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ven experienced clinicians have difficulties in diagnosing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exactly, due to its diverse clinical features, which vary according to individuals, traumas, and various comorbid psychopathologies, and its related compensation issues. It is usually mandatory for clin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사법적인 문제가 결부되는 경우가 많아 보다 객관적인 자료를 확보할 필요성이 있으며 동반질환이 많고 기능장애가 심하기 때문에 PTSD의 핵심증상에 대한 평가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는 것도 평가도구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이유 중에 하나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종설에서는 PTSD의 진단과 평가를 위해 개발된 다양한 척도들을 살펴보고 이들의 효과적인 적용 방법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CID는 무엇인가? SCID8는 DSM의 진단체계에 의한 모든 I축 장애를 평가하는 포괄적이고 구조화된 진단도구이다. SCID는 정확하게 DSM-IV 진단 기준을 따르게 되며 PTSD에서는 대상자에게 총 17개 증상에 대한 표준화된 질문이 주어지고 각각을‘?=불충분한 정보, 1=없음 혹은 해당 안됨, 2=역치 미만(subthreshold), 3=역치 또는 해당됨(threshold)’ 등의 4가지 항목으로 평가하도록 되어 있다.
외상후 스트레스장애는 무엇인가? 개인의 삶은 끊임없이 벌어지는 스트레스 사건에 적응하고 변화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스트레스 사건이 전쟁, 강간, 학대 등과 같이 개인이 감당하기 어려운 외상 (trauma)으로 작용하여 그 개체의 삶이 달라지는 병적인 반응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를 외상후 스트레스장애(posttraumatic stress disorder:이하 PTSD)라고 한다.1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 편람 4판(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for Mental Disorders 4th edition:이하 DSMIV)2에서는 PTSD를 재경험, 회피, 과도 각성 등 세 가지군집의 특징적인 증상이 1개월 이상 지속되며 임상적으로 심각한 기능의 장애를 초래하는 질환으로 정의하고 있다.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개념이 정립되기 전 병적인 반응에 대한 기술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PTSD의 개념이 정립되기 오래 전부터 외상과 관련된 병적인 반응에 대한 기술은 시작되었다. 1666년 런던의 대화재 후에 신경증적 증상을 보이는 환자들에 대한 고문헌이 있었으며, 1871년 DeCosta는 미국의 남북전쟁 이후 전쟁에 참여했던 군인 중 일부에서 특징적인 심장 증상(soldier’s heart)이 나타남을 기술하였다.3제1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전쟁과 관련된 외상에 동반되는“포탄 충격(shell shock)”에 대한 보고가 있었으며, 2차 세계 대전에서는“전투 신경증(combat neuroses)”이라는 용어와 함께 PTSD의 증상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기 시작하면서 이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시행되었다.31952년에 간행된 DSM-I4에서는 전투나 재해와 같은 극심한 스트레스에 노출된 상태에서 나타나는 증상을 지칭하는“전반적 스트레스 반응(gross stress reaction)”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으며 1950~60년대에는 자연재해 이후에 나타나는 심리상태의 변화에 대한 많은 연구가 행해졌다. 1968년에 간행된 DSM-II5에서는 극심한 외상적 경험 후 나타나는 심리적 반응의 일시적인 성향을 강조한“일과성 감정 반응(transient emotional reaction)”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다. 이후 미국에서는 월남전을 거치면서 많은 연구가 시행되었고 1980년에 간행된 DSM-III6에 이르러 현재의 PTSD의 개념이 성립되었다. DSM-III에서는 PTSD를 심각한 외상 이외의 다른 스트레스 및 이에 대한 반응과 구별하였으며 외상의 정도와 비례하는 현상의 개념으로 생각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Yehuda 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N Engl J Med 2002;346:108-114. 

  2.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Press;1994. 

  3. Trimble MR. Post-traumatic neurosis: From railway spine to the whiplash. New York: John Wiley;1981. 

  4.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1st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Press;1952. 

  5.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2nd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Press;1968. 

  6.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3rd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Press;1980. 

  7.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3rd ed. revised version.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Press;1987. 

  8. First MB, Gibbon M, Spitzer RC, Williams JBW, Benjamin LS. Structured Clinical Interview for DSM-IV Axis I Disorders, Clinician Version (SCID-CV).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Press;1997. 

  9. Robins LN, Cotter L, Bucholz K. Diagnostic Interview Schedule for DSM-IV. St. Louis, MO: Washington University Press;1995. 

  10. Foa EB, Riggs DS, Dancu CV, Rothbaum BO.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brief instrument for assessing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J Trauma Stress 1993;6:459-473. 

  11. Davidson JRT, Smith RD, Kudler HS.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DSM-III criteria f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J Nerv Ment Dis 1989;177:336-341. 

  12. Davidson JRT, Malik MA, Travers J. Structured interview for PTSD (SIP): psychometric validation for DSM-IV criteria. Depress Anxiety 1997;5:127-129. 

