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주요 도시의 비오톱유형 분류체계 비교
Comparisons of Classification System of Biotope Type in Major Korean Cities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4 no.1, 2010년, pp.78 - 86  

최진우 (도시생태학연구센터)

초록

국내 주요 도시에서 수행된 비오톱유형 분류는 생물서식처 관점보다는 토지이용 개념에 한정되어 분류되었고, 생태적 가치에 따라 상세하게 분류되지 못하였다. 비오톱유형은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생물서식처 관점에 따라 분류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비오톱유형 분류에 사용되는 분류위계, 분류항목, 분류요인, 분류지표, 분류기준, 분류key 등 분류인자의 개념적 틀을 명확하게 설정하고 사례도시의 비오톱유형 분류결과에 적용하여 문제점을 고찰하고 비오톱유형 분류체계 개선방향을 제안하였다. 비오톱유형 분류체계는 위계별로 분류의 기본 수준과 기준을 마련하여 일관된 분류 특성을 가져야 한다. 분류지표는 생물적 요인, 무생물적 요인, 인간행태적 요인을 고려하여 적용되어야 한다. 비오톱유형은 일반인들과 계획가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분류지표와 분류key의 표준화와 더불어 지역 비오톱 특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분류key와 분류기준의 특성화를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lassification of biotope type in major Korean cities was made based on the land use concept rather than the ecological concept of the land as the habitat of biological communities. Therefore, biotope type need to be reclassified according to ecological concern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Th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비오톱유형 분류에 사용되는 분류위계, 분류항목, 분류요인, 분류지표, 분류기준, 분류key 등 분류인자의 개념적 틀을 명확하게 설정하고 국내 주요 도시의 비오톱유형 분류결과에 적용하여 주요 문제점을 고찰하고 비오톱유형 분류체계 개선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오톱 유형화란? 비오톱유형은 실제적 상황을 일반화, 표준화하기 위한 표현수단이라고 할 수 있으며 개별 비오톱들에 대한 단순화, 추상화를 하는 과정이다(Blab, 1995). 환경부는 비오톱 유형화를 개별비오톱의 생태적 특징을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나타내는 과정이라고 정의하고 있다(Ministry of Environment, 2008). 비오톱유형은 생물군집 또는 생물군집의 일부가 유사한 생태적 조건하에 서식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환경생태계획으로 보다 쉽게 접목시켜 보전관리 및 수준 향상을 위한 차별적인 관리가 이루어지는 것을 지향하고 있다.
국내 비오톱지도화 방법은? , 2008). 국내 비오톱지도화 방법은 지자체별로 단체장의 관심도, 도시계획부서의 협력정도, 사업비 및 사업기간, 지역 전문가의 관심과 참여, 연구진 역량 및 연구 스타일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국내 비오톱지도의 유형분류의 문제점은? 지금까지 국내 비오톱지도의 유형분류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비오톱지도를 이해하는 관점이 혼란되어 생물서식처 보다 토지이용 개념에 한정되어 비오톱유형이 분류되었고, 비오톱 평가를 하기 위한 사전단계인 경계설정과 기초자료 구축의 의미로 여겨졌다. 그리고 해당 지자체 및 연구자 그룹별로 사용하고 있는 비오톱 분류위계, 분류지표, 분류기준 등 용어사용 및 분류체계가 불명확하고 제각각이어서 서로 비교하기 힘든 실정이다. 환경부에서 2008년 전국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비오톱유형 분류체계와 기본 유형목록을 제시하였으나 분류위계, 분류지표, 분류기준 등의 용어사용을 통일시키지 못하고 있으며 분류체계의 구조적 틀이 불명확하게 사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lab, J., U. Riecken and A. Ssymank(1995) Proposal on a criteria system for a National Red Data Book of Biotopes. Landscape Ecology 10(1): 41-50. 

  2. Choi, I.K., C.H. Oh and E.H. Lee(2008) The suggestion for classification of biotope type for nationwide application. Kor. J. Env. Eco. 22(6): 666-678. 

  3. Choi, J.W.(2009) Development of classification and evaluation process of biotope type by suitable regional characteristics in Seoul metropolitan area, Korea. University of Seoul graduate school dissertation for the degree of doctor, 306pp. 

  4. Federal Agency for Nature Conservation(2002) A system for the survey of biotope and land use types(survey guide). LV Druck, Munster, Germany, 166pp. 

  5. Goyang City(2008) A Study on the ecological urban establishment and biotope map. Korea, 501pp. 

  6. Gwangyang City(2006) Biotope map and its data base. Korea, 286pp. 

  7. Hong, S.H.(2007)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ecological planmning method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urban management. University of Seoul graduate school dissertation for the degree of doctor, 268pp. 

  8. Jhonston, J.(1990) Nature areas for city people. A guide to the successful establishment of community wildlife sites. Ecology Handbook 14. London Ecology Unit, London, UK, 116pp. 

  9. Kang, B.S.(1999) Research methodology for cause and effect analysis. Muyokpub, Korea, 519pp. 

  10. Kim, Y. R.(2001) Development and application evaluation incator for underground water management. Seoul Development Institute, Korea, 170pp. 

  11. Lee, K. J.(1999) Biotope mapping in Gangdong-gu, Seoul City. In: Seoul City(ed.), Workshop for classification biotope type in Seoul City, Korea, pp.50-58. 

  12. Marsh, S.(1993) Nature conservation in community forests. Ecology Handbook 23. London Ecology Unit, London, UK, 64pp. 

  13. Ministry of Environment(2005) Guideline for urban ecological mapping (biotope mapping). Korea, 93pp. 

  14. Ministry of Environment(2007) Guideline for urban ecological mapping (biotope mapping). Korea, 104pp. 

  15. Ministry of Environment(2008) Method of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according to biotope type(I). Korea, 120pp. 

  16. Ra, J. H.(1997) A study on the urban biotope mapping(UBM) and a building of biotop information system(BIS) as a specialized tool in urban landscape planning(I)-. Korean Journal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15(2): 133-145. 

  17. Ratcliffe, D. A.(1977) A nature conservation review. Cambridge University Press, UK, 1: 6-10. 

  18. Schaefer, M.(1992) Okologie. Reihe Worterbucher der Biologie.-3. Aufl. Stuttgart u.a.(Gustav Fischer), 433pp. 

  19. Seongnam City(2004) A Grade evaluation of biotope and GIS data base of biotope map. Korea, 283pp. 

  20. Seoul City(2000) Biotope mapping and guideline for establishment of ecopolis in Seoul(I). Korea, 245pp. 

  21. Seoul City(2005) 2005 Seoul biotope map improvement. Korea, 250pp. 

  22. Sukopp, H. and S. Weiler(1988) Biotope mapping and nature conservation strategies in urban areas of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5: 39-58. 

  23. Sukopp, H.(1990) Urban ecology and its application in Europe. In: H. Sukopp, S. Hejny, I. Kowarik(ed.), Urban Ecology -plants and plant communities in urban environment-. SPB Academic Publishing bv, Hague, Netherland, pp.1-22. 

  24. Sukopp, H., W. Kunick and C. Schneider(1980) Biotope mapping in the built-up areas of West Berlin. Part II. Field methods and evaluation. Garten und Landschaft 7: 565-569. 

  25. Zisenis, M.(2006) A framework of values and criteria for interdisciplinary evaluations of nature and landscapes. Ph. D. thesis, Technische Univ. Berlin, Berlin, Germany, 453pp.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