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영남육괴 북동부에 위치한 홍제사 화강암으로부터 저콘을 분리하여 레이저삭마 유도결합플라즈마 질량분석기를 이용한 U-Pb 연대측정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2013^{+30}/_{-24}(2{\sigma})$ Ma의 상부교점 연령을 구하였다. 이러한 연대는 주변의 분천 화강편마암 및 남쪽의 평해 화강편마암으로부터 구한 최근의 U-Pb 연령들과 함께 고원생대의 화성활동을 나타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Pb zircon age for the Hongjesa granite, in the northeast Yeongnam massif, was determined using LA-ICP-MS. We obtained upper intercept age of $2013^{+30}/_{-24}(2{\sigma})$ Ma, indicating Paleoproterozoic granitic magmatism together with the Buncheon and Pyeonghae granite gneisses of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논문에서는 영남육괴 북동의 홍제사 화강암 1개 표품에서 분리한 저콘에 대하여 레이저 삭마 유도결합플라즈마 질량분석기(Laser Ablation 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er: LA-ICP-MS) U-Pb 연대측정을 실시한 결과를 보고하며, 그 결과를 북동 영남육괴에 함께 산출되는 화강암질 암체들의 연령 및 변성퇴적암의 변성연령과 비교하여 논의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북동 영남육괴에 나타나는 홍제사 화강암을 제외한 화성암체들의 연령은? 북동 영남육괴에 나타나는 홍제사 화강암을 제외한 다른 고기 화성암체들의 연령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홍제사 화강암과 접하여 남쪽에 정치해있는 가장 큰 고기화강암체인 분천 화강편마암 역시 많은 연대측정 자료가 있지만 홍제사 화강암과 마찬가지로 K-Ar 연대측정 자료들은 상당히 분산된 결과를 보인다(예, 김용준과 이대성, 1983). 하지만 U-Pb 또는 Pb-Pb 등의 연대측정으로 보고된 값들은 대체로 일치하는 값을 보여준다. 박계헌 외(1993)은 분천 화강편마암으로부터 1920±56 Ma의 Pb-Pb 연령을 구하였으며, 정창식 외(2004)는 분천 화강편마암의 Pb-Pb 연령을 1933±54 Ma, 그리고 Rb-Sr 전암연령을 1911±170 Ma로 보고 하였다. 이석훈(2001)은 CHIME 연대 측정법을 이용해 분천 화강편마암의 저콘으로부터 1931±78 Ma, 그리고 모나자이트로부터는 1915±26 Ma의 연령을 구하였다. Chang et al.(2003)은 열이온화질량분석기(Thermal Ionization Mass Spectrometer, TIMS)로 구한 화강편마암의 저콘 U-Pb 연령을 1963±5 Ma로 보고하였다. 이와 같이 비교적 최근의 연대측정 자료들은 대부분 잘 일치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화강암질 암석의 경우 고도로 변성작용을 겪는 경우에도 변성작용시 저콘의 성장은 입자 주변부에 아주 좁은 범위로 국한되기 때문에 보고된 연령들은 분천 화강편마암의 원래 정치시기를 나타낼 것으로 판단된다. 보고된 값들 중에서 Chang et al.(2003)의 값인 1963±5 Ma가 가장 정밀한 연대측정값으로 평가되며 홍제사 화강암과 분천 화강편마암이 비슷한 시기의 마그마생성에 의해 만들어진 암체임을 나타낸다.
홍제사 화강암에 대한 1990년대 이전의 연대측정 연구는 어떻게 되었는가? 그동안 홍제사 화강암에 대한 여러 차례의 연대측정 결과 보고가 있었지만 보고된 자료들이 서로 잘 일치하지 않는다. 홍제사 화강암에 대한 1990년대 이전의 연대측정은 대부분 흑운모에 대한 K-Ar 방법에 의한 것이었으며, 그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Yun and Silberman(1979)은 730±22 Ma, 김용준과 이대성(1983)은 880±44 Ma, 875±44 Ma, 384±19 Ma, 741±37 Ma, 그리고 홍영국과 최태윤(1986)은 1367±29 Ma, 1235±17 Ma, 1209±26 Ma, 768±11 Ma로 보고하였다. 한편 정창식 외(2004)는 홍제사 화강암의 Rb-Sr 전암연령이 1919±160 Ma, Pb-Pb는 1899±200 Ma로 분천 화강편마암과 비슷한 정치시기를 갖는다고 하였다.
북동 영남육괴에는 무엇이 존재하는가? 북동 영남육괴에는 크고 작은 여러 개의 고기 화강암체들과 변성퇴적암층들이 분포하여 이들에 대한 연대측정 결과가 여러 차례에 걸쳐 보고되었다. 분천 화강편마암, 평해 화강편마암 및 하다 화강편마암 등은 고원생대인 약 20억년의 정치시기를 가지며(박계헌 외, 1993; Cheong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강지훈, 김남훈, 박계헌, 송용선, 옥수석, 2004, 영양-울진지역 선캠브리아기 변성암류의 변형작용사. 암석학회지, 13, 179-190. 