  13. Kim W, Kim DH, Seo HJ, Lee SY, Ryu SH, Kim JB, et al. Psychometic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Structured Interview f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K-SIP). J Kor Med Sci. In press. 

  14. Connor KM, Davidson JR. SPRINT: a brief global assessment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t Clin Psychopharmacol 2001;16:279-284. 

  15. Kim TS, Chung MY, Kim W, Koo YJ, Ryu SG, Kim EJ, et al.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hort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Rating Interview (K-SPRINT). Psychiatry Clin Neurosci 2008;62:34-39. 

  16. Watson CG, Juba MP, Manifold V, Kucala T, Anderson PE. The PTSD interview: rationale, description, reliability, and concurrent validity of a DSM-III-based technique. J Clin Psychol 1991;47:179-188. 

  17. Blake DD, Weathers FW, Nagy LM, Kaloupek DG, Gusman FD, Charney DS, et al. The development of a Clinician-Administered PTSD Scale. J Trauma Stress 1995;8:75-90. 

  18. Weathers FW, Keane TM, Davidson JR. Clinician-Administered PTSD Scale: A review of the first ten years of research. Depress Anxiety 2001;13:132-156. 

  19. Lee BY, Kim Y, Yi SM, Eun HJ, Kim DI, Kim JY. A Reliability and Validity Study of a Clinician-Administered PTSD Scale.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99;38:514-522. 

  20. Weathers FW, Ford J. Psychometric review of the PTSD Checklist. In: Stamm BH, editors. Psychometric Review of the PTSD Checklist. Lutherville, MD: Sidran Press;1996. 

  21. Ruggiero KJ, Ben KD, Scotti JR, Rabalais A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PTSD Checklist-Civilian Version. J Trauma Stress 2003;16: 495-502. 

  22. Smith MY, Redd WH, DuHamel KN, Vickberg J, Ricketts P. Validation of the PTSD Checklist-Civilian version in survivors of bone marrow transplantation. J Trauma Stress 1999;12:485-499. 

  23. Blanchard EB, Jones-Alexander J, Buckley TC, Forneris CA.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PTSD Checklist (PCL). Behav Res Ther 1996; 34:669-673. 

  24. Foa EB, Riggs DS, Dancu CV, Rothbaum BO.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brief instrument for assessing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J Trauma Stress 1993;6:459-473. 

  25. Hendrix CC, Anelli LM, Gibbs JP, Fournier DG. Validation of the Purdue Post-Traumatic Stress Scale on a sample of Vietnam veterans. J Trauma Stress 1994;7:311-318. 

  26. Foa EB, Cashman L, Jaycox L, Perry K. The validation of a self-report measure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The Posttraumatic Diagnostic Scale. Psychol Assess 1997;9:445-451. 

  27. Davidson JRT, Book SW, Colket JT, Tupler LA, Roth S, David D, et al. Assessment of a new self-rating scale f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sychol Med 1997;27:153-160. 

  28. Seo HJ, Chung SK, Lim HK, Chee IS, Lee KU, Paik KC, et 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Davidson Trauma Scale. Compr Psychiatry 2008;49:313-318. 

  29. Horowitz M, Wilner N, Alvarez W. Impact of Event Scale: a measure of subjective stress. Psychosom Med 1979;41:209-218. 

  30. Weiss DS, Marmar CR. The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In: Wilson JP, Keane T, editors. The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New York, NY: Guilford Press;1996. 

  31. Yi SM, Eun HJ. A Study of Reliability and Validity on the Korean Version of Impact of Event Scale.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99; 38:501-513. 

  32. Lim HK, Woo JM, Kim TS, Kim TH, Choi KS, Chung SK, et 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Impact of Event Scale- Revised (IES-R-K). Compr Psychiatry 2009;50:385-390. 

  33. Keane TM, Caddell JM, Taylor KL. Mississippi Scale for Combat-Relate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three studies in reliability and validity. J Consult Clin Psychol 1988;56:85-90. 

  34. Hammarberg M. Penn Inventory f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sychometric properties. Psychol Assess 1992;4:67-76. 

  35. Keane TM, Malloy PF, Fairbank JA. Empirical development of an MMPI subscale for the assessment of combat-relate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J Consult Clin Psychol 1984;52:888-891. 

  36. Schlenger WE, Kulka RA. Performance of the Keane-Fairbank MMPI Scale and other self-report measures in identifying posttraurnaric stress disorder: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New York;1987. 

  37. Litz BT, Penk WE, Walsh S, Hyer L, Blake DD, Marx B, et al.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MMPI and MMPI-2 applications to the assessment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J Pers Assess 1991;57: 238-253. 

  38. Derogatis LR. SCL-90-R administration, scoring and procedures manual- II for the revised version. Towson, MD: Clinical Psychometric Research; 1983. 

  39. Arata CM, Saunders BE, Kilpatrick DG. Concurrent validity of a Crime- Relate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scale for women within the Symptom Checklist-90-Revised. Violence Vict 1991;6:191-19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