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마황 추출물의 나노 입자화를 통한 항암 활성 증진
Enhancement of Anticancer Activities of Ephedra sinica Stapf Extracts by Nano-encapsulation 원문보기

韓國藥用作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v.18 no.3, 2010년, pp.143 - 150  

정향숙 (강원대학교 생물소재공학과) ,  김승섭 (강원대학교 생물소재공학과) ,  오성호 (강원대학교 생물소재공학과) ,  정명훈 (강원대학교 생물소재공학과) ,  최운용 (강원대학교 생물소재공학과) ,  서용창 (강원대학교 생물소재공학과) ,  나천수 (생명의나무) ,  곽형근 (스카이007) ,  이현용 (강원대학교 생물소재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showed the increase of antitumor activities of water soluble E. sinica extract by nano-encapsulation process with lecithin. Five groups of lecithin only group (LO), lecithin nano-encapsulated E. sinica group (LE), E. sinica only group (EO), one negative control group (NCO) and positive co...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식품과 천연물 중 암의 발생을 억제 또는 지연하거나 항암보조기능 성분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밝혀낸 다양한 연구 결과 (Jin et al., 2008; Ha et al., 2009)를 근거로 보통 열수추출 방법을 통해 얻은 마황 추출물을 생체적합성 고분자 소재인 레시틴으로 나노 입자화하여 in vitro 및 in vivo 활성을 비교함으로써 항암효과를 알아보았다. 최근 마황의 각성 작용으로 인해 마황이 뛰어난 항암 활성 등의 유용한 기능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그 이용이 제한적이다 (Marchei et al.
  • , 2007).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적은 양의 추출물로도 세포 수준에서 최적의 효과를 낼 수 있는 나노의 가치를 재평가하고, 더 나아가 이러한 항암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기능성 소재와 관련된 분야에 활용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이용하고자 마황 나노 포집물의 다양한 분석 연구 및 세포 투과 관찰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마황은 어떤 질환에 효과가 있는가? 마황은 중국 북부, 몽골 등지에 주로 분포하는 길이가 30~70 ㎝ 인 한약재로서 ephedrine, pseudoephedrine, ephedroxane, norephedrine 등 체액성 면역과 관련된 물질에 의해 교감신경계 자극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로 천식치료 및 열병을 다스리는데 쓰이고 있으며 (Lee et al., 2005) 발한, 해열, 항염증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다 (Song and Lee, 2006). 이외에도 최근에는 마황의 미백활성과 관련된 연구 (Kim, 2008) 및 알러지성 피부염 억제 효과에 대해 보고되어진 바 있다 (Shin and Kim, 2005).
약물전달시스템에 있어서 나노입자가 가지는 이점은 무엇인가? 나노입자 (10−9 m)는 인체에 쉽게 침투할 수 있기 때문에 순환을 통하여 각기 다른 신체 부위로 전달되며, 특히 100 ㎚이하의 소수성 표면을 갖는 리포솜은 분자성 약물의 운반을 용이하게 하여 세포에 대한 친화성이 증가하게 된다 (Mertins et al., 2005).
수용성 성분이 침투하기 어려운 내피세포의 구성을 극복하기 위해 어떤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가? 하지만 인체의 내피세포는 인지질로 구성되어 있어 수용성 성분이 침투하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수용성 물질의 세포내 침투 효율 향상을 위해서 활성물질을 레시틴의 유상이 포집한 리포솜 형태로 제조하고 이를 생체에 적용시켜 높은 침투력 및 생체활용성을 나타내고자 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Kim and Kwak,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ntina S, Kumar S, Bohidar HB and Antina KV. (2005). Effect of molecular weight heterogeneity on drug encapsulation efficiency of gelatin nano-particles. Colloids and Surfaces B. 45:42-48. 

