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개화기부터 광복이전까지 신문, 잡지에 기록된 외래어 복식명칭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aturalized Costume Terminologies Appearing in Korean Newspapers and Magazines, from the Age of Enlightenment to the Time of Independence(1876-1945)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0 no.2, 2010년, pp.20 - 34  

김은정 (가톨릭대학교 의류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intended to suggest the characteristic of dress and its ornament introduced in terms of naturalized words on Korean newspapers and magazines published from the age of enlightenment to the Independence(1876-1945). First of all, naturalized words in that period(1876-1945) can be classif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논의는 우리복식이 서구화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는 기회가 되어 개화기와 광복이전 복식의 특징을 제시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시기에 나타난 외래적 요소를 통해 개화기와 개화기이후 광복이전까지의 복식의 특징을 확인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개화기부터 광복이전까지 신문 잡지에 기록된 외래어 복식명칭을 통해 당시 복식의 특징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많은 양의 개화기부터 광복이전까지 신문 잡지를 대상으로 연구하여 누락된 명칭이 있을 수 있음을 밝힌다.
  • 본 연구의 범위는 병자수호조약을 체결한 1876년 개화기부터 해방이 된 1945년까지로서, 이시기의 복식명칭 중에서 외래어 복식명칭을 중점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 본 장에서는 개화기부터 광복이전까지 외래어 복식명칭의 어원과 쓰임새, 품목과 사용자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개화기부터 광복이전까지 복식의 특징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 1기(1876년에서 1910년)의 잡지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제1기는 신문, 잡지의 태동기로서 계몽적인 성격을 띤 신문, 잡지 자료들이 많았다. 잡지에는 『친목회 회보』, 『대조선독립협회회보』, 『대한자강회월보(大韓自强會月報)』, 『서우학회월보(西友學會月報)』, 『공수학보(共修學報)』, 『대한학회월보(大韓學會月報)』, 『대한협회회보(大韓協會會報)』, 『호남학보(湖南學報)』, 『기호흥학회월보(畿湖興學會月報)』, 『교남교육회잡지(嶠南敎育會雜誌)』, 『자선부인회잡지』, 『소년(少年)』이 있고, 신문에는 『한성순보(1883-84)』, 『한성주보(1886-88)』, 『독립신문(1896-99)』, 『매일신문(1898-9)』, 『뎨국신문(1898-1910)』, 『皇城新聞(1898-1910)』, 『대한일신보(1904-10)』, 『공립신보(1905-9)』, 『만세보(1906-7)』, 『국민신보(1906-1910)』등이 있다. 이시기의 신문과 잡지는 대부분이 한자이거나, 영문으로 되어 있는 경우가 많았고, 한글로 표기된 경우는 많지 않았으며, 또한 복식관련 명칭을 확인하기도 쉽지 않았다.
제 1기(1876년에서 1910년)의 신문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제1기는 신문, 잡지의 태동기로서 계몽적인 성격을 띤 신문, 잡지 자료들이 많았다. 잡지에는 『친목회 회보』, 『대조선독립협회회보』, 『대한자강회월보(大韓自强會月報)』, 『서우학회월보(西友學會月報)』, 『공수학보(共修學報)』, 『대한학회월보(大韓學會月報)』, 『대한협회회보(大韓協會會報)』, 『호남학보(湖南學報)』, 『기호흥학회월보(畿湖興學會月報)』, 『교남교육회잡지(嶠南敎育會雜誌)』, 『자선부인회잡지』, 『소년(少年)』이 있고, 신문에는 『한성순보(1883-84)』, 『한성주보(1886-88)』, 『독립신문(1896-99)』, 『매일신문(1898-9)』, 『뎨국신문(1898-1910)』, 『皇城新聞(1898-1910)』, 『대한일신보(1904-10)』, 『공립신보(1905-9)』, 『만세보(1906-7)』, 『국민신보(1906-1910)』등이 있다. 이시기의 신문과 잡지는 대부분이 한자이거나, 영문으로 되어 있는 경우가 많았고, 한글로 표기된 경우는 많지 않았으며, 또한 복식관련 명칭을 확인하기도 쉽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1896년부터 1945년까지를 신문과 잡지를 한국잡지정보관과 신문박물관 시기의 구분에 근거하여 각각 4시기는 어떻게 분류되는가? 이러한 시기의 구분은 시대적 상황에 따라 변화된 잡지와 신문의 모습을 반영하여 분류한 것으로, 복식명칭의 변화된 모습을 확인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제 1기는 1876년에서 1910년, 제 2기는 1910년에서 1919년, 제 3기는 1919년에서 1937년, 제 4기는 1937년에서 1945년으로 분류하고, 각 시기에서 확인된 외래어9) 복식명칭을 중심으로 고찰해 보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한글학회 (1995). 우리말 큰 사전. 서울: 어문각, p. 151, 

