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아비만의 평가를 위한 신체외형도의 타당성 연구
Validation of Somatotype Drawing for Assessment of Childhood Obesity 원문보기

한방비만학회지 = Journal of Korean Medicine for Obesity Research, v.10 no.1, 2010년, pp.17 - 28  

이종우 (전주대학교 건강관리) ,  엄혜정 (배재대학교 학생생활상담소) ,  인창식 (경희대학교 침구경락과학연구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It is significant to determine the validation of a self-administered somatotype drawing for the simple assessment of childhood obesity in elementary school and clinical practice. Methods The subjects were 202 children(112 boys and 90 girls) who answered a questionnaire for somatotype dra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따라, 체형에 민감한 소아를 대상으로 소아에 맞는 신체외형도를 개발하여 소아비만의 평가에 적용한 연구가 최근 국외에서 보고되었으나29), 국내에서는 신체외형도를 활용한 비만평가가 20∼60대 성인 남녀에 대해서만 연구되었고19,21,27,28) 소아에 대해서는 연구되어지지 않았다. 이러한 자기기입식 신체외형도 평가가 초등학교나 임상현장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소아비만의 평가도구로 타당한지를 검증하는 것이 의미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본 연구에서 BMI 백분위수, 비만도, 체지방율과 같은 소아비만 평가지표를 기준으로 소아비만 평가에 대한 신체외형도의 타당성을 조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아를 대상으로 비만을 평가하기 위한 신체외형도의 타당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 결과는? 1. 성별에 따른 신체외형도의 등급 분포에서 남아는 신체외형도 5∼6번과 3번에 가장 많이 분포되었고 여아는 신체외형도 3∼4번에 가장 많이 분포되어 남아의 신체외형이 여아보다 두 등급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2. 성별에 따른 신체계측치 및 체성분 분석값의 유의한 차이는 BMI, 복부지방율, 단백질량에서 나타났으며, 이 중에서 복부지방율이 가장 유의하게 나타나 성장기 남녀의 체형 차이를 반영하였다. 3. 신체외형도와 상관계수가 0.6 이상인 신체계측치 및 체성분 분석값은 BMI, BMI 백분위수, 비만도, 복부지방율, 체지방율, 체지방량이었으며, 현재 소아비만의 비만 평가지표로 사용하고 있는 BMI 백분위수, 비만도, 체지방률이 모두 신체외형도와 0.6 이상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4. 소아비만의 평가지표에 따른 신체외형도의 등급을 분류한 결과, 신체외형도에 의한 비만 평가가 비만도에 의한 비만 평가와 가장 잘 일치하였고, 다음으로 체지방률이었으며, BMI 백분위수에 의한 비만 평가는 잘 반영되지 않았다.
국내 소아비만이 증가하게된 이유는? 비만이란 지방세포의 수가 증가하거나 크기가 커져 피하층과 체조직에 과도한 양의 지방이 축적되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1980∼90년대 사회경제적으로 큰 변화를 겪으면서 활동량이 감소하고 식습관이 서구화되었고, 이로 인해 남자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국내 소아비만이 현저하게 증가하였다1,2). 초등 4∼6학년 학생의 비만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에 따르면,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도시지역이 농촌지역보다, 용돈을 많이 받을수록, 학년이 낮을수록, 형제자매 중에서 비만한 아동이 있는 경우, 아버지가 비만한 경우, 어머니가 비만한 경우, 식습관이 불규칙적이고 올바르지 못한 경우, 인터넷 이용시간이 많은 경우, 부모님간의 갈등이 있는 경우, 학교성적과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초등학생의 비만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3).
비만이란? 비만이란 지방세포의 수가 증가하거나 크기가 커져 피하층과 체조직에 과도한 양의 지방이 축적되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1980∼90년대 사회경제적으로 큰 변화를 겪으면서 활동량이 감소하고 식습관이 서구화되었고, 이로 인해 남자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국내 소아비만이 현저하게 증가하였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강윤주. 서울시내 초.중.고 학생들의 최근 18년간 (1979-1996년) 비만도 변화추이 및 비만아 증가 양상. 한국영양학회지. 1997;30(7):832-9. 

