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형산강 수계의 수질 특성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in Hyeongsan River Watershed 원문보기

한국하천호수학회지= Korean journal of limnology, v.43 no.1, 2010년, pp.150 - 160  

김유표 (충남대학교 생명과학과) ,  안광국 (충남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형산강 수계의 7개의 하천 지점에서 이 화학적 수질의 시 공간적 변이 파악을 위하여 1999년~2008년까지 측정된 환경부 수질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질 변수는 수온, 용존산소량(DO), 생화학적 산소요구량(BOD),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총인(TP), 총질소(TN), 부유물(SS) 및 전기전도도(EC)의 8개 항목을 이용하였으며, 수질 특성은 연별, 계절별, 조사지점별로 변이를 보였다. 이온 희석현상의 지표로 이용된 EC는 계절 분석에서 장마기에 크게 감소하는 현상을 보였고, 계절별 영양염류 (TN, TP)는 전 조사지점을 대상으로 평균했을 때 TN은 갈수기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TP는 도심지역을 관통하는 중류부에서 장마기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BOD와 COD는 강우와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계절별 SS 농도는 장마기에 크게 증가하였으며, 본류의 SS는 하류로 갈수록 증가하였다. 형산강 상 중류의 BOD, COD, TP, TN, SS 및 EC는 도심지역을 관통하는 H3 지점을 지나면서 모든 변수에서 크게 증가하여 수질 악화가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경주시 및 포항시의 도심에서 흘러나오는 지천의 영향이 하류의 수질 악화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효율적인 수질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long-term temporal trends of water chemistry and spatial heterogeneity for 7 sampling sites of the Hyeongsan River watershed using water quality dataset during 1999 to 2008 (obtained from the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The water quality, based on eig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2a). 강우량이 가장 많았던 해 (2003년)와 가뭄의 해(2008년)를 10년간의 평균 강우량과 비교. 해석하여보았을 때, 강우는 1~3월, 10~ 12월에는 각각 다른 해와 비슷한 강우량을 기록하였으나, 4~9월에는 다른 해와 확연한 차이를 보였다(Fig.
  • 화학적 수질의 시 . 공간적 변이 파악을 위하여 1999년~ 2008년까지 측정된 환경부 수질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질변수는 수온, 용존산소량 (DO), 생화학적 산소요구량 (BOD), 화학적 산소요구량 (COD), 총인 (TP), 총질소 (TN), 부유물 (SS) 및 전기전도도(EC)의 8개 항목을 이용하였으며, 수질특성은 연별, 계절별, 조사지점별로 변이를 보였다.
  • 자료 분석에 이용된 수질변수는 용존산소량 (Dissolved oxygen, DO), 생화학적 산소요구량(Biochemical oxygen demand, BOD), 화학적 산소요구량 (Chemical oxygen demand, COD), 총질소 (Total nitrogen, TN), 총인 (Total phosphorous, TP), 부유물 (Suspended solid, SS), 전기전도도 (Electric conductivity, EC) 이며 각 수치 값의 시. 공간적 변화양상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형산강 수계를 중심으로 하여, 형산강 수계의 7개 지점을 선정하여 수질모니터링을 통하여 몬순강우를 고려한 장마전 (Premonsoon), (During monsoon), 그리고 장마후 (Postmonsoon)로 구분하여 주요 수질 변수에 대한 수질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형산강 상 .
  • 공간적 변이 파악을 위하여 1999년~ 2008년까지 측정된 환경부 수질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질변수는 수온, 용존산소량 (DO), 생화학적 산소요구량 (BOD), 화학적 산소요구량 (COD), 총인 (TP), 총질소 (TN), 부유물 (SS) 및 전기전도도(EC)의 8개 항목을 이용하였으며, 수질특성은 연별, 계절별, 조사지점별로 변이를 보였다. 이온 희석현상의 지표로 이용된 EC는 계절 분석에서 장마기에크게 감소하는 현상을 보였고, 계절별 영양염류(TN, TP) 는 전 조사지점을 대상으로 평균했을 때 TNe 갈수기에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TP는 도심지 역을 관통하는 중류부에서 장마기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 kr)를 이용하였다. 자료 분석에 이용된 수질변수는 용존산소량 (Dissolved oxygen, DO), 생화학적 산소요구량(Biochemical oxygen demand, BOD), 화학적 산소요구량 (Chemical oxygen demand, COD), 총질소 (Total nitrogen, TN), 총인 (Total phosphorous, TP), 부유물 (Suspended solid, SS), 전기전도도 (Electric conductivity, EC) 이며 각 수치 값의 시. 공간적 변화양상을 분석하였다.
  • 또한, 형산강 상 . 하류간의 수질에 대한 공간적 변화 및 장기간의 연별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런 결과는 형산강 수계의 오염실태를 파악하고 수질개선을 위한 대책 마련시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 형산강 유역의 강수량은 1999년에서 2008년까지 기상청의 데이터를 획득하여 분석하였으며, 강우의 하절기 특성을 감안하여 수질 자료는 장마전 (Premonsoon, PRE: 5~6월), 장마중①uring monsoon, MON: 7~8월), 장마후(Postmonscxni, POS: 9~ 10월)로 대별하여 분석하였다.

