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육교사를 위한 웹기반 영유아 건강관리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 of a Web-based Child Health Care Program for the Staff at Child Daycare Center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0 no.2, 2010년, pp.213 - 224  

김지수 (가천의과학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a web-based program on child health care, and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knowledge of, attitudes towards child health care, and health care practice in staff of daycare centers. Methods: The program was developed through the processes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아직까지 영유아 건강에 대한 전문지식이 부족한 보육교사를 위한 지원프로그램은 매우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영유아 건강관리를 지원하기 위해 영유아 건강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쉽게 접근해서 이용할 수 있는 전문가 운영의 웹사이트를 개발하여 적용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영유아 건강관리를 지원하기 위한 웹사이트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고자 단일집단 사전사후측정설계를 적용하였다. 영유아 건강관리 웹사이트를 이용하기 전과 이용한 후에 각각 영유아 건강관리 지식, 태도, 실천행위가 측정되었다.
  • 본 연구는 보육교사를 위한 웹기반 영유아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것으로 프로그램 개발과정 및 사용자를 대상으로 적용한 결과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프로그램 구성내용은 무엇보다도 사용자의 요구도가 반영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보육교사가 영유아를 돌볼 때 제공받고자 하는 요구를 파악하였으며, 요구가 높았던 응급 처치법, 전염성 질환관리, 안전사고예방 등에 중점을 두고 콘텐츠를 개발하여 프로그램의 유용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한편, 관련 국내 웹사이트에서 제공된 정보가 전문적이지 못할 뿐 아니라 정확성이 부족하다는 Kim (2010)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하여 아동간호학교수가 모든 건강정보 컨텐츠를 구성하고 교차 검토하였으며 이러한 검증과정과 정보출처를 명시하여 이용자가 신뢰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영유아 건강관리를 지원하기 위한 웹기반 영유아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함으로서, 영유아 건강관리에 대한 보육교사의 지식을 증가시키고 건강관리에 적극적인 태도를 지향시키며 영유아 건강관리행위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한편, 사용자 평가에서는 정보의 유용성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고, 시스템 편리성이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프로그램은 보육시설에서 영유아를 돌보는 보육교사에게 필요한 건강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전문 웹사이트로서, 사전조사를 통해 사용자 요구를 충분히 반영하고 관련 웹사이트 분석을 토대로 전문가가 컨텐츠를 개발하면서 사용자에게 필요한 검증된 내용을 제공하고자 중점을 둔만큼 정보의 유용성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생각한다. 정보의 적합성에 대한 만족도 역시 높게 평가된 것은 본 프로그램의 취지에 맞게 웹사이트가 개발되었음을 의미한다.
  • 본 프로그램의 평가를 위해서 강원도 내 일개 시의 전체 공립 어린이집 12곳에 종사하고 있는 보육교사 9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우선 공립 어린이집 시설 명단을 확보하고 각 시설장에게 전화로 본 연구의 목적을 소개하였고, 다시 시설장들과의 간담회를 자리를 통해 본 연구를 설명하고 동의를 얻었다. 이후 연구자가 직접 각 보육시설을 방문하여 보육교사에게 연구 목적을 설명한 후 본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하고 본 웹사이트에 가입한 69명이 최종 연구 대상이 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우선 보육교사가 영유아를 돌볼 때 제공받고자 하는 요구를 파악하였으며, 요구가 높았던 응급 처치법, 전염성 질환관리, 안전사고예방 등에 중점을 두고 콘텐츠를 개발하여 프로그램의 유용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한편, 관련 국내 웹사이트에서 제공된 정보가 전문적이지 못할 뿐 아니라 정확성이 부족하다는 Kim (2010)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하여 아동간호학교수가 모든 건강정보 컨텐츠를 구성하고 교차 검토하였으며 이러한 검증과정과 정보출처를 명시하여 이용자가 신뢰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또한 건강에 관한 전문적 교육이 부족한 보육교사를 위해 정보와 관련한 그림 또는 사진을 제공하였고 구성된 정보내용에 대해서는 보육교사의 사전 검토과정을 거쳐 이해하기 어려운 의학용어 등을 수정하여 건강정보 전달의 효율성을 높였다.

가설 설정

  • “웹기반 영유아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한 보육교사는 이용하기 전과 비교해 영유아 건강관리에 대한 지식정도가 높을 것이다.
  • 제1가설: 웹기반 영유아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한 보육교사는 이용하기 전과 비교해 영유아 건강관리에 대한 지식정도가 높을 것이다.
  • 제2가설: 웹기반 영유아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한 보육교사는 이용하기 전과 비교해 영유아 건강관리에 대한 태도정도가 높을 것이다.
  • 제3가설: 웹기반 영유아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한 보육교사는 이용하기 전과 비교해 영유아 건강관리를 위한 실천정도가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현상이 증가하는 이유는? 최근 우리사회는 여성의 사회경제활동이 증가하고 맞벌이 부부가 늘어나게 되면서 아동을 보육시설에 위탁하게 되는 경향이 점차 보편화되어가고 있다. 아동 양육뿐 아니라 조기 교육 등의 이유로 보육시설을 이용하게 되는 현상은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따라 현재 보육시설의 수는 33,499개소에 이르고 있고, 여기에서 1,135,502명의 아동이 보육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다(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MW], 2008).
영유아기가 감염에 위험한 이유는 무엇인가? 한편, 영유아기는 면역체계가 미숙하고 저항력이 약해 감염에 민감한 시기이므로 보육시설에서의 집단생활은 호흡기나 소화기 감염을 유발할 수 있는 많은 위험요소를 가지고 있다. 또한 영유아들은 자신의 신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한 반면, 환경을 탐색하고 도전하고자 하는 발달특성을 지니고 있어 위험한 상황에 노출되기 쉽다(Kim, Lee, Lee, & Ham, 2004).
영유아를 돌보기 위한 건강관련 지식과 기술이 필요함에도 현실은 어떠한 것으로 나타나는가? 따라서 영유아를 집단으로 양육하는 보육시설 등에서는 영유아를 돌보기 위한 건강관련 지식과 기술이 매우 필요하다. 하지만 대다수의 보육시설에서는 영유아 건강관리를 위한 전문 인력의 배치가 어려운 실정이므로 보육시설 영유아의 건강관리는 전적으로 담당보육교사에게 의존할 수밖에 없는 현실이다(Kim, 2007). 반면 보육교사들은 영유아의 건강관리를 위한 자신의 지식수준이 매우 부족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따라서 영유아의 건강관리에 대한 교육을 받고자 하는 요구가 매우 높고 전문가로부터 도움을 받기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Kim,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hn, S. G. (1999). A study on user's satisfaction of the agriculture information syste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 American Academic of Pediatrics. (2002). Caring for our children. national health and safety performances standards: Guidelines for out-of-home child care programs (2nd ed.). Washington DC: Author. 