  2. 강지훈, 김남훈, 송용선, 박계헌, 2006, 경상북도 울진군 기성면 지역에서 소백산육괴 선캠브리아기 변성암류의 변형작용사. 암석학회지, 15, 49-59. 

  3. 권용완, 신의철, 오창환, 김형식, 강지훈, 1999, 풍기지역 소백산편마암복합체의 백립암상 변성작용-북부 소백산육 괴의 지각진화와 환경지질-. 암석학회지, 8, 183-202. 

  4. 김남훈, 박계헌, 송용선, 강지훈, 2002, 평해-울진 지역 선캠브리아기 기성통의 부재 및 평해통과 원남통의 관계에 대한 소고. 암석학회지, 11, 271-277. 

  5. 김남훈, 송용선, 박계헌, 이호선, 2009, 영남(소백산)육괴 북동부 평해지역 화강편마암류의 SHRIMP U-Pb 저콘 연대. 암석학회지, 18, 31-47. 

  6. 김용준, 이대성, 1983, 석포-덕구간에 분포하는 소위 홍제 사화강암의 지질연대와 생성과정에 대한 연구. 광산지질, 16, 163-221. 

  7. 김형수, 이종혁, 1995, 분천과 홍제사 화강암질 편마암체의 변성작용. 암석학회지, 4, 61-87. 

  8. 박계헌, 정창식, 이광식, 장호완, 1993, 태백산지역의 고기 화강암 및 화강편마암류에 대한 납 동위원소 연구. 지질학회지, 29, 387-395. 

  9. 송용선, 박계헌, 이호선, Cao Lin, Orihashi Yuji, 2009, 북한 증산-평원지역 화강편마암의 LA-ICP-MS U-Pb 저콘 연대. 암석학회지, 18, 171-179. 

  10. 윤현수, 이대성, 1986, 함백분지 기반지역에 분포하는 선캠브리아 화강암질암류의 암석화학적 연구. 광산지질, 19, 35-55. 

  11. 이기욱, 김정민, 정창식, 조문섭, Ian S. Williams, 2006, 영남육괴 북부지역 미그마타이트질 편마암에서 산출하는 모나자이트의 표면 U-Pb 연대-한반도 고원생대의 고온변성작용. 대한지질학회 추계학술발표회 초록집, 4. 

  12. 이상헌, 1994, 홍제사 화강암질편마암체의 성인과 공존하는 흑운모, 백운모 및 녹니석 사이의 화학적 평형. 암석학회지, 3, 49-75. 

  13. 이석훈, 2001, 전자현미분석기를 이용한 저어콘 및 모나자이트의 화학적 연대 측정법. 암석학회지, 10, 179-189. 

  14. 이승구, 김건한, 송용선, 김남훈, 박계헌, 2007, 강원도 임원지역 우백질 화강편마암에 나타난 희토류원소 테트라드 효과의 지구화학적 의의. 암석학회지, 16, 27-37. 

  15. 정원석, 나기창, 2008, 삼척지역 북동 영남 육괴에 분포하는 우백질 화강암의 기원 및 진화. 암석학회지, 17, 16-35. 

  16. 정원석, 선광민, 나기창, 2009, 영남 육괴 북동부 변성퇴적 암과 흑운모 화강편마암의 변성 온도-압력 조건과 전암 붕소 함량사이의 상관관계. 자원환경지질, 42, 247-259. 

  17. 정원석, 정상원, 나기창, 2006, 삼척지역 이천화강편마암의 암서화학과 지질구조. 암석학회지, 15, 25-38. 

  18. 정창식, 길영우, 김정민, 정연중, 임창복, 2004, 영남육괴 북 동부 죽변 지역 선캠브리아기 기반암류의 지구화학적 특징. 지질학회지, 40, 481-499. 

  19. 홍영국, 최태윤, 1986, 선캠브리아기 분천 및 홍제사화강암 류의 흑운모에 대한 K-Ar 연대측정. 광산지질, 19, 147-151. 

  20. Chang, H.W., Lee, M.S. and Lee, J.M., 1988, The origin of geochemical variations in the Hongjesa granite gneiss. The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24, 500-510. 

  21. Chang, H.-W., Turek, A. and Kim, C.-B., 2003, U-Pb zircon geochronology and Sm-Nd isotopic constraint for Precambrian plutonic rocks in the northeastern part of Ryeongnam massif, Korea. Geochemical Journal, 37, 471-491. 