  2. 이정옥 (1973). 개화기 우리라 복식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이송희 (1984). 개화기 복식의 변천과 그 요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장윤정 (1995). 개화기 복식의 변천에 관한 고찰. 경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황지아 (2000). 개화기 한국복식의 변천-조선왕조 국말부터 1945년까지.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영희 (1987). 개화기 양복도입과 수용과정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미자 (1974). 개화기의 문관복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박윤 (1986). 개화기 남자복식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왕지연 (2001). 한국 개화기 남성복에 영향을 미친 일본, 서양복의 남성복.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남윤숙 (1990). 한국 현대 여성 복식제도의 변천과정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유수경 (1990). 한국 여성 양장 변천사. 서울: 일지사. 

  12. 김선영 (1995). 개화기이후 여자한복 변천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김현경 (1995). 개화기의 여성 복식에 관한 연구-1880-1945-.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박영섭 (1994). 개화기 국어 어휘 자료집 1, 2, 3. 서울: 서광학술자료사. 

  15. 한국잡지정보관 사이트. 자료검색일 2009. 3. 6, 자료출처 http://www.kmpa.or.kr 

  16. 신문박물관 사이트. 자료검색일 2009. 2. 25, 자료출처 http://www.presseum.or.kr 

  17. 이기문 감수 (1996). 동아 새국어사전. 서울: 동아출판사, p. 1519 

  18. 박영섭 (1997). 개화기 국어 어휘자료집 5(외래어편). 서울: 박이정, p. 11. 

  19. 신문박물관 사이트. 자료검색일 2009. 2. 25, 자료출처 http://www.presseum.or.kr 

  20. 한국잡지정보관 사이트. 자료검색일 2009. 3. 6, 자료출처 http://www.kmpa.or.kr 

  21. 매일신보(1998). 매일신보 권 4, 경인문화사, 1912년 11월 27일 1면. 

  22. 매일신보(1998). 매일신보 권 4, 1913년 1월 24일 1면. 

  23. 매일신보(1998). 매일신보 권 4, 1912년 12월 21일 1면. 

  24. 경인문화사 (1998). 매일신보 권 10, 1916년 11월 26일, 3면. 

  25. 경인문화사 (1998). 매일신보 권 15, 1919년 10월 12일 1면. 

  26. 경인문화사 (1998). 매일신보 권 11, 1917년 4월 3일 1면. 

  27. 신문박물관 사이트. 자료검색일 2009. 2. 25, 자료출처 http://www.presseum.or.kr 

  28. 배양서 (1976). 한국외래어사전, 서울: 탑출판사, p. 270, 

  29. 조선총독부편 (1920). 조선어사전. 조선총독부, p. 583. 

  30. 한국잡지정보관 사이트. 자료검색일 2009. 3. 6, 자료출처 http://www.kmpa.or.kr 

  31. 경인문화사 (1998). 매일신보 권 17, 1921년 2월 11일 3면. 

  32. 배양서 (1976). 한국외래어사전, 서울: 탑출판사, p. 25. 

  33. 신문박물관. 촬영일시 2009. 8. 20 

  34. 고부자 (2001). 우리생활 100년: 옷. 현암사, p. 165, 재인용. 

  35. 고부자 (2001). 우리생활 100년: 옷. 현암사, p. 104. 

  36. 배양서 (1976). 한국외래어사전, 서울: 탑출판사, p. 87. 

  37. 패션전문자료사전 편찬위원회 (1997). FASHION 전문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p. 352. 

  38. 문세영 (1946). (수정 증보) 조선어사전. 발행자불명(국립중앙도서관 소장), p. 11. 

  39. 국사편찬위원회편 (2007). 광고, 시대를 읽다. 서울: 두산동아, p. 14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