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시대 문화권력과 패션에 대한 연구
A Study of Cultural Power and Fashion in the Modern and Post Modern Eras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0 no.2, 2010년, pp.81 - 98  

고윤정 (코오롱 패션산업 연구원) ,  김민자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ubjects of cultural power of the modernism and post modernism eras, and analyze how the change of power and subjects influenced fashion throughout the history from the microscopic perspective, and thus to explain the social relationship of the fashion phenomenon. The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럽의 제국주의가 낳은 결과는? 유럽의 절대적 권력시대인 모더니즘 사회는 백인 우월주의를 표방하였다. 유럽의 제국주의는 패션에서도 서구적 신체를 이상적인 미로 성립하고, 이상화된 유럽인의 이미지를 양산하고, 이를 타 인종의 신체 위에 각인함으로써, 타 인종들에게 도달할 수 없는 욕망으로 인한 소외감을 낳게 하였다. 따라서 전통의상은 미개인이나 덜 발달된 인종이 착용하는 불편한 패션으로 치부하였으며 이에 자신들의 패션에 자부심을 갖고 근대화의 의미를 넣어 타민족에게 강요하였다.
모더니즘 사회는 어떤 시대인가? 모더니즘 사회는 기본적으로 유럽, 상류, 백인, 남성, 기득권층의 절대권력의 시대이다. 즉 백인 문화가 가치의 기준이 되어 있는 사회, 인종적 차이를 무시하고 모든 사람들에게 하나의 문화가 똑같이 적용 되는 사회는 문화적 차이를 인정하지 않는 획일주의 사회이다.10) 또한 이 시기는 대중매체의 탄생시기로서 대중매체는 개인의 삶의 방식을 이데올로기적으로 통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도구로써 어느 정도의 사회적 통제와 더불어 대중을 현혹하는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모더니즘 사회에서 대중매체는 어떤 수단으로 사용되었는가? 즉 백인 문화가 가치의 기준이 되어 있는 사회, 인종적 차이를 무시하고 모든 사람들에게 하나의 문화가 똑같이 적용 되는 사회는 문화적 차이를 인정하지 않는 획일주의 사회이다.10) 또한 이 시기는 대중매체의 탄생시기로서 대중매체는 개인의 삶의 방식을 이데올로기적으로 통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도구로써 어느 정도의 사회적 통제와 더불어 대중을 현혹하는 수단으로 활용되었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9)

  1. 김민자 (1998a). 20세기 패션에 나타난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연구 I. 복식, 37. 

  2. 김민자 (1998b). 20세기 패션에 나타난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연구 II. 복식, 38. 

  3. 문신애 (2004). 포스트모더니즘 패션에 표현된 패치워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박은경 (2001). 20세기 테크놀로지 패션 이미지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이봉덕 (2002). 21세기 전환기 패션의 미학적 특성.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최호정 (2007). 현대패션에 나타난 글로벌.구조적 하이브리드: 아시아.아프리카.라틴 아메리카 복식 문화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이민선 (2006). 권력구조가 복식의 성적표현에 미치는 영향. 복식, 56(5). 

  8. 이민선 (2003). 권력과 남성패션에 표현된 미적 이미지. 복식문화연구, 11(2). 

  9. 안선경 (2001). 한국적 복식문화의 현대성에 나타난 미국화와 규율권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김민자 (2004). 복식미학 강의 2. 서울: 교문사, p. 212. 

  11. 양운덕 (2007). 미셀 푸코. 파주: 살림출판사, p. 13. 

  12. 양운덕 (2007). 미셀 푸코. 파주: 살림출판사, p. 56. 

  13. 이민선 (2001). 남성 패션에 표현된 다중 문화. 복식, 51(7), p. 22. 

  14. 강명구 (1996). 소비대중문화와 포스트모더니즘. 서울: 민음사, pp. 24-25. 

