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PG 기화기의 화재.폭발사고 예측모델개발에 관한 연구
Study on Fire.Explosion Accidents Prediction Model Development of LPG Vaporizer 원문보기

한국가스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v.14 no.1, 2010년, pp.28 - 36  

고재선 (대전대학교 소방방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1995년부터 2006년까지 12년간 발생한 3,593건의 가스사고사례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LPG 기화기사고의 발생건수를 형태 및 원인별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사고의 형태로는 파열, 누출, 폭발, 화재 순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화기 가스사고 중 세부원인을 분석한 결과 가장 많이 발생한 원인으로는 액유출방지장치의 결함에 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Poisson분석법을 적용하여 향후 5년 이내에 LPG 기화기와 관련된 화재, 폭발, 누출, 파열에 대한 가장 가능성이 높은 발생확률을 예측하였다. 그 결과 사고의 발생횟수가 3번 이하로 발생하는 항목으로는 LPG-Vaporizer-Fire으로 나타났으며, 5번 이하는 LPG-Vaporizer -Products Faults-Check Floater, 10번 이하는 LPG-Vaporizer-Products Faults로 분석되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구축한 국내사고 Database를 매년 지속적으로 보완 개정을 하면 국내 가스사고 예측에 대한 보다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어 효과적인 가스안전관리 대책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have garnered 3,593 data of gas accidents reported for 12 years from 1995, and then analyzed the LPG vaporizer accidents according to their types and causes based on the classified database.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gas rupture has been the most common accident followed by the release, explo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가스로 인한 화재, 폭발, 누출 등의 사고에 대한 DB(Database)를 지속적으로 확충·보완시키고, 이를 표준 코드화 시켜 향후 동종 사고에 대한 빠른 대응책을 제시하여 사고예방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본 가스사고 DB는 1995년부터 2006년까지 12년간 발생한 가스사고를 다양한 형태로 분석[1-3]하여 안전관리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사고 유형별 분석을 통해 동일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Fig.
  • 가스사고사례 DB를 활용하여 Poisson분포에 적용한 결과(t=5년) 사고의 발생횟수가 3번 이하로 발생하는 항목으로는 LPG-Vaporizer-Fire, LPG-Vaporizer -Explosion, LPG-Vaporizer-Release, LPG-Vaporize r-Rupture로 분석되었으며, 5번 이하는 LPG-Vaporizer-Products Faults-Check Floater, 10번 이하는 LPG-Vaporizer-Products Faults로 분석되었다. 전반적으로 본 연구는 동종사고의 유발을 방지하기 위한 Poisson 분포 이론을 접목한 가스사고시 화재 및 폭발사고 예측프로그램을 일관성 있는 기준으로 생성시킴으로서 실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향후 도시가스 사고 자료에 대한 지속적인 자료의 축적과 관련 인자들을 산출함으로서 사회적 위험성 평가를 위한 안전관리정책의 기본방향을 수립하는 기준지표로 이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체계적인 유지관리가 필수적인 학교, 음식점, 공장 등의 다중이용시설에 설치된 LPG 기화시설의 가스누출로 인한 화재 및 폭발사고가 발생할 경우 대형 인명피해를 초래할 수 있어 LPG 기화장치의 사고사례 및 통계분석[1-3]을 통하여 기화기 관련 가스사고에 안전성 확보방안을 검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스사고의 형태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본 연구에서는 1995년부터 2006년까지 12년간 발생한 3,593건의 가스사고사례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LPG 기화기사고의 발생건수를 형태 및 원인별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사고의 형태로는 파열, 누출, 폭발, 화재 순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화기 가스사고 중 세부원인을 분석한 결과 가장 많이 발생한 원인으로는 액유출방지장치의 결함에 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Poisson분석법을 적용하여 향후 5년 이내에 LPG 기화기와 관련된 화재, 폭발, 누출, 파열에 대한 가장 가능성이 높은 발생확률을 예측하였다.
LPG가 깨끗한 에너지로 인정받는 이유는? 현재 국민생활의 주요한 에너지원인 LPG(liquefied petroleum gas)는 발화온도가 높아 폭발의 위험이 적고 다른 에너지에 비해 공해물질 배출량이 적어 깨끗한 에너지로 인정받고 있다. 또한 가스 소비량의 증가와 함께 국민들이 안전한 가스사용을 위하여 가스사고 예방에 대한 노력을 기울인 결과 가스사고는 매년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
LPG 기화기사고의 세부 원인 중 가장 많이 발생한 원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1995년부터 2006년까지 12년간 발생한 3,593건의 가스사고사례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LPG 기화기사고의 발생건수를 형태 및 원인별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사고의 형태로는 파열, 누출, 폭발, 화재 순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화기 가스사고 중 세부원인을 분석한 결과 가장 많이 발생한 원인으로는 액유출방지장치의 결함에 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Poisson분석법을 적용하여 향후 5년 이내에 LPG 기화기와 관련된 화재, 폭발, 누출, 파열에 대한 가장 가능성이 높은 발생확률을 예측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가스안전공사, "가스사고 연감", 가스안전공사 사고조사처.(1995-2006) 

  2. 가스안전공사, "고압가스통계", 가스안전공사 검사지원처.(2001) 

  3. 고재선, 김효," 국내LP 및 천연가스사고 Database 구축 및 분석에 관한 연구", KIGAS Vol 12, No. 3, 56-63, (2008) 

  4. Rebort L. Winkler and William L. Hays, "Statistics Second Edition Probability, Infernce, and Decision", Holt, Rinehart and Winston, New York, (1970) 

  5. Roger D. Leitch, "Reliability Analysis for Engineering", Oxford University Press, (1995) 

  6. Calabro, S.P, "Reliability Principles and Practices", McGraw-Hill,(1982) 

  7. D. O. Hagon, "Use of Frequency-Consequence Curve to Examine the Conclusions of Published Risk Analysis and to Define Broad Criteria for Hazard Installations" Chem Eng Res., Vol. 62, Nov, pp381-386, (1984) 

  8. Health & Safety Executive, "Risk Criteria for Land Use Planning in the Vicinity of Major Industrial Hazard", HSE, England, (1989) 

  9. CCPS for American Institute of Chemical Engineers, "Guideline for Consequence Analysis of Chemical Releases", AICHE-CCPS, New York, (1989)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