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Nano Clay와 Polydimethylsiloxane을 포함하는 Poly(N-isopropylacrylamide) 공중합체의 합성과 팽윤거동
Synthesis and Swelling Characteristics of Poly(N-isopropylacrylamide) Containing Polydimethylsiloxane and Nano Clay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34 no.2, 2010년, pp.166 - 171  

노휘철 (무룡고등학교) ,  이찬우 (울산대학교 화학과) ,  박상윤 (울산대학교 화학과) ,  윤구식 (울산대학교 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Polydimethylsiloxane(PDMS) macroinitiator를 이용하여 N-isopropylacrylamide(NIPAAm)와 [3- (methacryloylamino)propyl]trimethyl ammonium montmorillonite(MAPTAC-MMT)를 중합하여 주사슬에 PDMS 블록을 가지며 nano clay(montmorillonite)를 가진 PNIPAAm 중합체를 합성하여 FT-IR과 XRD를 이용하여 확인하고 DSC를 이용하여 열적 성질을 조사하였으며 중합체의 온도에 따른 수팽윤도를 구하였다. DSC 측정 결과 poly(NIPAAm-b-PDMS) 속의 PNIPAAm과 PDMS는 분리된 상으로 존재했으며, 소수성인 PDMS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수팽윤도는 감소하였으나 LCST 값은 큰 변화가 없었다. 또한, PNIPAAm의 유리전이온도 ($T_g$)는 분리된 상으로 인해 큰 변화가 없었다. 또한, 나노입자의 첨가는 전반적으로 수팽윤도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중합체의 $T_g$의 값은 감소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oly(N-isopropylacrylamide)(PNIPAAm) containing polydimethylsiloxane(PDMS) block and nano clay was obtained by the polymerization of NIPAAm and [3-(methacryloylamino)propyl]trimethyl ammonium montmorillonite(MAPTAC-MMT) with PDMS-macroinitiator. The polymer was characterized with FT-IR, XRD and DS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MAPTAC와 Na+-montmorillonite를 반응시켜 MAPTAC-MMT 을 합성한 후 이것을 NIPAAm과 일정 비율로 혼합한 후 polydimethylsiloxane (PDMS) macroinitiator로 개시하여 중합체를 얻었다. 이 중합체를 FT-IR로 합성을 확인하였으며, 수팽윤도를 구하였다.
  • PDMS를 친수성 중합체 속에 도입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이번 연구에서는 NIPAAM을 PDMS를 함유한 macro initiator로 개시하여 block 공중합체를 얻었다. Figure 6에 PDMS 함유 PNIPAAm의 FT-IR 스펙트럼을 나타내었다.
  • 공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7&)의 변호k 공중합체의 Tg는 DSC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PDMS 및 clay가 함유된 PNIPAAm의 T르 Table 2에 니타내었다 Table 2를 보면 PDMS 의 경우 PNIPAAm 의 7;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것은 친수성인 PNIPAAm과소수성인 PDMS가서로 다른상으로분리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 그러나, 아직까지 PNIPAAm 속에 실리콘과 nano clay를 함께 함유한 연구에 대한 보고는 없어 이번 연구에서는 NIPAAm 을 poly dimetliylsiloxane (PDMS) macroinitiator를 이용하여 중힙하여 PDMS 를 함유한 PNIPAAm을 합성하여 PDMS가 PNIPAAM의 열적 성질 및 팽윤현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또한 이들 중합체에 nano clay를 첨가흐}여 nano clay가 중합체의 열적 성질 및 팽윤현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 59 g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원심 분리하여 MAPTAC가 삽입된 MMT를 얻었다. 미반응물을 세척하기 위해 증류수를 가한 후 원심분리를 하는 과정을 3번 반복하였으며, 얻은 MAPTAC-MMT를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진공 건조시켜 이를 막자사발로 분쇄하여 사용하였다. 반응식은 Figure 1에 나타내었으며 FTTR과 XRD 측정 결과를 Figure 4와 5에 각각 나타내었다.
  • 0 M NaCl 수舍액 250mL 를 가하고 75 ℃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한 후 원심분리하였다. 분리액에 0.10 M AgNOs 용액을 기하여 염소이온이 검출되지 않을 때까지 증류수로 세척과 원심분리를 반복하였으며 얻은 Na+-MMT를 진공 오븐에서 건조하였다 건조된 Na*-MMT 3.0 g을 증류수 100 mL 에 분산시킨 후 MAPTAC 1.59 g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원심 분리하여 MAPTAC가 삽입된 MMT를 얻었다. 미반응물을 세척하기 위해 증류수를 가한 후 원심분리를 하는 과정을 3번 반복하였으며, 얻은 MAPTAC-MMT를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진공 건조시켜 이를 막자사발로 분쇄하여 사용하였다.
  • 이 중합체를 FT-IR로 합성을 확인하였으며, 수팽윤도를 구하였다. 또한 DSC를 이용하여 열적 성질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팽윤도 측정. 중합체의 팽윤도 측정을 위해 각각의 팽윤 된 시료를 사방 약 :[ cm 정도의 크기로 자르고 120 ℃ 건조기에서 3일 동안 중분히 건조시킨 다음 질량을 즉정한 후 다시 증류수에 담그고 온도가 일정한 항온조에서 팽윤시켜 평형에 도달했을 때 시료들을 꺼내어 깨끗한 흡수지로 표면의 증류수를 제거한 후 신속히 무게를 측정하였다. 측정 온도 범위는 20~40 ℃이고 측정 간격은 1~2 ℃ 로 하였으며, 측정은 40 ℃부터 시작하였다.