  2. Bardos G, Moricz K, Jaszlits L, Rabloczky G, Tory K, Racz I, Bernath S, Sumegi B, Farkas B, Literati-Nagy B and Literati-Nagy P. (2003). BGP-15, a hydroximic acid derivative, protects against cisplatin- or taxol-induced peripheral neuropathy in rats. Toxicology and Applied Pharmacology. 190:9-16. 

  3. Deventer K, Thuyne WV, Mikulcikova P, Eenoo PV and Delbeke FT. (2007). Detection of selected stimulants as contaminants in solid nutritional supplements by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Food Chemistry. 103:1508- 1513. 

  4. Dol R and Peto R. (1981). The causes of cancer; Quantitative estimates of avoidable risks of cancer in the Unitede States today. Journal of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66:1192-1308. 

  5. Fallouh NA, Treupel LR, Fessi H, Devissaguet J and Puisieux F. (1986). Development of a new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polyisobutylcyanoacrylate nanocapsules. 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ceutics. 28:125-132. 

  6. Ha JH, Kim Y, Kim SS, Jeong MH, Jeong HS, Jeong JH, Yu KW and Lee HY. (2009). High pressure extraction process of low quality fresh ginseng for enhancing anticancer activitie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7:397-406. 

  7. Han JG, Kwon MC, Ha JH, Jeong HS, Kim Y, Jeong MH, Kim JC and Lee HY. (2009). Enhancement of immuno modulatory activities of Rubus coreanus Miquel extracts by nano-encapsulation proces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7:54-60. 

  8. Jagetia G.C. and Nayak V. (1996). Treatment of mice with a novel antineoplastic agent taxol before irradiation increases the frequency of micronuclei in the bone marrow. Mutation Research/Fundamental and Molecular Mechanisms of Mutagenesis. 349:219-227. 

  9. Jeong HS, Han JG, Ha JH, Kim Y, Oh SH, Kim SS, Jeong MH, Choi GP, Park UK and Lee HY. (2009). Enhancement of anticancer activities of Ephedra sinica, Angelica gigas by ultra high pressure extraction.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7:102-108. 

  10. Jeong HS, Han JG, Ha JH, Kim Y, Oh SH, Kim SS, Jeong MH, Choi GP, Park UK and Lee HY. (2009). Antioxidant activities and skin-whitening effects of nano-encapsuled water extract from Rubus coreanus Miquel.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7:83-89. 

  11. Ji LL, Chen Y and Wang ZT. (2008). The toxic effect of pyrrolizidine alkaloid clivorine on the human embryonic kidney 293 cells and its primary mechanism. Experimental and Toxicologic Pathology. 60:87-93. 

  12. Jin WY, Bu X, Philips D, Yan H, Liu G, Chen X, Bush JA and Li G. (2008). Antitumor activity of health food-C22. Korean Journal of Pharmacognosy. 39:237-240. 

  13. Jung KO, Lee KY, Rhee SK and Park KY. (2002). Effect of various kinds of salt on the tumor formation, NK cell activity and lipid peroxidation in Sarcoma-180 cell transplanted mic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ancer Prevention. 7:134-142. 

  14. Kim DM and Kwak HS. (2004). Nano food materials and approchable development of nanofunctional dairy products. Korean Journal of Dairy Technology Science. 22:1-12. 

  15. Kim HT, Kim JW, Jin TW, Kim JE, Lim MK, Yeo SG, Jang KH, Oh TH and Lee KW. (2007). Effects of blood biochemistry and tumor' weights of Artemisia capollaris methanol extract in mice bearing cancer cells. Journal of Veterinary Clinics. 24:372-378. 

  16. Kim IC. (2008). Antioxidative properties and whitening effects of the Polygoni multiflori Radix, Polygonati rhizoma and Ephedrae herba. Journal of the Korean Oil Chemists Society. 25:533-538. 

  17. Kim SY and Lee YM. (2001). Taxol-loaded block copolymer nanospheres composed of methoxy poly(ethylene glycol) and poly(-caprolactone) as novel anticancer drug carriers. Biomaterials. 22:1697-1704. 