  2. 박영신, 이동환, 최중명, 강윤주, 김종희. 23년간 서울 지역 초.중.고등학생의 비만 추이. 소아과. 2004;47(3):247-56. 

  3. 최길순, 정영. 학령기 아동의 비만수준과 비만관련요인. 한국비즈니스리뷰. 2008;1(1):1-20. 

  4. Anderson SE, Cohen P, Naumova EN, Must A. Association of Depression and Anxiety Disorders with Weight Change in a Prospective Community-Based Study of Children Followed up into Adulthood. Arch Pediatr Adolesc Med. 2006; 160(3):285-91. 

  5. Janssen I, Craig WM, Boyce WF, Pickett W. Associations between Overweight and Obesity with Bullying Behaviors in School-Aged Children. Pediatrics. 2004;113(1):1187-94. 

  6. Whitaker RC, Wright JA, Pepe MS, Seidel KD, Dietz WH. Predicting Obesity in Young Adulthood from Childhood and Parental Obesity. N Engl J Med. 1997;337(13):869-73. 

  7. Dietz WH. Health Consequences of Obesity in Youth: Childhood Predictors of Adult Disease. Pediatrics. 1998;101(3 Pt 2):518-25. 

  8. Gidding SS, Leibel RL, Daniels S, Rosenbaum M, Van Horn L, Marx GR. Understanding Obesity in Youth. A Statement for Healthcare Professionals from the Committee on Atherosclerosis and Hypertension in the Young of the Council on Cardiovascular Disease in the Young and the Nutrition Committee, American Heart Association. Writing Group. Circulation. 1996;94(12):3383-7. 

  9. Oh SW, Shin SA, Yun YH, Yoo T, Huh BY. Cut-Off Point of BMI and Obesity-Related Comorbidities and Mortality in Middle-Aged Koreans. Obes Res. 2004;12(12):2031-40. 

  10. Oh SW, Yoon YS, Shin SA. Effects of Excess Weight on Cancer Incidences Depending on Cancer Sites and Histologic Findings among Men: Korea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Study. J Clin Oncol. 2005;23(21) :4742-54. 

  11. Gray DS, Fujioka K. Use of Relative Weight and Body Mass Index for the Determination of Adiposity. J Clin Epidemiol. 1991;44(6):545-50. 

  12. 문진수, 이순영, 남정모, 최중명, 최봉근, 서정완, 오경원, 장명진, 황승식, 유명환, 김영택, 이종국. 2007 한국 소아 청소년 성장도표 : 개발 과정과 전망. Korean J Pediatr. 2008;51(1):1-25. 

  13. 강재헌, 김경수, 김기진, 김성수, 김영설, 김용성, 김은미, 김정아, 박진경, 박혜순, 백설향, 신현호, 우정택, 이관우, 이기형, 이동환, 이영호, 임경아, 임중섭, 최웅환, 최윤백, 최진호. 비만치료 지침 2009. 서울: 대한비만학회; 2009. 

  14. Kwon J, Kim H, Sohn Y, Cho SI. Usefulness of an Age-Adjusted Body Shape Index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Pediatr Int. 2007; 49(2):144-9. 

  15. Asayama K, Hayashi K, Hayashibe H, Uchida N, Nakane T, Kodera K, Nakazawa S. Relationships between an Index of Body Fat Distribution (Based on Waist and Hip Circumferences) and Stature, and Biochemical Complications in Obese Children.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1998;22(12):1209-16. 

  16. Asayama K, Hayashi K, Kawada Y, Nakane T, Uchida N, Hayashibe H, Kawasaki K, Nakazawa S. New Age-Adjusted Measure of Body Fat Distribut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Standardization of Waist-Hip Ratio Using Multivariate Analysis.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1997;21(7):594-9. 