대상 데이터

  • 본 연구 대상 수계인 형산강은 동해로 흘러가는 하천으로 경북 경주시와 포항시를 관통하는 하천으로 지역주민에게 휴식처 및 급수원의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들어 생활하수 및 산업폐수의 증가, 상류부 농경지로부터의 농약 잔유물의 유입으로 형산강의 수질이 악화되고 있다. 형산강 하구는 생 활하수, 산업폐수, 오염원의 장기적 인축적으로 인하여 DO값이 낮게 나타난 것으로 보고되고있다(전 등, 1999).
  • 본 연구는 형산강 수계의 7개의 하천 지점에서 이 . 화학적 수질의 시 .
  • 본 연구대상지인 형산강은 울산 울주군 두서면에서 발원하여 경주시와 안강읍을 거쳐 포항의 영일만으로 흐르는 강으로 유역 면적 l, 132km2, 유로 연장은 63km이다. 본류에 유입되는 지천은 안강읍 북서쪽에서 유입되는 기계천, 포항시 남쪽에서 유입되는 칠성천 등 경주와 포항 도심을 관통하여 흐르는 크고 작은 15여개의 지류가 합류된다.
  • 조사지점은 환경부 수질측정망 지점인 형산강 수계의 7 개 지점을 선정하였으며, 세부지점은 다음과 같다(Fig. 1).
  • 형산강 수계의 이 . 화학적 수질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1999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7개 지점(HI~ H7) 에서 측정된 환경부의 월별자료(www, me.go.kr)를 이용하였다. 자료 분석에 이용된 수질변수는 용존산소량 (Dissolved oxygen, DO), 생화학적 산소요구량(Biochemical oxygen demand, BOD), 화학적 산소요구량 (Chemical oxygen demand, COD), 총질소 (Total nitrogen, TN), 총인 (Total phosphorous, TP), 부유물 (Suspended solid, SS), 전기전도도 (Electric conductivity, EC) 이며 각 수치 값의 시.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강선아, 안광국. 2006. 영산강 수계의 이화학적 수질에 관한 시공간적 변이 분석. 한국육수학회지 39(1): 73-84. 

  2. 강태호. 1998. 도시하천에서의 강우와 유출 및 수질 예측기법개발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토목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2-16 

  3. 김범철, 김윤희. 2004. 아시아 문순지역의 대형댐(소양호)에서의 인 순환과 2차원모델의 적용. 한국육수학회지 37(2): 205-212. 

  4. 박성배, 이상균, 장광현, 정광석, 주기재. 2002. 장마기 강우가 낙동강 하류(물금) 수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육수학회지 35(3): 160-170. 

  5. 신재기, 황순진, 조경제. 2003. 평택호와 주요 하천의 수환경 및 오염도 평가. 한국육수학회지 36(1): 38-47. 

  6. 안광국, 신일철. 2005. 산간 계류성 하천의 계절적 수질변동에 대한 몬순 강우의 영향. 한국육수학회지 38(1): 54-62. 

  7. 안광국, 양우미. 2007. 금강 수계의 수질 특성. 한국육수학회지 40(1): 110-120. 

  8. 안광국, 정승현, 최신석. 2001. 생물보전지수(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및 서식지평가지수(Qualitative Habitat Evaluation Index)를 이용한 평창강의 수환경 평가. 한국육수학회지 34(3): 153-165. 

  9. 안광국. 2001. 대형 인공호에서 양이온, 음이온 및 전기전도도의 연변화에 대한 수리수문학적 중요성. 한국육수학회지 34(1): 1-8. 

  10. 오강호, 고영구. 2003. 광주광역시 하천수의 수질 및 오염. 한국환경과학학회지 12(3): 287-297. 

  11. 옥치상, 이주상, 박홍석, 백병천, 이병인. 1999. 수질 및 수자원관리. 도서출판 대학서림. p. 606. 

  12. 윤한삼, 이인철, 류청호. 2003. 영일만 유입오염부하량과 수질의 시.공간적 변동특성(I) -하천유량과 유입오염부하량의 계절변동-. 한국해양공학회지 17(4): 23-30. 

  13. 이혜원, 안광국, 박석순. 2002. 소양호 표층수 수질의 연별 추이 및 상.하류 이질성 분석. 한국육수학회지 35(1): 36-44. 

  14. 전재인, 이동석, 이동철. 1999. 형산강 하구의 Ecosystem 연구(2) -이화학적 수질 특성-. 한국환경관리학회지 5(2): 219-227. 

  15. An, K.G. and D.S. Kim. 2003. Response of lake water quality to nutrient inputs from various stream various streams and in-lake fishfarms. Water, Air and Soil Pollution 149(1-4): 27-49. 

  16. An, K.G. and J.R. Jones. 2000. Temporal and spatial patterns in ionic salinity and suspended solids in a reservoir influenced by the Asian monsoon. Hydrobiologia 436: 179- 189. 

  17. Berner, E.K. and R.A. Berner. 1987. The global water cycle, Prentice-Hall, Englwood Cliffs, New York, p. 397. 

  18. Moon, Y.H., J.M. Park, J.G. Son and K.H. Kim. 2001. Change in water quality on upper stream of Mankyeong River. Kor. J. Environ. Agric. 20(3): 252-257. 

  19. Parks, S.J. and L.A. Baker. 1997. Sources and transport of organic carbon in an Arizona River-Reservoir System. Water Research 31: 1751-1759. 

  20. Winston, W.E. and R.E. Criss. 2002. Geochemical variations during flash flooding. Meramec River basin, May 2000. Journal Hydrology 265: 149-16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