  3. American Academic of Pediatrics. (2008). Bright futures. Retrieved January 14, 2010, from http://brightfutures.aap.org/pdfs/Guidelines_PDF 

  4. Bang, K. S. (2005). Attitude, knowledge, and practice of safety and related factors of teachers in child care centers.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11, 43-53. 

  5. Benfield, J. P. (1991). The effect of a teaching program on infection prevention behavior in day care center staff memb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Catholic University, Washington DC, USA. 

  6. Choi, J. S., & Kim, K. S. (2009). Application and evaluation of a web-based education program on blood-borne infection control for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 298-309. 

  7. Chung, Y. C., & Park, H. A. (2000). Development of a health information evaluation system on the interne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edical Informatics, 6, 53-66. 

  8.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J: Erlbaum. 

  9. Doll, W. J., & Torkzadeh, G. (1998). The measurement of enduser computing satisfaction. MIS Quarterly, 12, 257-274. 

  10. Infante-Rivard, C., Amre, D., Gautrin, D., & Malo, J. (2001). Family size, day-care attendance, and breastfeeding in relation to the incidence of childhood asthma.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53, 653-658. 

  11. Joins news. (2008, October 7). Increasing accidents at child daycare centers. Retrieved October 27, 2009, from http://article.joins.com/article/article.asp 

  12. Kim, H. S., Lee, C. Y., Lee, T. W., & Ham, O. K. (2004). Health problems and health behaviors of preschool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 182-190. 

  13. Kim, H. Y. (2002). A case study of pre-daycare teachers' knowledge on health and its practi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duk Women's University, Seoul. 

  14. Kim, J. S. (2004). A survey of children's health needs in child care centers among teach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5. Kim, J. S. (2007). The effect of an infection prevention program in child day-care cent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6. Kim, J. S. (2010). Evaluation of internet web-sites providing infant health related information for daycare staff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0, 334-342. 

  17. Kim, J. W., Kim, Y. J., & Bae, I. J. (2002). A study on the needs of infant/toddler caregivers' for the in-service education programs. Journal of Young Child Studies, 5, 139-159. 

  18. Kotch, J. B., Weigle, K. A., Weber, D. J., Clifford, R. M., Harms, T. O., Loda, F. A., et al. (1994). Evaluation of an hygienic intervention in child day-care centers. Pediatrics, 94, 991-994. 

  19. Lee, E. S., & Kim, C. N. (2003). A study on the occurrences of accidents among children in nursery school and kindergarten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17, 96-112. 

  20. Lim, N. Y., Kim, J. H., Chon, J. J., Jung, M. H., Kim, B. H., Yoo, E. K., et al. (2003). Development model of child health promotion center. The Korean Nurse, 42(5), 74-82. 

  21. Lu, N., Samuels, M. E., Shi, L., Baker, S. L., Glover, S. H., & Sanders, J. M. (2004). Child day care risks off common infectious diseases revisited. Child: Care, Health and Development, 30, 361-368. 

  22. Manning, A. (1995). Preventing and managing illness in child care setting: A program evaluation.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Memorial University, St. John's, Newfoundland & Labrador, Canada. 

  23. Masuda, K., Masuda, R., Nishi, J. I., Tokuda, K., Yoshnaga, M., & Miyata, K. (2002). Incidences of nasopharyngeal colonization of respiratory bacterial pathogens in Japanese children attending day-care centers. Pediatrics International, 44, 376-380. 

  24.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08, December 31). Statistics on child care programme. Retrieved October 11, 2009, from http://www.stat.mw.go.kr 

  25.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09, March 10). Law on child care programme. Retrieved October 11, 2009, from http://www.law.go.kr 

  26. Nam, H. K. (2002). Safety diagnosis and program development for the prevention of injuries at child care cent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27. Oh, K. S., Sim, M. K., & Choi, E. K. (2008). Knowledge, self-confidence and practice of teachers concerning health and safety of children in child-daycare centers.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14, 155-162. 

  28. Oh, K. S., Sim, M. K., & Choi, E. K. (2009). Effect of an education program on child health and safety for child care teachers.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15, 5-14. 

  29. Sohn, A. R. (2000). Criteria for evaluating health information sites on the interne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Statistics, 25(2), 97-107. 

  30. Statistics Korea. (2006, November). Population on projections. Retrieved October 11, 2009, from http://www.kosis.kr/domestic/theme/do01_index.jsp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