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6FDA를 포함한 불소계 폴리이미드와 PMMA가 그래프트된 카본나노튜브 나노복합필름의 전기 전도성 연구
Electrical Conductivity Behavior of 6FDA-based Fluorinated Polyimide/PMMA-g-MWCNT Nanocomposite Film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34 no.2, 2010년, pp.97 - 103  

윤성진 (중앙대학교 화학신소재공학부) ,  임현구 (중앙대학교 화학신소재공학부) ,  김주헌 (중앙대학교 화학신소재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6FDA를 포함한 다양한 폴리이미드/MWCNT의 전도성 복합 필름을 제조하기 위하여 MWCNT 표면에 PMMA를 도입하여 복합필름을 제조하였으며 전기 전도성의 변화를 PMMA-g-MWCNT의 농도 변화에 따라 관찰하였다. 6FDA계 폴리이미드계 복합 필름 내의 MWCNT 분산성은 PMMA-g-MWCNT의 경우 분자간의 상호 인력으로 인하여 분산도가 표면 처리하지 않은 MWCNT에 비하여 매우 높음을 확인하였다. 전기 전도도의 거동은 percolation threshold를 통하여 해석하였으며 그 결과 높은 임계 지수와 낮은 임계 농도를 가지는 6FDA-6FpDA/ PMMA-g-MWCNT 복합체가 DABA(diamino benzoic acid)를 포함한 폴리이미드 복합체에 비하여 높은 분산도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MMA was grafted on MWCNT surface in order to prepare conducting film composed of 6FDAbased polyimide/MWCNT.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6FDA-based polyimide/PMMA-g-MWCNT was investigated as a function of PMMA-g-MWCNT content. Dispersion of MWCNT in 6FDA-based polyimide composite film was bette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 그룹은 이전 연구를 통하여 이러한 6FDA를 포함한 불소계 폴리이미드와 poly (methyl methacrylate) (PMMA) 의 블렌드를 제조하여 분자 단위의 상호작용으로 인한 단일상을 이룰 수 있음을 보고하였다. 14따라서, 전도성을 가질 수 있는 기계적 물성 및 광학적 특성이 우수한 불소계 폴리이미드 필름을 제조하기 위하여 MWCNT 의 표면개질을 통한 PMMA의 도입은 폴리이미드 매트릭스 내에서의 MWCNT의 고분산성 유도가 보다 수월할 것으로 판단된다.
  • 본 연구에서는 6FDA계 폴리이미드에 단일상을 이룰 수 있는 PMMA를 MWCNT 표면에 도입하여 전도성을 가지는 6FDA계 폴리이미드/MWCNT 복합필름을 제조하였다. MWCNT 표면 개질과 MWCNT와 PMMA의 결합여부를 FT-IR, TGA 그리고 SEM을 통하여 분석하였으며, PMMA-g-MWCNT는 PMMA에 존재하는 카르보닐기와 6FDA계 폴리이미드의 불소화 탄소간의 상호결합력으로 인하여 높은 분산도를 나타내었다.
  • 본 연구에서는 6FDA계 폴리이미드와 PMMA간의 높은 상용성을 바탕으로 PMMA로 표면이 개질된 MWCNT 제조하여 이를 6FDA 계의 폴리이미드와 복합화함으로써 고분자 매트릭스 내의 복합화된 MWCNT의 높은 분산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고분자구조에 따르는 충전 입자의 분산성 파악을 위하여 복합체의 전도성을 percolation theory에 따라 해석하여 복합체의 전기 전도성 특징을 파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 Fujiwara, R. Iijima, H. Suematsu, H. Kataura, Y. Maniwa, and S. Suzuki, Physica B, 323, 227 (2002). 