  15. 최경희 (2007). 19세기 후반 이후 주류패션과 반패션에 표현된 성의 다원화에 관한 맥락적 연구. 복식, 57(5), p. 168. 

  16. 김정선, 김민자 (2001). 빅토리아시대 유행복식과 반유행복식 운동에 관한 여성성과 인체미에 관한 연구(I). 복식, 51(2), p. 172. 

  17. Edward Fuchs (1912). Illustrierte Sittengeschichte Vom Mittelalter Bis Zur Gegenwart: Das Burgerliche Zeitalter 이기웅.박종만 역 (1991). 풍속의 역사 IV. 서울: 까치. 

  18. Edward Fuchs (1912). Illustrierte Sittengeschichte Vom Mittelalter Bis Zur Gegenwart: Das Burgerliche Zeitalter 이기웅.박종만 역 (1991). 풍속의 역사 IV. 서울: 까치, p. 17. 

  19. 이민선 (2006). 권력구조가 복식의 성적표현에 미치는 영향. 복식, 56(5). p. 96. 

  20. 이경희 (2001). 20세기의 모드. 서울: 교학연구사, p. 43. 

  21. J. Anderson Black, Madge Garland (1980). A History of Fashion. 윤길순 역 (1997). 세계 패션사 2. 서울: 도서출판 자작 아카데미, p. 150. 

  22. Elizabeth Wilson Lou Taylor (1989). Through the Looking Glass. London: BBC Books, pp. 17-18. 

  23. 최샛별, 진기남 (2007). 문화사회학적 시각에서 본 패션의 전략적 사용. 복식, 31(9/10), p. 25. 

  24. 성수광 (1997). 의류학개론. 서울: 교문사, p. 46. 

  25. 송영경, 임영자 (2007). 1930년대 할리우드 영화의상의 패션이미지에 관한 연구. 복식, 57(9), p. 114. 

  26. 이정희 (1997). 영화예술에 나타난 의상이 유행에 미친 영향-Edith Head의 영화 의상을 중심으로-. 복식, 31, p. 152. 

  27. 송영경, 임영자 (2007). 1930년대 할리우드 영화의상의 패션이미지에 관한 연구. 복식, 57(9), p. 118. 

  28. 최경희 (2007). 19세기 후반 이후 주류패션과 반패션에 표현된 성의 다원화에 관한 맥락적 연구. 복식, 57(5), p. 170. 

  29. 김정선, 김민자 (2001). 빅토리아시대 유행복식과 반유행복식 운동에 관한 여성성과 인체미에 관한 연구(I). 복식, 51(2), p. 173. 

  30. 이민선 (2003). 권력과 남성패션에 표현된 미적 이미지. 복식문화연구, 11(2). p. 183. 

  31. 송수원 (2008). 영국.미국 패션의 문화 정체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03. 

  32. 송영경, 임영자 (2007). 1930년대 할리우드 영화의상의 패션이미지에 관한 연구. 복식, 57(9), p. 113. 

  33. 송영경, 임영자 (2007). 1930년대 할리우드 영화의상의 패션이미지에 관한 연구. 복식, 57(9), p. 97. 

  34. J. M. Robert (1998). The New Global Era. 유수아 역 (2007). 히스토리카 세계사 10, pp. 67-86. 

  35. 송수원 (2008). 영국.미국 패션의 문화 정체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96. 

  36. 김창남 (1995). 문화와 문화 실천. 서울: 한울 아카데미, p. 57. 

  37. 김창남 (1995). 문화와 문화 실천. 서울: 한울 아카데미, p. 176. 

  38. 위키백과, http://ko.wikipedia.org/wiki/ 

  39. 정미진, 정흥숙, 김선화 (2002). 락음악의 발전에 따른 스트리트 스타일의 발생과 변천. 복식, 52(5), p. 178. 

