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설현장의 위험요소 사례연구를 통한 위험저감 방안의 고찰 -토공사, 기초공사, 철근콘크리트공사를 대상으로-
Plans for Reducing Risk through a Case Study of Risk Factors at a Construction Site -Focused on Earth work, Foundation Work, 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 원문보기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v.10 no.4 = no.42, 2010년, pp.83 - 93  

김진호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Tongmyong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건설프로젝트가 점차 복잡화, 대형화 되어감에 따라 건설공사에서의 위험요소와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프로젝트 수행과정에서 발생하는 불확실한 요인을 사전에 파악하여 대응하는 것은 프로젝트의 승패를 좌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토공사, 기초공사, 철근콘크리트 공사에서의 제약조건과 위험요소를 파악함과 동시에 시공 계획수립의 실태를 분석함으로써 위험을 저감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위험분류체계에 관한 기존연구를 고찰하였으며, 건설현장에 근무하는 기사를 대상으로 인터뷰조사를 실시하여 안전 관리의 문제점을 구체화하기 위해 실증적인 현장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주요 연구내용은 건설현장의 특수상황 및 주요 공법의 적용실태, 제약조건과 위험요소의 인과관계이며, 위험을 저감하기 위한 중점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construction projects continuously becoming more massive and complex, risk factors have been consistently increasing. To achieve a successful project, it is very important to identify and cope with such risk factor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plans of reducing risk, no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착공 이전 업무과다와 축적된 자료의 부족으로 현장의 제약조건과 위험요소를 파악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대응전략의 수립도 곤란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위험에 대비한 중점관리항목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유효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공종별로 위험저감 방안을 고찰하였다.
  • 건설프로젝트가 점차 복잡화, 대형화 되어감에 따라 건설공사에서의 위험요소와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프로젝트 수행과정에서 발생하는 불확실한 요인을 사전에 파악하여 대응하는 것은 프로젝트의 승패를 좌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토공사, 기초공사, 철근콘크리트 공사에서의 제약조건과 위험요소를 파악함과 동시에 시공 계획수립의 실태를 분석함으로써 위험을 저감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위험분류체계에 관한 기존연구를 고찰하였으며, 건설현장에 근무하는 기사를 대상으로 인터뷰조사를 실시하여 안전관리의 문제점을 구체화하기 위해 실증적인 현장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 이런 이유로 건설현장에서의 제약조건에 따른 위험요소를 축출하여 재해발생요인을 사전에 파악하는 것은 안전성 확보 차원에서 절실히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토공사, 기초공사, 철근콘크리트공사를 대상으로 건설현장에서의 위험요소 사례연구를 통하여 이를 사전에 인지하고,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방법론에 대해 고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설현장에서 예측하기 곤란한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최근의 건설현장에서는 기후적 요인이나 지반특성, 건축 물구조의 복잡성으로 인해 프로젝트수행에 있어서 예측하기 곤란한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건설현장에는 다수의 공종이 존재하고, 직종별 작업자투입 선후관계가 복잡하여 타 산업보다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사고 위험요소가 매우 많다.
건설프로젝트가 점차 복잡화 대형화 되어가면서 건설공사에서 무엇이 증가하고 있는가? 건설프로젝트가 점차 복잡화, 대형화 되어감에 따라 건설공사에서의 위험요소와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프로젝트 수행과정에서 발생하는 불확실한 요인을 사전에 파악하여 대응하는 것은 프로젝트의 승패를 좌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토공사, 기초공사, 철근콘크리트 공사에서의 제약조건과 위험요소를 파악함과 동시에 시공 계획수립의 실태를 분석함으로써 위험을 저감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시공 계획수립의 실태를 분석함으로써 위험을 저감할 수 있는 방안을 달성하기 위해서 수행한 것은?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토공사, 기초공사, 철근콘크리트 공사에서의 제약조건과 위험요소를 파악함과 동시에 시공 계획수립의 실태를 분석함으로써 위험을 저감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위험분류체계에 관한 기존연구를 고찰하였으며, 건설현장에 근무하는 기사를 대상으로 인터뷰조사를 실시하여 안전관리의 문제점을 구체화하기 위해 실증적인 현장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주요 연구내용은 건설현장의 특수상황 및 주요 공법의 적용실태, 제약조건과 위험요소의 인과관계이며, 위험을 저감하기 위한 중점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Chu HK, Kim SG. A study for Re-establishment of the Existing Risk Identification System in Construction Project. Proceedings of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03;23(1):355-8. 

  2. Ahn HS. Fundamental Causes and Future Solution of the Sampoong Department Store Collapse. Review of architecture and building science 2005;49(7):51-4. 

  3. Oh JJ, Cho HH. A study of Risk Breakdown Structure derived from Natural Hazards for Framework in Construction. Synopsis of the 5th Outstanding thesis 2009;5(1):79-82. 

  4. Lee JS, Moon SK, Jun YJ, Kim JH, Kim JJ. Study on Development of Construction Management Module based on Risk Factor Classification System at Construction Phase. Proceedings of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2009;9(1):199-202. 

  5. Lee HS, Kim HS, Park MS, Lee KP, Lee SB. Construction Risk Assessment Methodology Using Site Risk Influence Factors.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2009;10(6):117-26. 

  6. Kim DC, Kim WJ. A study on the Risk Assessment Method by Accidents Analysis in Steel-Structure Work.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01;17(12):217-24. 

  7. Shin HJ, Choi JH, Hong WH. Guidelines on Performance-based Egress Design Criteria Considering the Risk Factors of a High-rise Building.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09;25(7):139-48. 

  8. Lee CS. Execution of building work. Hansol-academy Publishing co;2006. 

  9. Kang KI, Kim GH, Kim JY, Park UY, Seo DS, An SH, Cho HH. Building Construction I. Daega Publishing co; 2004. 

  10. Kim DC, Kim JH, Kim WJ. The Improvement Plan of Safety Management Works and Safety Relation Laws in Korea.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01;17(10):111-20. 

  11. Shin SW, Kim HO.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practice. Chongmunkak Publishing co;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