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자율신경계는 불수의적 활동 기능을 조절해 주는 신경계통으로, 자율신경계의 활성 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심박 변이도가 이용된다. 그러나 심박 변이도는 환경 변화나 심리 상태의 변화 등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자세와 수면 박탈에 의해서도 심박 변이도가 달라질 수 있다. 특히 전자파 자원자 연구에서는 자각 증상 및 인지 여부에 의한 수면 박탈로 심박 변이도가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세에 따른 수면 박탈 횟수와 심박 변이도를 30분간 6 stage에서 측정하였고, 앉은 자세와 누운 자세에서 측정된 심박 변이도를 비교하여 앉은 자세나 누운 자세에서 심박 변이도를 측정하는 실험에 어떠한 자세가 적합한지 결정하고자 하였다. 심박 변이도 분석은 전력 스펙트럼을 이용한 주파수 영역에서의 LF (low frequency) / HF(high frequency)를 이용하였고, stage 1을 100%로 하여 개인 및 성별에 따른 초기 LF/HF 차이를 상쇄시켜 주었다. LF/HF 증가는 교감 신경의 활성 증가를 나타내고 감소는 교감 신경의 활성 감소를 나타낸다. 교차 분석 결과 수면 박탈은 자세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0.002), LF/HF에 대하여 자세만을 변수로 고려하였다. 앉은 자세에서 수면 박탈 횟수는 모든 stage에서 누운 자세보다 유의하게 적었다 (p<0.05). 자세는 LF/HF에 유의한 영향을 끼쳤으며 (p=0.033), 앉은 자세에서는 stage 1과 비교하여 LF/HF가 stage 4, 5, 6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p<0.05), 누운 자세에서는 stage 1과 비교하여 모든 stage에서 LF/HF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0.05). 따라서 앉은 자세가 누운 자세보다 수면 박탈 횟수가 적고 LF/HF 변화가 작기 때문에 피험자가 깨어 있어야 하는 심박 변이도 측정 실험에 있어서 더 적합한 자세라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utonomic nervous system (ANS) acts as a control system functioning largely below the level of consciousness, and controls visceral functions. The activity of the ANS has been assessed by means of the heart rate variability (HRV). It has been reported that HRV is dependent on sex, age, body mass i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자세가 수면 박탈과 심박 변이 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관찰하고, 앉은 자세와 누운 자세에서 측정된 심박 변이도 결과를 비교하여 피험자가 깨어 있는 상태에서 심박 변이도를 측정하는 실험에 어떠한 자세가 적합한지 결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최종주, "심박변동 신호를 이용한 선천성 뇌성마비 환자의 자율신경기능 평가",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2. H. Cohen, J. Benjamin, A. B. Geva, M. A. Matar, Z. Kaplan, M. Kotler, "Autonomic dysregulation in panic disorder and i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pplication of power spectrum analysis of heart rate variability at rest and in response to recollection of trauma or panic attacks", Psychiatry Res, Vol. 96, no. 1, pp. 1-13, September 2000. 

  3. A. D. Krahn, R. Yee, G. J. Klein, C. Morillo, "Inappropriate sinus tachycardia: evaluation and therapy", Cardiovasc Electrophysiol, Vol. 6, no. 12, pp. 1124-1128, December 1995. 

  4. L. Forslund, I. Bjorkander, M. Ericson, C. Held, T. Kahan, N. Rehnqvist, P. Hjemdahl, "Prognostic implications of autonomic function assessed by analyses of catecholamines and heart rate variability in stable angina pectoris", Heart, Vol. 87, no. 5, pp. 415-422, May 2002. 

  5. I. Antelmi, R. S. de Paula, A. R. Shinzato, C. A. Peres, A. J. Mansur, C. J. Grupi, "Influence of age, gender, body mass index, and functional capacity on heart rate variability in a cohort of subjects without heart disease", Am J Cardiol, Vol. 93, no. 3, pp. 381-385, February 2004. 

  6. M. Buchheit, H. Al Haddad, P. B. Laursen, S. Ahmaidi, "Effect of body posture on postexercise parasympathetic reactivation in men", Exp Physiol, Vol, 94, no. 7, pp. 795-804, July 2009. 