  18. Lee GY, Kenny PA, Lee EH and Bissell MJ. (2007). Threedimensional culture models of normal and malignant breast epithelial cells. Nature Methods. 4:359-365. 

  19. Lee JI and Yoo HS. (2008).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nano drug delivery system.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19:146-151. 

  20. Lee SC, Park SJ, Seo SW, Hwang SW, Kim YW, Song DS, Chae YS, Shin MK and Song HJ. (2005). Effect of Herba ephedrae on airway hyperreactivity. Korean Journal of Herbology. 20:69-76. 

  21. Li DC, Zhong XK, Zeng ZP, Jiang JG, Li L, Zhao MM, Yang XQ, Chen J, Zhang BS, Zhao QZ, Xie MY, Xiong H, Deng ZY, Zhang XM, Xu SY and Gao YX, (2009). Application of targeted drug delivery system in Chinese medicine. Journal of Controlled Release. 138:103-112. 

  22. Lochner N, Pittner F, Wirth M and Gabor F. (2003). Preparation, characterization and application of artificial Caco-2 cell surfaces in the silver nanoparticle enhanced fluorescence technique. Journal of Controlled Release. 89:249-259. 

  23. Ma P, Liu S, Huang Y, Chen X, Zhang L and Jing X. (2010). Lactose mediated liver-targeting effect observed by ex vivo imaging technology. Biomaterials. 31:2646-2654. 

  24. Marchei E, Pellegrini M, Pacifici R, Zuccaro P and Pichini S. (2006). A rapid and simple procedure for the determination of ephedrine alkaloids in dietary supplements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Journal of Pharmaceutical and Biomedical Analysis. 41:1633-1641. 

  25. Mertins O, Sebben M, Pohlmann AR and Silveira NP. (2005). Production of soybean phosphatidylcholine-chitosan nanovesicles by reverse phase evaporation: a step by step study. Chemistry and Physics of Lipids. 138:29-37. 

  26. Parag A, Jennifer BH, Christopher BM, Marina AD and Scott EM. (2009). Nanoparticle interaction with plasma proteins as it relates to particle biodistribution, biocompatibility and therapeutic efficacy. Advanced Drug Delivery Reviews. 61:428-437. 

  27. Park JH, Lee HS, Mun HC, Kim DH, Seong NS, Jung HG, Bang JK and Lee HY. (2004). Improvement of anticancer activation of ultrasonificated extracts from Acanthopanax senticosus Harms, Ephedra sinica Stapf, Rubus coreanus Miq. and Artemisia capillaris Thunb.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2:273-278. 

  28. Sandoval M, Okuhama NN, Clark M, Angeles FM, Lao J, Bustamante S and Miller MJS. (2002). Sangre de grado Croton palanostigma induces apoptosis in human gastrointestinal cancer cells.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80:121-129. 

  29. Saxena A, Sachin K, Bohidar HB and Verma AK. (2005). Effect of molecular weight heterogeneity on drug encapsulation efficiency of gelatin nano-particles. Colloids and Surfaces B: Biointerfaces. 45:42-48. 

  30. Shin YW and Kim DH. (2005). The anti-scratching effect of Ephedrae herba and Ephedrae Radix. Bulletin of Kyung Hee Pharmaceutical Science. 33:17-22. 

  31. Song HG and Lee H. (2006). The effect of EH-HA(Ephedrae Herba Herbal Acupuncture) at ST36 on OVA-induced Asthma in mice. The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Society. 23:1-14. 

  32. Twan L. (2010). Improving the efficacy of combined modality anticancer therapy using HPMA copolymer-based nanomedicine formulations. Advanced Drug Delivery Reviews. 62:203-230. 

  33. Youn HW, Kang KW, Chung JK and Lee DS. (2008). Nanomedicine: drug delivery systems and nanoparticle targeting. The Korean Society of Nuclear Medicine. 42:337- 34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