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감성과학 =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v.13 no.1, 2010년, pp.259 - 268
이성필 (동서대학교 산업디자인학) , 홍정표 (전북대학교 산업디자인학)
현대사회를 감성사회라고 말한다. 감성사회에서 감성(感性)디자인은 상품의 가치를 높여 부가가치를 높여준다. 많은 연구자들이 감성디자인에 대하여 주장을 하고 있지만 감성제품과 일반 제품의 관계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판단기준이 무엇인지 명확하게 밝히거나 무엇이 감성제품인지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연구된 사례가 많지 않다. 따라서 감성디자인에서, 사용자에게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디자인요소가 무엇이며, 감성디자인의 분류와 판단 기준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첫 번째로 선행 연구된 디자인 창의성 평가 요소와 감성디자인의 관계, 소비자에게 선호되는 감성디자인은 어떤 창의성평가요소와의 디자인요소가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하는지를 제안하고, 두 번째로, 감성디자인유형별로 중요하게 표현되는 이미지와 창의성평가요소와의 관계는 무엇인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들에게 제품을 보여주고 감성디자인이라고 생각하는 제품을 선정하게하고, 선정된 제품을 디자인유형별로 나누어 창의성평가요소와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또한 선정된 제품에서 느끼고 있는 디자인이미지를 알아보고 이미지와 창의성평가요소와의 관계도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감성디자인은 시대의 변화, 환경, 사용자에 따라 중요한 창의성평가요소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선호하는 디자인은 어떤 이미지를 갖는 디자인이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This modern society is said to be more typical of an emotional society. In such a society, emotional design adds value to products, hence bringing about value-enhanced products. Despite many claims of little substance about emotional design, there have been only a few researches that have identified...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Ferguson, P. & Geoff, H. (1998). Quality of Service. New York: John Wiley &Sons, Inc.
Glen, U. (2005). Don't Just Relate- Advocate!. Pennsylvania: Wharton School Pub.
Hong, J. P. (2007). Emotional Design Appealing to Consumers' Mind based on Technology. Seoul:Samcheondang Bulletin.
Jirou, K. (1970). Way of Thinking. Tokyo: Chuoukouron.
Kathryn, F. W. (2000). Service Behaviors that Lead to Satisfied Customers. New York: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Kazuo, S. (1996). Katsuo INOUE, Handbook of Method for Research and Analysis using EXCEL. Tokyo: Kaibundou.
Kilkki, K. (1999). Differentiated Services for the Internet. New York: Macmillan Technical Publishing.
Kim, E. J. (2007). Correlationship between Categorical Elements in Children's Creativity Evaluation. Seoul: TTCT KEER.
Mohanbir, S. (2004). Creating Growth with Services. New York: Sloan Management Review.
Moon, J. H. & Jeong, Y. S. (2005). Another Education: Creativity. New York: Hakji Publishing.
Norman, D. A. (2006). Emotional Design. New York: Hakji Publishing.
Prahalad, C. K. (1990). The Core Competence of the Corporation. Boston: Harvard Business Review.
Stefan, T. (2003). R&D Comes to Service: Bank of America's Pathbreaking Experiments. Boston: Harvard Business Review.
Thomas, B., Ronald, A., & Steven, M. (1999). Creativity and Spirit. Seoul: Kimyoung Publishing.
Torrance, E. P. (2005). Torrance's Creativity and Education. New York: Hakji Publishing.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