  7. O. Alyan, F. Kacmaz, O. Ozdemir, O. Maden, S. Topaloglu, C. Ozbakir, F. Metin, A. Karadede, E. Ilkay, "Effects of cigarette smoking on heart rate variability and plasma N-terminal pro-B-type natriuretic peptide in healthy subjects: is there the relationship between both markers?", Ann Noninvasive Electrocardiol, Vol. 13, no. 2, pp. 137-177, April 2008. 

  8. N. Sato, S. Miyake, "Cardiovascular reactivity to mental stress: relationship with menstrual cycle and gender", J Physiol Anthropol Appl Human Sci, Vol. 23, no. 6, pp. 215-223, November 2004. 

  9. G. Oftedal, J. Wilen, M. Sandstrom, K. H. Mild, "Symptoms experienced in connection with mobile phone use", Occupational medicine, Vol. 50, no. 4, pp. 237-245, May 2000. 

  10. J. L. A. Carvalho, A. F. Rocha, L. F. Junqueira, J. S. Neto, I. Santos, F. A. O. Nascimento, "A tool for time-frequency analysis of heart rate variability", Proceedings of the 25th Annual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IEEE and Engineering in Medicine and Biology Society, pp. 17-21, Cancun, Mexico, September 2003. 

  11. M. Parazzini, P. Ravazzani, G. Tognola, G. Thuroczy, F. B. Molnar, A. Sacchettini, G. Ardesi, L. T. Mainardi, "Electromagnetic fields produced by GSM cellular phones and heart rate variability", Bioelectromagnetics, Vol. 28, no. 2, pp. 122-129, February 2007. 

  12. S. Akselrod, D. Gordon, F. A. Ubel, D. C. Shannon, A. C. Berger, R. J. Cohen, "Power spectrum analysis of heart rate fluctuation: a quantitative probe of beat-to-beat cardiovascular control", Science, Vol. 213, no. 4504, pp. 220-222, July 1981. 

  13. B. Pomeranz, R. J. Macaulay, M. A. Caudill, I. Kutz, D. Adam, D. Gordon, K. M. Kilborn, A. C. Barger, D. C. Shannon, R. J. Cohen, "Assessment of autonomic function in humans by heart rate spectral analysis", Am. J. Physiol, Vol. 248, no. 1 Pt 2, pp. H151-153, January 1985. 

  14. K. C. Nam, S. W. Kim, S. C. Kim, D. W. Kim, "Effects of RF exposure of teenagers and adults by CDMA cellular phones", Bioelectromagnetics, Vol. 27, no. 7, pp. 509-514, October 2006. 

  15. B. Kuch, H. W. Hense, R. Sinnreich, J. D. Kark, A. von Eckardstein, D. Sapoznikov, H. D. Bolte, "Determinants of short-period heart rate variability in the general population", Cardiology, Vol. 95, no. 3, pp. 131-138, March 2001. 

  16. E. R. Migliaro, P. Contreras, S. Bech, A. Etxagibel, M. Castro, R. Ricca, K. Vicente, "Relative influence of age, resting heart rate and sedentary life style in short-term analysis of heart rate variability", Braz J Med Biol Res, Vol. 34, no. 4, pp. 493-500, April 2007. 

  17. 홍현기, 지효철, 김수찬, 김덕원, "휴대전화 전자파에 의한 자각증상 및 생리학적 변화", 전자공학회논문지, Vol. 45, no. 3, pp. 59-67, 2008년 5월 

  18. K. C. Nam, J. H. Lee, H. W. Noh, E. J. Cha, N. H. Kim, D. W. Kim, "Hypersensitivity to RF fields emitted from CDMA cellular phones: A provocation study", Bioelectromagnetics, Vol.30, pp.641-650, 2009. 

  19. Hjortskov N, Rissen D, Blangsted AK, Fallentin N, Lundberg U, Sogaard K, "The effect of mental stress on heart rate variability and blood pressure during computer work", Eur. J. Appl. Physiol., Vol. 92, no. 1-2, pp. 84-89, February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