  22. Cheong, C.-S., Kwon, S.-T., and Park, K.-H., 2000, Pb and Nd isotopic constraints on Paleoproterozoic crustal evolution of the northeastern Yeongnam massif, South Korea. Precambrian Research, 102, 207-220. 

  23. Cho, M., Kim, H., Lee, Y., Horie, K. and Hidaka, H., 2008, The oldest (ca. 2.51 Ga) rock in South Korea: U-Pb zircon age of a tonalitic migmatite, Daeijak Island, western Gyeonggi massif. Geosciences Journal, 12, 1-6. 

  24. Horie, K., Tsutsumi, Y., Kim, H., Cho, M., Hidaka, H., and Terada, K., 2009, A U-Pb geochronological study of migmatic gneiss in the Busan Gneiss complex, Gyeonggi massif, Korea. Geosciences Journal, 13, 205-215. 

  25. Kim, J. and Cho, M., 1994, Petrogenesis of the Precambrian Hongjesa granite (magmatism and metamorphism of the Proterozoic in the northeastern part of Korea).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3, 76-93. 

  26. Kim, J., Cho, M. and Kim, H.S., 1994, Metamorphism of the Hongjesa granite and the adjacent metasedimentary rocks (magmatism and metamorphism fo the Proterozoic in the northeastern part of Korea).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3, 94-108. 

  27. Kim, J. and Cho, M., 2003, Low-pressure metamorphism and leucogranie magmatism, northeastern Yeongnam Massif, Korea: implication for Paleoproterozoic crustal evolution. Precambrian Research, 122, 235-251. 

  28. Kim, S.W. Williams, I.S., Kwon, S., Oh, CW., 2008, SHRIMP zircon geochronology,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etaplutonic rocks from the south-western Gyeonggi Block, Korea: implications for Paleoproterozoic to Mesozoic tectonic links between the Korean Peninsula and eastern China. Proceedings of the Annual Joint Conferenc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and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26-29. 

  29. Kwon, Y.W., Oh, C.W. and Kim, H.S., 2003, Granulitefacies metamorphism in the Punggi area, northeastern Yeongnam massif, Korea and its tectonic implications for east Asia. Precambrian Research, 122, 253-273. 

  30. Lee, S.-G., Shin, S.-C., Jin, M.-S., Ogasawara, M. and Yang, M.K., 2005, Two Paleoproterozoic strongly peraluminous granitic plutons (Nonggeori and Naedeokri granites) at the northern part of Yeongnam Massif, Korea: geochemical and isotopic constraints in east Asian crustal formation history. Precambrian Research, 139, 101-120. 

  31. Lee, S.M., Kim, H.S. and Oh, I.S., 1986, Metamorphic petrology of Precambrian gneisses in Samcheok-Jukbyeon area. The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22, 257-277. 

  32. Ludwig, K.R., 2003, User's Manual for Isoplot 3.00. Berkeley Geochronology Center Special Publication No. 4. 

  33. Na, K.C and Lee, D.J., 1978, Petrological study of Hongjesa granite. The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14, 103-112. 

  34. Orihashi, Y., Nakai, S. and Hirata, T., 2008, U-Pb age determination for seven standard zircon using inductively coupled plasma-mass spectrometry coupled with frequency quintupled Nd-YAG (A 213 nm) laser ablation system: comparison with LA-ICP-MS zircon analysis with a NIST glass reference material. Resource Geology, 58, 101-123. 

  35. Sagong, H., Cheong, C.-S., and Kwon, S.-T., 2003, Paleoproterozoic orogeny in South Korea: evidence from Sm-Nd and Pb step-leaching garnet ages of Precambrian basement rocks. Precambrian Research, 122, 275-295. 

  36. Suzuki, K., 2009, CHIME dating and age mapping of monazite in granulites and paragenesis from the Hwacheon area, Korea: implications for correlations with Chinese cratons. Geosciences Journal, 13, 275-292. 

  37. Wiendenbeck, M., Alle, P., Corfu, F., Griffin, W.L., Meier, M., Oberli, F., Von,Quadt, A., Roddick, J.C., and Spiegel, W., 1995, Three natural zircon standards for U-Th-Pb, Lu-Hf, trace element and REE analyses. Geostandard Newslett., 18, 1-23. 

  38. Yi, K. and Cho, M., 2009, SHRIMP geochronology and reaction texture of monazite from a retrogressive transitional layer, Hwacheon Granulite Complex, Korea. Geosciences Journal, 13, 293-304. 

  39. Yun, S. and Silberman, M.L., 1979, K-Ar geochronology of igneous rocks in the Yeonhwa-Ulchin zinc-lead district and southern margin of the Taebaeksan Basin, Korea. The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15, 89-10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