  40. Rouse. E.(1997). Modern society and Fashion. 이재한 역 (2003). 현대사회와 패션: 코르셋에서 펑크까지. 서울: 시지각, pp. 332-371. 

  41. http://blog.naver.com/damdorang? RedirectLog&lo gNo150045140090, 자료검색일: 2009.02.10 

  42. http://blog.naver.com/rose3413? RedirectLog&logNo10043554700, 자료검색일: 2009.05.17 

  43. 엄소희 (1995). 청소년 하위문화에 나타난 대중음악과 복식에 관한 연구-197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복식, 26, p. 104. 

  44. http://imagebingo.naver.com/album/image_view.htm?uidhan0062&bno 5410&nid1430, 자료검색일: 2008.12.23 

  45. Mablin Jones and Ellen Colon-Lugo (1987). Getting It On. NY: Abbeville, p. 139. 

  46. 정흥숙 (2001). 서양복식문화사. 서울: 교문사, p. 395, 396. 

  47. 노정심 (1994). Avant-garde 패션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3. 

  48. http://blog.naver.com/boogie724?RedirectLog&logNo40033415774 

  49. 이민선 (2001). 남성 패션에 표현된 다중 문화. 복식, 51(7), p. 30. 

  50. 금기숙, 김민자, 김영인, 김윤희, 박명희, 박민여, 배천범, 신혜순, 유혜영, 최해주. (2002). FASHION 현대패션 100년. 서울: 교문사, p. 298. 

  51. 박은주, 은영자 (1999). 1990년대 패션에 나타난 오리엔탈리즘에 관한 연구. 복식, 43, p. 260. 

  52. 박은주, 은영자 (1999). 1990년대 패션에 나타난 오리엔탈리즘에 관한 연구. 복식, 43, p. 265. 

  53. 박은주, 은영자 (1999). 1990년대 패션에 나타난 오리엔탈리즘에 관한 연구. 복식, 43, p. 115. 

  54. J.M. Robert (1998). The European Empires. 유수아 역 (2007). 히스토리카 세계사 8, p. 119. 

  55. 최호정, 하지수 (2005). 우먼파워로 나타나는 최근 패션 스타일에 관한 연구. 복식, 55(2), p. 137. 

  56. 이민선 (2003). 권력과 남성패션에 표현된 미적 이미지. 복식문화연구, 11(2). p. 187. 

  57. 신상옥 (2006). 서양복식사. 서울: 대덕문화사, p. 334. 

  58. 최호정, 하지수 (2005). 우먼파워로 나타나는 최근 패션 스타일에 관한 연구. 복식, 55(2), p. 133. 

  59. 김순자 (2002). 펑크 스타일의 상징적 의미와 영향에 관한 연구. 복식, 52(6), p. 140. 

  60. 엄소희 (1995). 청소년 하위문화에 나타난 대중음악과 복식에 관한 연구-197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복식, 26, p. 101. 

  61. 이경희 (2001). 20세기의 모드. 서울: 교학연구사, p. 136, 139. 

  62. 이경희 (2001). 20세기의 모드. 서울: 교학연구사, p. 139. 

  63. Madge Garland (1970). The Changing form of fashion. New York: Praeger Inc., p. 127. 

  64. 정성혜 (1990). 일본 패션이 현대 패션에 미친 영향 -198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복식, 25, p. 220. 

  65. 이정원, 금기숙 (2008). 1960년대 록 스타 패션의 도상학적 해석. 복식, 58(6), p. 70. 

  66. http://www.hancutgallery.com/Common/PhotoViewR.aspx?photoID2060436, 자료검색일: 2009.04.15 

  67. http://www.slrclup.net/TwoBox/PageSearchPhoto.aspx?photoID1079529, 자료검색일: 2008.11.20 

  68. 정은숙 (2004). 1950-1960년대 남성 영화배우들의 티셔츠 이미지 연구. 복식, 54(6), p. 92. 

  69. http://www.blog,naver.com/lordkill847?RedirectLog&logNo40054807085, 자료검색일: 2009. 3. 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