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중 공동주택의 생활환경요인을 통한 단위평면 비교 연구 - 서울과 상하이 전통, 근대, 현대 공동주택 사례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Apartment Unit Plans According to the Living Environment Elements of Housing in Korea and China - Focused on Apartment cases in Seoul and Shanghai - 원문보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v.19 no.2 = no.79, 2010년, pp.136 - 143  

양비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계획설계) ,  윤혜경 (홍익대학교 건축대학) ,  박현수 (건국대학교 건축학부 건축설계)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seek a direction of development in apartment interior planning method, considering residential condition and historical planning schemes in South Korea and China. In this study, South Korea and China's traditional housing and modern apartment unit was studied to identify environm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각 도시의 주택에서 나타나는 주거에 영향을 미치는 생활환경적 요인을 관찰하고, 이러한 요인이 전통, 근대 및 현대 공동주택 단위평면에 어떻게 반영되고 변형되었는지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공동주택 단위평면을 분석하여 발견된 유사점과 차이점의 특성을 도출하였으며, 한국과 중국의 주거 문화와 주택 유형간의 상관관계를 조명하고, 향후 서울과 상하이의 주거발전을 위한 건축 계획적 관점에서의 상호 보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대표적인 도시인 서울과 상하이의 공동주택을 연구의 대상으로 비교, 분석하였으며 주택에서 나타나는 생활환경 요인을 분석의 틀로 정하여 공동주택의 단위평면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에서는 각 도시의 주택에서 나타나는 주거에 영향을 미치는 생활환경적 요인을 관찰하고, 이러한 요인이 전통, 근대 및 현대 공동주택 단위평면에 어떻게 반영되고 변형되었는지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공동주택 단위평면을 분석하여 발견된 유사점과 차이점의 특성을 도출하였으며, 한국과 중국의 주거 문화와 주택 유형간의 상관관계를 조명하고, 향후 서울과 상하이의 주거발전을 위한 건축 계획적 관점에서의 상호 보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양국의 주거 환경적 특성을 파악하고 유사성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전통주택 유형과 함께 현대 공동주택 유형을 대상으로 정하였다. 한국은 한옥 중에 상류 계층이 주로 거주했던 반가(班家)와 근대 도시형 한옥을 선택하였고, 중국은 중국 주거의 원형인 사합원(四合院)과 상하이를 대표할 수 있는 민가 이농주택(里弄 住宅)을 정하였다.
  • 현대 공동주택의 사례 선정은 서울과 상하이에서 최근 5년 안에 분양된 공동주택 중 500세대 이상의 인지도가 높은 브랜드 아파트를 중심으로 하되, 세대 수와 평형이 유사한 것을 비교분석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에서는 첫째, 생활환경의 개념에 대하여 정의하고, 한, 중 전통주택에 나타나는 생활환경적 요인을 분석하였다. 둘째, 도출된 요인에 따라 전통과 현대주택의 관계성에 대하여 단위평면 사례를 중심으로 비교분석하였다.
  • 중 주거생활 환경을 고찰하고 주택 평면을 분석함으로써, 서울. 상하이 주거발전을 위한 건축계획 측면에서의 상호보완 및 발전 방향을 모색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되도록 한다.
  • 앞에서 언급하였듯이 사합원과 이농주택은 중심죽을 기준으로 좌우에 사적 공간을 배치하는 구성을 보인다. 이는 공적 공간과 사적 공간을 분리하여 사생활을 보호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가족활동의 시작을 공적공간에서 시작하게 하여 가족 간의 유대관계를 좋게 하는 역할을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강인호 외 1인, 주거의 문화적 의미, 세진사, 서울, 2000 

  2. 손세관, 넓게 본 중국주택, 열화당, 서울, 2002 

  3. ??加, 中?建筑?傳統?新?, 東南大學出版社, 2003 

  4. 沈福煦 外, 建筑藝術豊格監賞-上海近代建筑?描, 同濟大學出版社, 2003 

  5. 曹?, 開埠后的上海住宅, 中國建筑工業出版社, 2004 

  6. 婁承浩, 薛順生, 老上海經典建筑-上海老建筑8書, 同濟大學出版社, 2003 

  7. 丁俊?, 江南民居, 上海交通大?出版社, 2008 

  8. 김경환, 한.중.일 전통도시주거의 외부공간에 관한 비교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9. 김영하?조성학, 공동주택 단위평면 계획의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4권 2호, 2008 

  10. 박철진, 1930년대 경성부 도시형한옥의 상품적 성격,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11. 배용성, 한.중.일 'ㅁ 자형 전통주택'에 나타난 실내공간의 동질적 특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12. 신경화, 1990년대 이후 우리나라 작품주택에 나타난 전통성의 현대적 구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3권 1호, 2003 

  13. 진욱성, 중국문화, 중국의 어제와 오늘, 세종출판사, 부산, 2008 

  14. 한필원, 중국 북경 사합원의 공간구성 특성,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3권 11호, 1997 

  15. 周凌, 亞洲傳統民居中的線性居住模式, 人聚環境與建築創作理論靑年專家學術硏討會발표논문, 1995 

  16. 중국포탈사이트: http://www,baidu.com 

  17. 위키백과사전: http://ko.wikipedia.org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