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산 낙엽성 참나무류인 신갈나무, 상수리나무, 떡갈나무, 졸참나무, 갈참나무 및 굴참나무 수피의 추출성분의 구조를 규명하고 수종 상호간 성분의 특성 및 연관성 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신갈나무에서 화합물 2(ellagic acid, 0.03 g), 4 ((+)-catechin, 4.59 g), 6 (taxifolin, 3.35 g) 및 7 (glucodistylin, 20.52 g)을 상수리 나무에서는 화합물 1 (gallic acid, 0.18 g), 4 ((+)-catechin, 8.52 g), 5 ((+)-gallocatechin, 0.09 g), 6 (taxifolin, 0.54 g) 및 7 (glucodistylin, 3.28 g)을 떡갈나무에서는 화합물 1 (gallic acid, 0.38 g), 2 (ellagic acid, 0.11 g) 4 ((+)-catechin, 2.01 g), 5 ((+)-gallocatechin, 0.12 g) 및 7 (glucodistylin, 0.39 g)을 갈참나무에서는 2 (ellagic acid, 1.51 g), 4 (+)-catechin, 21.91 g) 및 7 (glucodistylin, 3.91 g)을 졸참나무에서는 2 (ellagic acid, 0.84 g), 4 ((+)-catechin, 0.82 g), 6 (taxifolin, 4.02 g) 및 7 (glucodistylin, 21.50 g)을 굴참나무에서는 1 (gallic acid, 0.24 g), 3 (caffeic acid, 0.05 g), 4 ((+)-catechin, 0.32 g) 및 7 (glucodistylin, 0.65 g)을 분리하여 구조를 규명하였다. 국내산 참나무속 6 수종의 수피에서는 화합물 4 ((+)-catechin)와 7 (glucodistylin) 이 공통적으로 분리되었으며 두 성분 중 함유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glucodistylin은 참나무류 수피의 지표성분 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emotaxonomical correlation and chemical constituents of domestic Quercus spp. barks. The barks of Q. mongolica, Q. aliena, Q. serrata, Q. acutissima, Q. dentata, and Q. variabilis were collected in the experimental forest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에 자생하고 있는 주요 낙엽성 참나무류 수피의 추출성분의 상호 연관성 및 특징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 (+)-catechin (4)와 glucodistylin (7)은 6 수종 모두에서 분리되었다. 각 수종별 함유량을 분석한 결과 화합물 glucodistylin (7)은 국내 낙엽성 참나무류 수피부의 대표적인 지표물질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본 논문의 저자(김과 배, 2006)들은 참나무 6 수종의 잎에서 gallic acid를 분리하였고, 이들이 참나무류 잎의 주요 지표성분임을 보고한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낙엽성 참나무속 6 수종의 수피를 대상으로 추출성분의 구조를 규명하고 각 수종별 추출성분의 특성 및 수종 간 성분의 상호 연관성을 조사하여 지표성분을 찾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대부터 수목의 추출성분은 무엇에 이용되어 왔는가? 수목의 추출성분은 고대로부터 향료, 염료, 농약, 도료, 의약품 및 공업원료 등으로 이용해 온 만큼 우리 생활의 여러 면에서 밀접한 관계를 맺어온 유용한 자원 중의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목재내의 추출성분의 양은 대개 미량이나, 특수재에서는 30%에 이르는 것도 있으며 어떤 한 수종이 모든 종류의 추출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추출성분의 함유량과 성분 조성은 수종에 따라서 현저한 차이가 있다.
상수리나무 잎의 외형적 특징은? 상수리나무는 전국의 80 m 이하의 산기슭 양지에 자생하며 잎은 타원형으로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들이 있으며 뒷면에는 털이 있다. 민간에서는 뿌리껍질을 종기에, 열매는 대하증, 지사제로 사용되어 왔다(Shin, 1993).
굴참나무 열매의 모양은? 굴참나무는 산기슭이나 산허리의 양지에서 잘 자라며, 수피는 코르크질이 두껍게 발달하며 세로로 깊게 갈라진다. 열매는 견과로 모양은 타원형이다. 재질은 상수리나무와 비슷한데 약간 단단하고 거칠어서 갈라지기 쉽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김민영. 1999. 떡갈나무 추출물의 생물활성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김민영. 2000. 떡갈나무 추출물의 항균활성 및 항산화 활성. 목재공학 28(3): 42-51. 

