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모바일 전자정부 서비스 유형분류에 따른 국내외 현황 분석 및 발전방향
Mobile Government Service Classification and Policy Implication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1 no.4, 2010년, pp.1475 - 1482  

서용원 (중앙대학교 경영학부) ,  김태하 (중앙대학교 경영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모바일 전자정부의 구축 사례를 비교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모바일 전자정부의 발전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이를 위하여 모바일 전자정부 서비스의 유형 구분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으며, 국내외 모바일 전자정부 구축 사례를 해당 프레임워크를 바탕으로 분석함으로써 모바일 전자정부 발전방향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에 의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전자정부의 추진 방향으로서 고객 중심의 업무프로세스 재설계, 사용자 중심의 모바일 포탈 재구성, 모바일 고유의 서비스 개발, 신기술 트렌드를 적용한 모바일 전자정부 서비스 개발, 고객으로부터의 피드백을 통한 선순환 및 모바일 보안의 강화를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aims at finding the policy implications of mobile government services based on the comparison of domestic and foreign cases. We developed a framework for the classification of mobile government services and examined the domestic and foreign mobile government services to identify policy i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기술의 동향을 파악하고 모바일 전자정부 서비스의 유형 구분을 바탕으로 국내외 모바일 전자정부의 구축 사례를 파악하였으며, 국내외 사례의 비교분석을 토대로 하여 모바일 전자정부의 발전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앞서의 모바일 전자정부 서비스 유형 구분에 따른 국내외 전자정부 구축 사례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하여,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모바일 전자정부의 발전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 그러나 현재까지 구축된 모바일 전자정부는 단순히 전자정부의 서비스를 모바일 단말기상에서 일부 구현하거나 단문전송 등의 모바일 서비스를 일부 활용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등 초기의 구현 형태를 보이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모바일 기술의 동향과 국내외 모바일 전자정부의 구축 사례에 대한 관찰을 토대로 하여 모바일 전자정부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 이에 따른 우리나라의 모바일전자정부의 추진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와 해외의 모바일 전자정부 추진사례를 보아 발견한 차이점은? 우선, 서비스 형태의 측면에서, 국내와 해외의 모바일 전자정부 추진현황을 표 2의 모바일 전자정부 서비스 유형 구분별로 살펴보았을 때, 현재까지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의 형태는 국내와 해외가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미국과 영국의 모바일 전자정부 사례에서는 스마트폰 기반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새로운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시도가 최근 이루어지고 있음이 눈에 띈다. 둘째로, 해외사례에서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사회적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를 활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가 최근 발견되고 있어, 모바일 전자정부 서비스의 발전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예컨대 불편사항 민원처리현황 및 결과를 트위터를 통해 공개적으로 제공하거나, 의원 연락처 검색 결과가 페이스북(Facebook)과 연계되는 등이다. 셋째로, 수요자에게 모바일 전자정부 서비스를 원활하게 제공하기 위하여 관련 행정프로세스를 개선하고, 이와 관련한 조례 등을 재정비하는 등, 수요자 중심으로 행정 프로세스를 재설계한 사례가 발견된다. 예로서 핸드폰 문자메시지로 면허증명을 대신하도록 하기 위해 관련 조례를 개정한 사례 등을 볼 수 있다. 넷째로, 국민 생활 중심을 중심으로 모바일 웹페이지의 정보제공체계가 설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모바일 웹페이지의 메뉴 구분이 국내의 모바일 전자정부에서는 서비스 제공 부처별로 구분되어 있는데 비해, 영국의 DirectGov의 모바일 웹페이지 설계에서는 운전자, 구직자, 관광객 등의 수요자 생활 중심으로 메뉴가 설계되어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모바일 전자정부(M-Gov: Mobile Government)의 장점은? 전자정부가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를 정부업무에 활용하여 정부의 서비스수준을 향상시키는 것이라고 한다면, 모바일 전자정부에서는 ICT 중에서도 특히 핸드폰,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무선 단말기와 이를 통한 무선통신 기술을 활용하여 정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초점을 둔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전자정부는 무선통신기술의 특성을 활용하여 정부의 서비스를 "언제, 어디서나”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이 중요한 장점으로 부각된다[2].
모바일 전자정부(M-Gov: Mobile Government)란? 국민 대다수가 핸드폰과 같은 무선통신기기를 활용하는 등 정보통신환경이 급속히 무선화됨에 따라 모바일 환경에서 전자정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모바일 전자정부(M-Gov: Mobile Government)란 모바일 무선 통신 기술을 활용하여 정부의 업무를 수행하거나 정부의 서비스와 정보를 국민과 기업에게 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1,3]. 개념적으로 볼 때, 모바일 전자정부는 전자정부(e-Government)의 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전자정부가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를 정부업무에 활용하여 정부의 서비스수준을 향상시키는 것이라고 한다면, 모바일 전자정부에서는 ICT 중에서도 특히 핸드폰,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무선 단말기와 이를 통한 무선통신 기술을 활용하여 정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초점을 둔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Kesavarapu, Srikanth, and Choi, Mun-Kee, A Theoretical Framework of Knowledge Management in M-Govern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Vol. 1, No 1, pp.1-18, 2009. 

  2. Lallana, E.C., mGovernment: Mobile/Wireless Applications in Government, http://www.egov4dev.org/mgovernment/, 2004. 

  3. Ovum: Mobile E-commerce - Market Strategies, Ovum Press Release, 2003. 

  4. UK, DirectGov, http://www.direct.gov.uk/mobile, accessed on 17 Dec. 2009. 

  5. Victoria State, Australia, eGovernment Resource Centre, Mobile Government: Trends and Issues, http://www.egov.vic.gov.au/trends-and-issues/mobile-government.html, accessed on 17 Dec. 2009. 

  6. 방송통신위원회, 유.무선가입자 통계현황(2010.2월), http://www.kcc.go.kr/user.do?modeview&pageP02060 400&dcK02060400&boardId1030&boardSeq28541 

  7. 임종태, Network 진화에 따른 무선인터넷 서비스 발전 전망, 2007 IT 산업전망 컨퍼런스, 2006. 

  8. 정국환, 한국의 u-Gov 구축현황 및 향후전략, 제1회 u정부 포럼, 2005. 

  9. 한국인터넷진흥원, 2009년 무선인터넷 이용 실태조사 요약보고서 및 보도자료,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