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Ti-합금판재(Ti-6Al-4V)의 고온 성형성 평가
Evaluation of Pess Formability for Ti-6Al-4V Sheet at Elevated Temperature 원문보기

소성가공 = Transactions of materials processi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echnology of plastics, v.19 no.4 = no.118, 2010년, pp.230 - 235  

박진기 (경북대학교 기계공학부) ,  박노광 (재료 연구소 특수 합금 연구부) ,  김영석 (경북대학교 기계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itanium alloy sheets have excellent specific strength and corrosion resistance as well as good performance at high temperature. Recently, titanium alloys are widely employed not only for aerospace parts but also for bio prothesis and motorcycle. However, the database is insufficient in the titaniu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돔 장출 실험을 실행하여 Ti6Al-4V합금 판재의 고온 성형성을 실험적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Ti-합금판재의 프레스 가공기술 확립을 위한 기초연구로 Hecker의 돔 장출 실험[14]을 이용하여 Ti-6Al-4V 합금판재의 고온에서의 성형특성과 성형한계도를 평가하였으며 이를 향후 Ti-6Al-4V합금 판재의 고온 프레스 가공을 위한 공정설계 및 금형설계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Ti6Al-4V 합금은 어떤 이유로 효용가치를 높게 평가하고 있는가? 42 )에 비해 상당한 고강도를 가지고 있고, 작은 파단 연신률(El=12%)과 탄성계수(E=120GPa)를 가지고 있어서 실제 상업적으로 응용되는 Ti-합금 중 60% 이상을 차지한다. Ti6Al-4V 합금은 Ti-합금의 일반적인 분류 중 α + β형 합금이며, α 형 Ti-합금의 특징과 β 형 Ti-합금의 중간적 성질을 가지기 때문에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열처리 및 냉각 방법에 따라 철계 합금과 같이 다양한 미세조직과 기계적 성질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그 효용가치가 매우 높은 합금계이다. 또한, 또한, α상은 β상보다 고온에서 강도는 높지만 상온에서의 강도는 낮다[1].
α 형 Ti-합금은 β상에 비해 어떤 물성을 가지고 있는가? Ti6Al-4V 합금은 Ti-합금의 일반적인 분류 중 α + β형 합금이며, α 형 Ti-합금의 특징과 β 형 Ti-합금의 중간적 성질을 가지기 때문에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열처리 및 냉각 방법에 따라 철계 합금과 같이 다양한 미세조직과 기계적 성질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그 효용가치가 매우 높은 합금계이다. 또한, 또한, α상은 β상보다 고온에서 강도는 높지만 상온에서의 강도는 낮다[1].
Ti-합금은 어떤 분야에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가? Ti-합금은 높은 비강도와 우수한 기계적 특성으로 과거 40~50 년 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는 재료로 특히 우주항공, 일반산업, 해양분야 및 상업분야 등, 주로 무게에 비해 높은 강도가 요구되거나 고온에서의 높은 강도 및 내식성이 요구되는 부품에 자주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철강재료에 비해 가격이 아주 비싼 편(30~120US$/kg)이고, 북미의 경우 티타늄 수요의 약 70%가 우주항공 관련 분야만 주로 수요가 집중되어 있지만, 점차 항공, 스포츠, 의료, 해양산업 등으로 그 수요처가 늘어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M. J. Donachie, Jr., 1988, Titanium: A Technical Guide, ASM Int., Metals Park, OH. 

  2. P. G. Partidge, 1967, The Crystallography and Deformation mode of HCP metals, Int. Mat. Rev., Vol. 12, pp. 169-164. 

  3. D. G. Lee, Y. H. Lee, C. S. Lee, and S. H. Lee, 2004, Effects of volume fraction of tempered martensite on dynamic deformation properties of Ti-6Al-4V alloy having bimodal microsture, J. Korean Inst. Met. Mater., Vol. 42, pp. 455-463. 

  4. G. Lutjering, 1998, Influence of processing on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alpha}+{\beta})$ titanium alloys, Mater. Sci. Eng. A, Vol. 243, pp. 32-45. 

  5. G. K. Turnbull, 1982, Titanium and Titanium alloys-Source book, ASM International, Metal Park, OH, pp. 265-269. 

  6. R. R. Boyer, G. E. Welsch, and E. W. Collings, 1994, Materials Properties Handbook, ASM International, Metal Park, OH. P. 488. 

  7. M. Vanderhasten, L. Rabet, and B. Verlinden, 2008, Ti-6Al-4V: deformation map and modelisation of tensile behavior, Mater. Design, Vol. 29, pp.1090-1098. 

  8. A. S. Khan, R. Kazmi, and B. Farrokh, 2007, Multiaxial and non-proporional loading responses, anisotropy and modeling of Ti-6Al-4V titanium alloy over wide ranges of strain rates and temperatures, Int. J. Plast., Vol. 23, pp. 931-950. 

  9. S. B. Leen, M. A. Krohn, and T. H. Hyde, 2008, Failure prediction for titanium alloys using a superplastic forming limit diagram approach, Mat-wiss. U. werkstofftech, Vol. 38, pp. 327-331. 

  10. R. Hill, 1983, The mathematical theory of plasticity,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11. Z. Marciniak and K. Kuczynski, 1967, Limit strains in the process of stretch-forming sheet metal, Int. J. Mech. Sci., Vol. 9, pp. 609-612. 

  12. H. Y. Kim, S. C. Choi, H.S. Lee, H. J. Kim, and K. T. Lee, 2007, Experiment for forming limit diagram and springback characteristics of AZ31B magnesium alloy sheet at elevated temperature, Trans. Mat. Processing, Vol. 16, pp. 364-369. 

  13. H. S. Son and Y. S. Kim, 2003, Prediction of forming limits for anisotropic sheets containing prolate ellipsoidal voids, Int. J. Mech. Sci., Vol. 45, pp. 1625-1643. 

  14. S. S. Hecker, 1972, A simple forming limit curve technique and results on aluminum alloys, Proc. 7th Biennial Congress Int. Deep Drawing Research Group, Amsterdam, pp. 51-58 

  15. A. S. Korhonen and T. Manninen, 2008, Forming and fracture limits of austenitic stainless steel sheets, Mater. Sci. Eng. A, Vol. 488, pp. 157-166 

  16. L. Zhang, Y. J. Yin, Y. Q. Chen, and M.-D. Xue, 2003, Damage and forming limit analysis in porous ductile metals at room or elevated temperature, Mater. Sci. Tech., Vol. 19, pp. 1355-1360. 

  17. M. G. Cockroft and D. J. Latham, 1968, Ductility and the workability of metals. J. Inst. Met., Vol. 96, pp. 33-39. 

  18. J. G. Park, J. H. Kim, N. K. Park, and Y. S. Kim, 2009, Plastic deformation characteristic of titanium alloy sheet (Ti-6Al-4V) at warm temperature, 2009 Spring Conf. Trans. Mat. Processing, pp. 152-157. 

  19. R. W. Logan and W. F. Hosford, 1980, Upperbound anisotropic yield locus calculations assuming pencil glide, Int. J. Mech. Sci., Vol. 22, pp. 419-43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