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행동의 개선을 위하여 수업행동을 수업 방해 행동과 수업 참여 행동으로 구분하고, 자기점검기법이 대상 아동들의 수업 방해 행동과 수업 참여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자기점검기법이 아동의 수업 방해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자기점검기법이 아동의 수업 참여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 문제에 따른 연구 가설은 1. 자기점검기법은 아동의 수업방해행동을 감소시킬 것이다. 2. 자기점검 기법은 아동의 수업참여행동을 증가시킬 것이다로 세웠다. 연구 대상은 전라북도 J시에 소재하는 A초등학교 4학년 $\circledcirc$반 일반 학급 아동 12명으로 이는 기초선 기간의 행동측정 결과 수업 방해 행동 비율이 높은 8명과 수업 참여 행동 비율이 낮은 8명을 선정하였고, 양 쪽 그룹 모두에 속하는 아동이 4명이다. 이들의 사전 행동 관찰을 거쳐 개별적으로 수업 방해 행동 및 수업 참여 행동의 목표 행동을 설정하도록 하고, 기초선 1 기간 동안 각 행동의 빈도를 연구자가 두 명의 관찰자와 함께 측정하였다. 이후 중재 1 기간 동안 자기점검기법이 적용되었고, 아동 행동변화의 효과가 자기점검기법임을 밝히기 위하여 기초선 2 기간을 가졌다. 이후 중재 2 기간 동안 다시 자기점검기법이 실시되었으며, 10일 후 유지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후 점검을 실시하였다. 개별 아동의 행동 발생 빈도를 변화 그래프를 이용하여 나타냈으며, 양적 결과의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해 대상 아동들의 사후 소감문을 분석하였고, 연구자의 관찰내용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자기점검기법은 아동의 수업 방해 행동의 감소와 변화된 행동의 유지에 긍정적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점검기법은 아동의 수업 참여 행동의 증가와 변화된 행동의 유지에 긍정적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행동의 개선을 위하여 수업행동을 수업 방해 행동과 수업 참여 행동으로 구분하고, 자기점검기법이 대상 아동들의 수업 방해 행동과 수업 참여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자기점검기법이 아동의 수업 방해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자기점검기법이 아동의 수업 참여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 문제에 따른 연구 가설은 1. 자기점검기법은 아동의 수업방해행동을 감소시킬 것이다. 2. 자기점검 기법은 아동의 수업참여행동을 증가시킬 것이다로 세웠다. 연구 대상은 전라북도 J시에 소재하는 A초등학교 4학년 $\circledcirc$반 일반 학급 아동 12명으로 이는 기초선 기간의 행동측정 결과 수업 방해 행동 비율이 높은 8명과 수업 참여 행동 비율이 낮은 8명을 선정하였고, 양 쪽 그룹 모두에 속하는 아동이 4명이다. 이들의 사전 행동 관찰을 거쳐 개별적으로 수업 방해 행동 및 수업 참여 행동의 목표 행동을 설정하도록 하고, 기초선 1 기간 동안 각 행동의 빈도를 연구자가 두 명의 관찰자와 함께 측정하였다. 이후 중재 1 기간 동안 자기점검기법이 적용되었고, 아동 행동변화의 효과가 자기점검기법임을 밝히기 위하여 기초선 2 기간을 가졌다. 이후 중재 2 기간 동안 다시 자기점검기법이 실시되었으며, 10일 후 유지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후 점검을 실시하였다. 개별 아동의 행동 발생 빈도를 변화 그래프를 이용하여 나타냈으며, 양적 결과의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해 대상 아동들의 사후 소감문을 분석하였고, 연구자의 관찰내용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자기점검기법은 아동의 수업 방해 행동의 감소와 변화된 행동의 유지에 긍정적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점검기법은 아동의 수업 참여 행동의 증가와 변화된 행동의 유지에 긍정적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ivide the classroom behaviors into the obstacle behaviors in the classroom and the participation behaviors in the classroom for improvement of classroom behaviors upon the subjects of 4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and to find out what effects the self-monitori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ivide the classroom behaviors into the obstacle behaviors in the classroom and the participation behaviors in the classroom for improvement of classroom behaviors upon the subjects of 4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and to find out what effects the self-monitoring program influences onto classroom obstacle behaviors and classroom participation behaviors of the subjective children. Study problems established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of study are to find out: first, what effects the self-monitoring program influences classroom obstacle behaviors of children, and second, what effects the self-monitoring program influences classroom participation behaviors of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2 children of a normal classroom of 4th grade of A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J city of Jeollabuk-do, out of which 8 children, who showed high proportion in the classroom obstacle behaviors, and 8 children, who showed low proportion in the classroom participation behaviors were selected, and 4 children were those who belonged to both groups resultantly in accordance with the behavior scales measured during the baseline period. To summarize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first, the self-monitoring program turned out to influence positive effects upon reduction in the classroom obstacle behaviors of children and retention of their changed behaviors; second, the self-monitoring program turned out to influence positive effects upon increase in the classroom participation behaviors of children and retention of their changed behavior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ivide the classroom behaviors into the obstacle behaviors in the classroom and the participation behaviors in the classroom for improvement of classroom behaviors upon the subjects of 4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and to find out what effects the self-monitoring program influences onto classroom obstacle behaviors and classroom participation behaviors of the subjective children. Study problems established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of study are to find out: first, what effects the self-monitoring program influences classroom obstacle behaviors of children, and second, what effects the self-monitoring program influences classroom participation behaviors of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2 children of a normal classroom of 4th grade of A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J city of Jeollabuk-do, out of which 8 children, who showed high proportion in the classroom obstacle behaviors, and 8 children, who showed low proportion in the classroom participation behaviors were selected, and 4 children were those who belonged to both groups resultantly in accordance with the behavior scales measured during the baseline period. To summarize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first, the self-monitoring program turned out to influence positive effects upon reduction in the classroom obstacle behaviors of children and retention of their changed behaviors; second, the self-monitoring program turned out to influence positive effects upon increase in the classroom participation behaviors of children and retention of their changed behaviors.
Keywor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