  2. O. Lourie and H. D. Wagne, Compos. Sci. Tech., 59, 975 (1999). 

  3. R. B. Pipes and P. Hubert, Compos. Sci. Tech., 62, 419 (2002). 

  4. A. Allaoui, S. Bai, H. M. Cheng, and J. B. Bai, Compo. Sci. Tech., 62, 1993 (2002). 

  5. J. Sandler, M. S. P. Shaffer, T. Prasse, W. Bauhofer, K. Schulte, and A. H. Windle, Polymer, 40, 5967 (1999). 

  6. H. Bubert, S. Haiber, W. Brandl, G. Marginean, M. Heintze, and V. Bruser, Diamond Relat. Mater., 12, 811 (2003). 

  7. Y. H. Li, J. Wei, X. Zhang, C. Xu, D. Wu, L. Lu, and B. Wei, Chem. Phys. Lett., 365, 95 (2002). 

  8. C. Park, Z. Ounaies, and K. A. Watson, Chem. Pbys. Lett., 364, 303 (2002). 

  9. J. H. Jou and P. T. Huang, Polymer, 33, 1218 (1992). 

  10. T. S. Chung and E. R. Kafchinski, Polymer, 37, 1635 (1996). 

  11. M. Ree, T. J. Shin, S. I. Kim, S. H. Woo, and D. Y. Yoon, Polymer, 39, 2521 (1998). 

  12. M. Zuo and T. Takeichi, Polymer, 40, 5153 (1999). 

  13. H. B. Liu, C. D. Simone, P. S. Katiyar, and D. A. Scola, Int. J. Adh. Adh., 25, 219 (2005). 

  14. H. Im and J. Kim, Mater. Trans., 50, 7, 1730 (2009). 

  15. Q. Xue, Eur. Polym. J., 40, 323 (2004). 

  16. J. Wu and D. S. McLachlan, Phys. Rev. B, 56, 1236 (1997). 

  17. B. Weidenfeller, M. Hofer, and F. Schilling, Comp. Part A, 33, 1041 (2002). 

  18. D. Stauffer and A. Aharony, Introduction to Percolation Theory, Taylor and Francis, London, 1992. 

  19. E. P. Mamunya, V. V. Davidenko, and E. V. Lebedev, Polym. Comp., 16, 318 (1995). 

  20. M. O. Lisunova, Y. P. Mamunya, N. I. Lebovka, and A. V. Melezhyk, Eur. Polym. J., 43, 3, 949 (2007). 

  21. W. Bauhofer and J. Z. Kovacs, Compo. Sci. Tech., 69, 1486 (2009). 

  22. Y. P. Mamunya, V. V. Davydenko, P. Pissis, and E. V. Lebedev, Eur. Polym. J., 38, 1887 (2002). 

  23. F. Lux, J. Mat. Sci., 28, 285 (1993). 

  24. J. H. Kim, W. J. Koros, and D. R. Paul, Polymer, 47, 3094 (2006). 

  25. T. Ramanathan, H. Liu, and L. C. Brinson, J. Polym. Sci. Part B: Polym. Phys., 43, 2269 (2005). 

  26. Z. Ounaies, C. Park, K. E. Wise, E. J. Siochi, and J. S. Harrison, Compos. Sci. Tech., 63, 1637 (2003). 

  27. X. W. Jiang, Y. Z. Bin, and M. Matsuo, Polymer, 46, 7418 (2005). 

  28. J. K. W. Sandler, J. E. Kirk, I. A. Kinloch, M. S. P. Shaffer, and A. H. Windle, Polymer, 44, 5893 (2003). 

  29. B. E. Kilbride, J. N. Coleman, J. Fraysse, P. Fournet, M. Cadek, and A. Drury, J. Appl. Phys., 92, 4024 (2002). 

  30. T. Wang, C.-H. Lei, A. B. Dalton, C. Creton, Y. Lin, K. A. S. Fernando, Y.-P. Sun, M. Manea, J. M. Asua, and J. L. Keddie, Adv. Mat., 18, 2730 (2006). 

  31. H. H. Lee, K. S. Chou, and Z. W. Shih, Int. J. Adh. Adh., 25, 437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