  3. 김석중, 윤광섭, 박희성. 2005. 송화분, 참나무 및 백합화분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 한국식품과학회지 37(5):833-837. 

  4. 김성문, 김용호, 김진석, 안문섭, 허수정, 허장현, 한대성. 2000. 신갈나무(Quercus mongolica Fisch) 목초액의 제초활성. 한국농약과학회지 4(3): 82-88. 

  5. 김진규, 배영수. 2006. 국내산 참나무속 수종 잎의 추출 성분. 목재공학 34(6): 61-71. 

  6. 김태욱. 한국의 수목. 1996. 교학사 pp. 64-80. 

  7. 문관심. 1999. 약초의 성분과 이용. 일월서각 pp. 172-175. 

  8. 손석용, 권기철, 정택상. 2002. 경기도 광주시 태화산 신갈나무림의 생산구조와 생산성. 한국임산에너지학회지 21(1): 76-82. 

  9. 송정호. 2002. RA PD와 형태적 특성에 의한 굴참나무 천연집단의 유전변이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pp. 1-4. 

  10. 신두호, 조정순. 1991. 상수리(橡實)의 각종 용매 추출물이 linoleic acid의 항산화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화학회지 8(1): 79-83. 

  11. 우원식. 1999. 천연물화학 연구법. 서울대학교출판부 pp. 151-155. 

  12. 이학주. 2003. 국내산 수목의 추출성분. 산림. 7월호 pp.78-80. 

  13. 이학주, 이성숙, 최돈하, 加藤厚. 2001. 수목추출물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VI). - 산벚나무 심재의 Flavonoids- 목재공학 29(2): 133-139. 

  14. 임업연구원. 1990. 참나무 資源의 綜合利用 開發에 關한 硏究(III). 과학기술처 특정개발사업 연구 보고서. 

  15. 임주훈. 1995. 참나무와 우리문화. 숲과문화 연구회 pp.224-232. 

  16. 윤재원. 2003. 갈참나무 추출물의 항균활성 물질탐색 및 분리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함연호. 2000. 사시나무속과 버드나무속 주요 수종 수피의 추출성분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8. Agrawal, P. K., R. S. Thakur, and M. C. Bansal. 1989. Flavonoids. In: Carbon-13 NMR of flavonoids. ed. P. K. Agrawal. Elsevier. New York. pp. 116-122. 

  19. Andray, C. and F. Winternitz. 1982. Structures of verbascoside and orobanchoside, caffeic acid sugar esters from Orobanche rapum-genistate. Phytochemistry 21(5): 1123-1127. 

  20. Beecher, C. W. W., N. R. Farnsworth, and C. Gyllenhaal. 1989. Pharmacologically active secondary metabolites from Wood. In: Natural Products of Woody Plants II. ed. J. W. Rowe. Springer-Verlag. Berlin. pp. 1059-1164. 

  21. Do Khac, D., S. Tran-Van, A. M. Campos, J.-Y. Lallemand, and M. Fetizon. 1990. Ellagic compounds from Diplopanax stachyanthus. Phytochemistry 29(1): 251-256. 

  22. Foo, L. Y., Y. Lu, W. C. McNabb, G. Waghor, and J. Ulyatt. 1997. Proanthocyanidins from Lotus Pedunculatus, Phytochemistry 45(8): 1689-1696. 

  23. Harborne, J. B. and T. J. Mabry. 1982. The Flavonoids: Advanced in Research. Chapman and Hall. pp. 24-51. 

  24. Miller H. A. and S. H. Lamb. 1985. Oak of north America. Nature-graph Publishers. Inc. pp. 28-129. 

  25. Park, W. Y., S. C. Lee, B. T. Ahn, S. H. Lee, J. S. Ro, and K. S. Lee. 1993. Phenolic compounds from Acalypha australis L. Kor. J. Pharmacogn. 24: 20-25. 

  26. Shin, D. H., J. S. Cho, and S. T. Jung. 1993. Study on antioxidant effects of acorn (Quercus acutissima Carruth) components. Korean J. Oil Chemists Society. 10(1): 93-101. 

  27. Silverstein, R. M. and F. X. Webster. 1998. Spectrometric identification of organic compounds (Sixth Edition). John Wiley & Sons. Inc. pp. 203-21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