  17. 황인철, 김경곤, 서동훈, 이규래. 우리나라 서울 지역 일부 초등학생에서 비만 진단을 위한 체지방률의 절단값. 대한비만학회지. 2008;17(4):169-74. 

  18. 배종면. 여고생의 과거 체형 회상에 대한 신체외형도유용성평가. 한국역학회지. 1997;19(2):147-51. 

  19. 배종면, 안윤옥. 비만도 측정 역학조사도구로서 의신체외형도유용성평가. 한국역학회지. 1996;18 (1):101-7. 

  20. Sorensen TI, Stunkard AJ, Teasdale TW, Higgins MW. The Accuracy of Reports of Weight: Children's Recall of Their Parents' Weights 15 Years Earlier. Int J Obes. 1983; 7(2):115-22. 

  21. 배종면, 원장원. 자기기입용 비만도 측정 설문도구 개발. 가정의학회지. 1996;17(5):332-38. 

  22. Must A, Willett WC, Dietz WH. Remote Recall of Childhood Height, Weight, and Body Build by Elderly Subjects. Am J Epidemiol. 1993; 138(1):56-64. 

  23. 이가영, 박태진. 40세 이상의 일부성인에서 비만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가정의학회지. 1997; 18(3):284-94. 

  24. 정백근, 문옥륜, 김남순, 강재헌, 윤태호, 이상이, 이신재. 한국인 성인 비만의 사회경제적 비용. 예방의학회지. 2002;35(1):1-12. 

  25. Himes JH, Bouchard C. Validity of Anthropometry in Classifying Youths as Obese. Int J Obes. 1989;13(2):183-93. 

  26. 김숙영. 비만도 측정을 위한 신체외형척도 및 생체전기저항분석 이용의 타당성에 관한 연구. 간호과학. 1996;8(1):15-28. 

  27. 정유석, 배종면, 이윤, 박일환. 자기기입용 비만도 측정 설문도구와 신체지수와의 상관성. 가정의학회지. 1997;18(9):918-26. 

  28. 이성은, 정영미, 정길수. 생체전기임피던스법을 이용한 체성분 분석에 의한 신체외형도(Somatotype Drawing)의 타당성 연구 - 비만평가도구로서의 타당도 평가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004;18(2): 299-311. 

  29. Truby H, Paxton SJ. Development of the Children's Body Image Scale. Br J Clin Psychol. 2002;41(Pt 2):185-203. 

  30. Sherman DK, Iacono WG, Donnelly JM.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ody Rating Scales for Adolescent Females. Int J Eat Disord. 1995;18(4):327-33. 

  31. 한오수, 유희정. 식이절제 태도에 따른 심리적 특성. 정신의학. 1991;16(1):21-8. 

  32. 엄혜정, 이종우. 비만 여대생의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태도 변화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 해결중심 단기치료이론을 기초로 -. 한국가족치료학회지. 2009;17(2):93-129. 

  33. 홍상훈, 김종원. 청소년의 사상체질과 체성분과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사상체질의학회지. 2000; 12(2):132-42. 

  34. 홍정미, 유식, 최선미. 사상의학적 체질에 따른 일부 초등학교 5학년생의 체성분, 식습관 및 식이 섭취량의 비교.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2002; 7(1):67-75. 

  35. 최선미, 홍정미, 지상은, 김종덕, 윤유식, 안규석. 사상체질과 어린이 성격유형 검사를 통한 소아비만과의 상관관계연구. 동의병리학회지. 2001; 15(6):1034-8. 

  36. 김나영. 초, 중등학생의 성격유형에 따른 식이섭취와 체력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7. 

  37. 이소현. 경남지역 대학생의 에니어그램 성격특성과 식습관 및 식품기호도와의 상관관계 연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8. 

  38. 이종우, 성갑선, 엄혜정. 사상체질과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에 따른 대학생의 비만 예측. 한방비만학회지. 2009;9(2):21-3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