. and I.H. Walter(1996) Adaptations to environmental change in Marine fauna. Mangrove Ecology Workshop Manual Ed., IIka C. Feller. Marsha Sitnik. Smithsonian Institution. Washington DC., 135pp. 

  39. Richards, L.A.(1954) Origin and nature of saline and alkali soils. In: Diagnosis and improvement of saline and alkali soils. Agricultural Handbook No: 60. USDA, Washington, D.C., USA, pp.1-6. 

  40. Sixto, H., J.K. Grau, N. Alba and R. Aliia(2005) Response to sodium chloride in different species and clones of genus Populus L. Forestry 78: 93-104. 

  41. US Salinity Laboratory Staff(1954) Diagnosis and improvement of saline and alkaline soils. USDA Handbook 60: 157pp.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