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상파 DMB 자동 재난경보방송 표준을 위한 재난 메시지 및 메시지 분할 방법 설계
Design of Alert Message and Message Segmentation For T-DMB Automatic Emergency Alert Service Standard 원문보기

방송공학회논문지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v.15 no.2, 2010년, pp.304 - 312  

최성종 (서울시립대학교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T-DMB 자동재난경보방송표준을 위한 재난 메시지 및 재난 메시지 분할 방법 설계에 대하여 기술한다. 재난 메시지는 T-DMB 수신기에 전달되는 메시지로서 재난경보를 위한 핵심적인 내용으로 구성한다. 이러한 내용 중 정형화가 가능한 내용은 코드화된 필드로 표현하고 비정형 내용은 단문으로 표현한다. 논문에서는 각 필드 설계를 위한 분석과 각 필드의 의미와 문법에 대해 기술한다. 다음으로 재난 메시지의 분할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논문에서 정의한 재난 메시지의 크기는 대부분 FIG 최대 크기를 넘어 분할 계층이 필요하다. 하지만 현 지상파 DMB 송수신 정합 표준은 FIDC에서의 메시지 분할 방법을 정의하고 있지 않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FIG type 0 메시지 분할 방법과 패킷모드 분할 전송 방법에 비해 잡음이 많은 환경에서도 유연하고 신속한 수신을 보장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 앞으로 시범 서비스를 통하여 추가적으로 개선해야 할 보완점을 파악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presents the design of alert message and message segmentation method for the Terrestrial DMB Automatic Emergency Alert Service Standard. This paper begins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standard and some background. The alert message contains the essential information of the alert. Structur...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재난방송실무반은 누구로 구성되어 있는가? 2005년부터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DMB 프로젝트 그룹(PG801)내의 재난방송실무반에서 2년에 걸쳐 개발되어 2006년 12월 27일 정보통신단체표준으로 공표되었다. 이 실무반은 재난관련 정부기관, 방송국, 기업 및 학교의 전문가로 구성되었다. 이후 두 차례 개정을 거쳐 현재 표준이 되어 있다.
다른 방송통신 매체와 비교하여 DMB가 재난경보방송 매체로 가지고 있는 매우 우수한 특징들은 ? DMB는 다른 방송통신 매체와 비교하여 재난경보방송 매체로 매우 우수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DMB는 이동형, 휴대용 수신기를 사용하지만, 지상파DTV는 이동수신이 불가능하고 예비전원을 갖추고 있지 않다. 따라서 지상파 DTV는 재난경보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영역이 매우 좁고 정전 시 동작이 불가능하다. 하지만, DMB 수신기는 이동형이기 때문에 달리는 지하철이나 자동차에서도 수신이 가능하여 수신 영역이 매우 넓다. 또한 휴대전원이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정전 시에도 방송 수신이 가능하다. 이러한 장점을 활용하기 위해 DMB를 사용한 재난경보방송 서비스에 대해 많은 관심이 있었다.
T-DMB 자동재난경보방송 서비스 표준이란? T-DMB 자동재난경보방송 서비스 (T-DMB Automatic Emergency Alert Service: AEAS) 표준[1](이하 “표준”)은 DMB와 같은 뉴미디어를 활용하여 전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국내최초의 재난정보전달서비스이다. 표준은T-DMB 시스템을 이용하여 국민의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자동재난경보 방송 서비스를 실시하는데 필요한 기준을 정하기 위해 제정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정보통신단체표준 TTAS.KO-07.046/R2, "지상파 디지털멀티미디어 방송(DMB) 재난경보방송 표준" (Interface Standard for 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T-DMB) Automatic Emergency Alert Service), 2009년 6월 

  2. 최성종, 권대복, 김재연, 오건식, 장태욱, 함영권, "지상파 DMB 자동 재난경보방송 표준설계: Part 1 요구사항 분석," 한국방송공학회 논문지, 제12권 제3호, pp. 230-241, 2007년 5월 

  3. 최성종, 권대복, 김재연, 오건식, 장태욱, 함영권 "지상파 DMB 자동재난경보방송표준 설계: 제2부 서비스 모델, 전송 채널, 서비스 시그널링," 한국방송공학회 논문지, 제12권, 제6호, pp. 630-640, 2007년11월 

  4. Dennis S. Mileti and John H. Sorensen, "Communication of Emergency Public Warnings: A Social Science Perspective and Stateof-the-Art Assessment," Oak Ridge National Laboratory, 1990. 

  5. Effective Disaster Warnings, National Technology and Science Council (USA), 2000. 

  6. Partnership for Public Warning (PPW), "Protecting America's Communities: An Introduction to Public Alert & Warning, PPW Report 2004-2, 2004 

  7. 전인찬, 정근일, 최성종, "재난정보교환 프로토콜 동향," 한국인터넷정보학회지, 제7권, 제3호, pp. 26-30, 2006년 9월 

  8. Emergency Alert System (EAS), FCC Rule, Part 11 

  9. American National Standard, "Emergency Alert Messages for Cable," J-STD-042-2002, 2002 

  10. 정보통신단체표준, "텔레비전 자동경보방송 표준," TTAS.KO-07.0022/R1, 2005년 12월 

  11. Common Alerting Protocol, v. 1.1, OASIS Standard CAP­V1.1, October 2005 

  12. 최성종, 권대복, 재난경보방송 동향, "한국인터넷정보학회지," 제7권, 제2호, pp. 72-77, 2006년 5월 

  13. ETSI, "Radio Broadcasting Systems; Digital Audio Broadcasting (DAB) to Mobile, portable and fixed receivers," EN 300 401 v1.4.1, 2006년 6월 

  14. 정보통신단체표준, "지상파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 송수신 정합," TTAS.KO-07.0024/R2, 2009년 6월 

  15. 최성종, "디지털 TV의 채널변경시간의 단축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정보기술연구소논문집, 제7권, 제3호, pp. 26-30, 2006년 9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