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라디오파 반응성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으로 증착된 In2O3 박막의 특성에 산소 유량비의 변화가 미치는 효과
Influence of Oxygen Flow Ratio on the Properties of In2O3 Thin Films Grown by RF Reactive Magnetron Sputtering 원문보기

韓國眞空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v.19 no.3, 2010년, pp.224 - 229  

곽준호 (신라대학교 공과대학 전자재료공학과) ,  조신호 (신라대학교 공과대학 전자재료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산소 유량비의 변화가 라디오파 반응성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방법으로 유리 기판 위에 증착된 $In_2O_3$ 투명 전도막의 특성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증착 온도는 $400^{\circ}C$로 고정하였으며, 스퍼터링 가스와 반응성 가스로 각각 아르곤과 산소 가스를 사용하였다. 산소 유량비는 공급되는 혼합 가스양에 대한 산소의 유량으로 선택하여 10%, 20%, 30%, 40%, 50%로 조절하였다. 증착된 박막의 광학, 전기, 구조적인 특성은 자외선-가시광 분광기, 홀 측정 장치, X-선 회절장치와 전자주사현미경으로 조사하였다. 산소 유량비 20%로 증착된 $In_2O_3$ 박막은 430~1,100 nm 파장 영역에서 86%의 투과율과 $1.1{\times}10^{-1}{\Omega}cm$의 비저항 값을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는 산소 유량비를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최적의 조건을 갖는 투명 전도막을 성장시킬 수 있음을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dium oxide $(In_2O_3)$ thin films have been prepared on glass substrate by using radio-frequency reactive magnetron sputtering with changing the oxygen flow ratio. The substrate temperature was kept at a fixed value of $400^{\circ}C$, and the sputtering gas and reactive gas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가시광 영역에서 높은 투과율과 낮은 비저항 값을 갖는 최적의 In2O3 투명 전도막을 성장시키기 위하여 증착 변수로 반응성 가스인 산소 유량비를 선택하였다. 산소 유량비를 각각 10%, 20%, 30%, 40%, 50%씩 변화시키면서 rf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방법으로 유리 기판 위에 증착된 In2O3 박막의 구조, 전기, 광학적 특성을 측정하여 최적의 성장 조건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In2O3 박막은 어디에 응용되는가? 7 eV의 직접 전이 밴드갭 에너지를 갖고, 가시광 영역에서 높은 투과도와 적외선 영역에서 높은 반사율을 보이는 넓은 밴드갭 에너지를 갖는 반도체이다 [4]. 특히, In2O3 박막은 투명 전도 산화막으로써, 오존 검출을 위한 가스 센서의 활성층, 태양 전지, 열 반사 거울과 액정 디스플레이의 투명 전극, 실리콘 태양 전지의 반사 방지막으로 응용 가능한 물질이지만, 화학양론(stoichiometry)에 따라 서로 다른 결정 구조와 전기적 특성을 갖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5]. 전자의 경우에 두 종류의 결정 구조, 즉 체적 입방(body-centered cubic) 구조와 사방육면체(rhombohedral) 구조를 나타내며, 후자의 경우에는 금속, 반도체, 절연체의 전기적 특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6].
In2O3가 도체가 되기위한 조건은? 화학양론비를 갖는 In2O3는 절연체이며, 산소가 부족한 비화학양론비로 성장된 박막은 전도성을 띤다. 특히, 도체가 되기 위해서는 증착된 박막에서 자유 전자와 산소 빈자리와 같은 전하 운반자의 밀도가 높아야 하며, 산소가 부족한 형태(InOx)로 증착되면 산소 빈자리와 같은 본질적인 결함 때문에 n-형의 반도체 특성을 나타낸다 [7].
산화물 반도체로는 무엇이 있나? 최근에 ZnO, CdO, In2O3, SnO2와 같은 산화물 반도체를 평판 디스플레이, 태양전지, 광다이오드, 확산 방지막 (diffusion barriers), 가스 센서의 투명 전극으로 개발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1-3]. 이 중에서, In2O3는 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S. Cho, Trans. Electr. Electron. Mater. 10, 185 (2009). 

  2. 김희수, 한국진공학회지 18, 384 (2009). 

  3. T. Moriga, M. Mikawa, Y. Sakakibara, Y. Misaki, K. Murai, I. Nakabayashi, K. Tominaga, and J. B. Metson, Thin Solid Films 486, 53 (2005). 

  4. V. Senthilkumar and P. Vickraman, Curr. Appl. Phys. 10, 880 (2010). 

  5. P. Malar, B. C. Mohanty, and S. Kasiviswanathan, Thin Solid Films 488, 26 (2005). 

  6. Ch. Y. Wang, V. Cimalla, H. Romanus, Th. Kups, M. Niebelschutz, and O. Ambacher, Thin Solid Films 515, 6611 (2007). 

  7. M. Bender, N. Katsarakis, E. Gagaoudakis, E. Hourdakis, E. Douloufakis, V. Cimalla, and G. Kiriakidis, J. Appl. Phys. 90, 5382 (2001). 

  8. F. O. Adurodija, L. Semple, and R. Bruning, Thin Solid Films 492, 153 (2005). 

  9. V. Korobov, M. Leibovitch, and Y. Shapira, Appl. Phys. Lett. 65, 2290 (1994). 

  10. Z. X. Mei, Y. Wang, X. L. Du, Z. Q. Zeng, M. J. Ying, H. Zheng, J. F. Jia, Q. K. Xue, and Z. Zhang, J. Cryst. Growth 289, 686 (2006). 

  11. H. Morikawa and M. Fujita, Thin Solid Films 359, 61 (2000). 

  12. W. Y. Chung, G. Sakai, K. Shimanoe, N. Miura, D. Lee, and N. Yamazoe, Sens. Act. B 65, 312 (2000). 

  13. V. Brinzari, G. Korotcenkov, and V. Matolin, Appl. Surf. Sci. 243, 335 (2005). 

  14. B. Radha Krishna, T. K. Subramanyam, B. Srinivasulu Naidu, and S. Uthanna, Opt. Mater. 15, 217 (2000). 

  15. T. Gao and T. Wang, J. Cryst. Growth 290, 660 (2006). 

  16. S. T. Tan, X. M. Sun, X. H. Zhang, S. J. Chua, B. J. Chen, and C. C. Teo, J. Appl. Phys. 100, 033502 (2006). 

  17. Y. M. Lu, C. M. Chang, S. I. Tsai, and T. S. Wey, Thin Solid Films 447-448, 56 (2004). 

  18. 조신호, 한국진공학회지 18, 377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