대상 데이터

  • S.A)사의 DSC2910을 사용하였다
  • , Japan)는 정제하지 않고 사용하였다. Nano clay로 사용한 Na+-montmorillonite (Na-MMT, Rockwood Inc., U.SA)는 Na 당랑이 92.6 meq/100 g이며 [3-(methacryloylamino) propyl] trimethyl ammonium chloride (MAPTAC, Aldrich Chemical Company, Inc., USA) 와 반응시켜 Na를 치환하여 사용하였다.
  • , USA) 은 메탄올에 서재 결정하여 사용하였다. 가교제인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EDGMA, Fluka Chemical Company, Inc., Switzerland) 와 poly- dimethylsiloxane macroinitiator (평균분자량이 40000정도이며 PDMS segment의 평균분자량이 5000, azo기 함량이 0.2 mmol/g, Wako Chemical Company, Inc., Japan)는 정제하지 않고 사용하였다. Nano clay로 사용한 Na+-montmorillonite (Na-MMT, Rockwood Inc.
  • 시약 및 기기. 실험에 사용한 7VTsopropylacrylarnide(NIPAAm, Aldrich Chemical Company, Inc., USA)는 1 급 시약을 N-헥산에 서재 결정하여 사용하였으며, 개시제인 MV-azobisisobutyronitrile (AIBN, Aldrich Chemical Company, Inc., USA) 은 메탄올에 서재 결정하여 사용하였다. 가교제인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EDGMA, Fluka Chemical Company, Inc.
  • 소수성으로 바꾸어 주는 방법은 Na*-MMT의 Na+ 대신 알킬암모늄염으로 치환시키는 빙법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알킬 암모늄염으로서 MAPTAC# 사용하였다. MAPTAC는 MMT에 소수성을 부여할 뿐 아니라 이중결합을 갖고 있어 MMT를 중합체와 화학결합에 의해 중합체 사슬에 결합시킬 수 있다(Figwe 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H. G. Schild, Prog. Polym. Sci., 17, 163 (1992). 

  2. Y. Hirokawa and T. Tanaka, J. Chem. Phys., 81, 6379 (1984). 

  3. H.-K. Cho, B.-S. Kim, and S.-T. Noh, Polymer(Korea), 25, 186 (2001). 

  4. J. Du, Y. Peng, T. Zhang, X. Ding, and Z. Zheng, J. Appl. Polym. Sci., 83 3002 (2002). 

  5. X.-Z. Zhang, Y.-Y. Yang, F.-J. Wang, and T.-S. Chung, Langmuir, 18 2013 (2002). 

  6. T. Okano, Y. H. Bae, and S. W. Kim, J. Control. Release, 11, 255 (1990). 

  7. Y. S. Park, H. D. Han, S. U. Hong, S. S. Kim, and B. C. Shin, Polymer(Korea), 28, 59 (2004). 

  8. T. Takezawa, Y. Mori, and K. Yoshizato, Biotechnology, 8, 854 (1990). 

  9. S. Takeuchi and I. Omodaka, Makoromol. Chem., 194, 1991 (1993). 

  10. J. H. Holtz and S. A. Asher, Nature, 389, 829 (1997). 

  11. K. H. Kim and Y.-J. Shin, Pollimo, 18, 1048 (1994). 

  12. C. F. Most, J. Biomed. Mater. Res., 6, 3 (1972). 

  13. R. E. Lacey and D. R. Cowar, Controlled Release of Biologically Active Agents, Plenum Press, New York, Chap. 5 (1974). 

  14. C. Lee, K. L. Ulman, and K. R. Larson, Drug Dev. Ind. Pharm., 12, 369 (1986). 

  15. Y. W. Chien, H. J. Lambert, and D. E. Grant, J. Pharm. Sci., 63, 365 (1974). 

  16. S. B. Ross-Murpy and S. Todd, Polymer, 24, 481 (1983). 

  17. B. Ramaraj and G. Radhakrishnan, J. Appl. Polym. Sci., 51, 979 (1994). 

  18. H. Chen and Y.-L. Hsieh, J. Polym. Sci. Part A: Polym. Chem., 42, 3293 (2004). 

  19. J. P. Kim, S. G. Lyu, K. S. Bae, and G. S. Sur, Polymer (Korea), 25, 263 (2001). 

  20. K. Yano, A. Usuki, A. Okada, T. Kurauchi, and O. Kamigaito, J. Polym. Sci. Part A: Polym. Chem., 31, 2493 (1993). 

  21. A. Blumstein, J. Polym. Sci. Part A: Polym. Chem., 3, 2653 (1965). 

  22. F. Bignotti, L. Sartore, M. Penco, G. Ramorino, and I. Peroni, J. Appl. Polym. Sci., 93, 1964 (2004). 

  23. M. Shibayama, J. Suda, T. Karino, S. Okabe, T. Takehisa, and K. Haraguchi, Macromolecules, 37, 9606 (2004). 

  24. L. J. Bellamy, The infra-red spectra of complex molecules, Chapman and Hall, London, p 244 (197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